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黄州东坡文化调查研究

        张 建 华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苏东坡因“乌台诗案”谪居黄州,黄州现有历史文化遗迹与遗产如:驿亭、定惠院、安国寺、临皋亭、东坡雪堂、赤壁矶等具有重要的历史文化意义,通过对黄州现有历史文化遗址或遗存及相关历史文化文献的整理、解读、分析、拓展、研究,其价值体现表现在四在个方面:第一,天下第三行书《寒食帖》创作背景,尚意书法与文学创作解读以及对后人创作影响;第二,现存第一张文人画《枯木竹石图》的创作背景及对文人画的影响;第三,《念奴娇·赤壁怀古》一词等文学作品对后世豪放词创作的影响;第四,东坡肉、小煎鱼等美食也成了苏东坡对现实困惑解脱的一个法门。苏东坡谪居黄州的这四个方面的创作,对现实文化意义上的后世创作活动具有启示指导作用。 In Song Dynasty, for the case of “Wutai Poem”, Su Tungpo was relegated to Huangzhou, for which there are now many historical sites about him such as Inn Pavilion, Dinghui School, Anguo Temple, Lingao Pavilion, Tungpo Snow Hall and Chibi Rocks which. Through field investigation on those historical sites and reorganizing, interpreting, analyzing, expanding and researching on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four findings could be figured out whi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creating background of “Cold food calligraphy” which is the third greatest cursive handwriting in the world and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calligraphy and literature cre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followers; Second, the creating background of the painting of “Dying Tree and Bamboo Stone” and its influence on the paintings of the followers; Third, the influence of Niannujiao-CiBiHuaiGu on the creation of bold style literature creation of the followers; Last, braised Tungpo pork and Fried Fish have been viewed as a key way for Su to escape from the harsh reality. The four achievements by relegated Su Tungpo in Huangzhou have great influence on the literature and calligraphy creation of the followers.

      • KCI등재

        소식(蘇軾)의 시에 나타난 양주(釀酒) 기술의 문화적 함의 ― <밀주가(蜜酒歌)>의 봉밀주(蜂蜜酒)와 <동파주경(東坡酒經)>의 동파주(東坡酒)를 중심으로 ―

        이화선 ( Lee Hwa-seon ),구사회 ( Gu Sa-wha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인간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현상은 도덕경에 나오는 “스스로 그러하다.”라는 말 외에는 뭐라고 설명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원래부터 있었던 만물의 현상과 그에 따른 물질 속에는 우주의 순리와 자연계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치가 담겨있다. 이러한 이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 연구 대상으로 술에 주목했다. 이는 술은 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서 인류 문화사를 풍부하게 했던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중국 송(宋)나라 소식(蘇軾, 1037~1101)의 시<밀주가(蜜酒歌)>를 통해 술의 기원을 추적하고, 동아시아 술과 술 문화가 중국에서 기원하여 전래되었다고 하는 기존 학설을 검토했다. 또한 <동파주경(東坡酒經)>의 누룩 사용법이 동아시아 양조기술과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선시대 서유구(徐有?, 1764~1845)의 『임원경제지』 「정조지(鼎俎誌)」 <온배지류(??之類)> 조의 동파주와 비교했다. 특히, <동파주경>이 오늘날 주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경에 나오는 동파주를 실제 복원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눈에 보이는 현상 너머에 있는 자연의 실상에 의문을 두고 이를 밝히고자 했던 서양의 사고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사고했던 동양의 사고를 비교하였다. 다시 말해 자연계는 보편성(Universality)과 다양성(Diversity)이라는 두 개의 축이 작용하고 있음을 동양의 술과 술 문화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오늘날 여러 현장에서 요청되고 있는 전통문화자원의 과학화와 기술화는 다양성과 보편성의 축이 서로 균형을 이룸으로써 가능해질 것이다. 이는 서양 과학에서 말하는 보편성이 그 동안 불변의 진리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던 축이라면, 다양성과 가변성은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고 새로운 효용 창출과 새로운 가치의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축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It is assumed that alcohol has existed long before human being began settlement. Honey or the ripe fruit juice can contact with the fungus in the air and natural fermentation can occur even if the human hand does not reach it. In this study, the origin of the fermented beverage is traced through the brewing technology in the Song Dynasty shown in < Song of mead > by the work of Su Tungpo(1037~1101) of China. And, the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existing theory of `Chinese transmission theory` of alcohol and alcohol cultural history of East Asia.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fermentation technology in < Tungpo Jiujing > on the brewing technology and culture, the study compared it with Tungpojiu of < Onbaejiryu >, 「Jeongjoji」 in 『Imwongyeongjeji』 by Seo Yu-gu (1764~1845) in Joseon. In particular, the study restored actual Tungpojiu in Tungpo Jiujing and checked it actually in order to figure out its meanings of the present day.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western thinking that focused on clarifying it with the reality of nature beyond the visible phenomenon, and the oriental thought that centered on human be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at the natural world tried to reveal that the two axes of universality and diversity are working through the oriental wine and alcohol cultur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frame of universality and diversity as a philosophical foundation to be applied to the scientification and technologic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next generation power today. If universality is the frame that suggests a method to approach to eternal truth, diversity and variability are the frame that can suggest a new efficiency creation and paradigm by prudent use of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