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스털린 역설에 대한 연구

        문진영(Moon, Jin-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는 행복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의 효시로 불리는 이스털린 역설을 이해하고, 이 역설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논쟁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스털린 역설을 둘러싼 논쟁의 흐름을 파악하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만족점(satiation point)의 존재여부에 대한 논쟁을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이스털린 역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첫째, 행복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둘째, 이스털린의 관찰을 파악하고, 그리고 셋째, 이스털린 역설의 이론을 설명한다. 이어 제3장에서는 이스털린 역설을 둘러싼 논쟁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쟁은 주로 욕구이론가들이 이스털린 역설에 대해서 공격하고 이에 대해서 이스털린이 방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비단 행복과 소득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 전반에 걸친 인식의 충돌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쟁에 대한 이해의 기초 위에서 제4장에서는 “만족점(satiation point)은 존재하는가?”라는 논쟁적 이슈를 제기하고, 이 논쟁을 제1절에서 욕구이론의 입장, 그리고 제2절에서는 행복의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제3절에서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The Easterlin Paradox is widely accepted as a pioneer of happiness study in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Psychology, and Sociology. Moreover, it should be noted, the paradox has abundant implications on many social issues such as ‘economic growth or social equity’, "basic income" and so forth. It is in this regard that this paper purports to understand debates around the paradox. For this purpose, the chapter two examines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the Easterlin Paradox, and accordingly the chapter three examines the Easterlin Paradox debates since the early 1990s. In the context of the Easterlin paradox debates, the chapter four scrutinizes the debates around satiation point in income-happiness nexus and duly concludes with som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 KCI등재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습관형성 이론과 상대소득 가설의 검정

        이소라 ( So Ra Lee ),홍기석 ( Ki Seok Ho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社會科學硏究 Vol.38 No.3

        습관형성 이론과 상대소득 가설에 의하면 개인의 만족도는 현재 소비 수준뿐 아니라 과거 소비 수준(습관형성 이론)과 준거집단의 소득 수준(상대소득 가설)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에 나와 있는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만족도가 과거의 소비 및 타인의 소비에 의하여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의 과거 소비(소득) 수준은 현재의 주관적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다. 이는 소비에 있어서 습관형성보다 소비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둘째, 동일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소비(소득)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도를 낮추는 반면 동일 학력·직업군에 속한 사람들의 소비(소득)는 개인의 주관적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준거집단이 개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habit formation theory and relative income hypothesis, individual utility (subjective well-being) is determined by their own past consumption levels and others incomes respectively, as well as their own current consumption levels. Hence, this paper considers individual past consumptions (incomes), and consumptions (incomes) of two different reference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subjective well-being. All data was retrieved from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at 1)the durability of consumption is more important than habit formation in terms of consumption since individual past consumptions gi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s satisfaction. 2) On the other hand, the coefficients of relative income show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gns depending on the reference groups. Individual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ffected by regional groups average consumption levels while, in contrast, individual satisfaction was affected positively by the average consumption levels of education & occupation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of diverse effects of reference groups on subjective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