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 연구동향 분석 및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김장수(Jang-Su Kim) 한독심리운동학회 2022 심리운동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을 대상으로 중재한 심리운동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파악하는 것과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의 관계를 분석하여, 성인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연구가 처음 시작된 2008년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17편의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도별 현황, 발표경로, 연구대상, 종속변인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긍정심리자본과 그 하위요인과 심리운동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대상 심리운동 중재연구가 한독심리운동학회와 우석대학교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구대상 유형이 다양화 되고 있지만 타 중재방법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성인에 대한 심리운동 지원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성인 대상 심리운동을 중재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인은 위험요인적 심리특성 변인보다 보호요인적인 변인들이 더 많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운동의 공통된 이론적 맥락을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심리운동이 긍정심리자본과 그 하위요인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결과들을 확인했다. 이 연구 이후, 성인에 대한 심리운동 연구와 개인의 긍정적인 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심리운동 연구가 더욱 확산되길 기대하고, 심리운동의 영역의 확대와 인접 학문과의 연계한 심리운동 연구 또한 활발해 지기를 바라며, 성인과 긍정심리자본 향상에 초점을 맞춘 심리운동 프로그램 또한 국내에서 개발되길 기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psychomotorik research targeting adults, to grasp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psychomotorik research for adul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motorik. To this end, from 2008 to September 2022, a total of 17 psychomotorik interventional studies for adul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current status by year, announcement route, research subjec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Next, Learn about the concep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ts sub-factors and psychological movement was analyz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psychomotorik intervention studies for adults are increasing, centering on the Korean-German Psychomotorik Society for motologie and Woo-suk University. Second, although the types of research subjects are diversifying, i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intervention method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active psychomotorik research on adults in various fields. Third,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in previous studies of psychomotor interventions for adults had more protective factors than risk factors due to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common theoretical contex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motorik was confirmed, and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exercise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ts sub-factors in previous studies were confirmed. After this study, It is my hope that psychomotor studies on adults and psychomotor studies that can draw out positive individual power become more widesprea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studies connected with the expansion of domestic psychomotorik and adjacent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and it is expected that a psychomotorik program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mprovement will be developed in Korea.

      • KCI등재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조사

        이민규(Min-Kyu Lee),강산해(San-Hae Kang) 한독심리운동학회 2023 심리운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언어재활사 1급 혹은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현재 언어재활사로 근무하고 있는 언어재활사 7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언어재활사의 근무처 중 심리운동이 진행되고 있거나, 언어재활 서비스 대상자가 심리운동을 치료로서 받고 있는 경우는 드물었는데, 심리운동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대부분의 언어재활사는 심리운동에 대해 들어본 적은 있었고, 심리운동을 주변 동료를 통해 알게 되었으며, 심리운동을 심리치료의 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 심리운동을 통해 긍정적인 심리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고, 한편으로는 심리운동과 언어재활 간의 관련성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심리운동 관련 홍보 및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심리운동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향상과 심리운동과 언어재활의 적극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심리운동에 대한 홍보와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활발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on psychomotorik.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72 pathologists currently working a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level 1 or level 2 speech-language pathologist certific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psychomotorik was not employed or was not used as the treatment for most of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patients at their workplace. It was due to the reason that they were not knowledgeable about psychomotorik. Mos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ve heard about psychomotorik from their colleagues, and i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fields of psychotherapy. Some are expecting a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through psychomotorik.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lacks relevance between psychomotorik and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They pointed out that advertisements and research about psychomotorik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psychomotorik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ctive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and promotions for psychomotorik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psychomotorik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o join in with psychomotorik and speech therapy actively.

      • 심리운동 연수 참여자들의 실태와 발전 방안 고찰

        박재우 한독심리운동학회 2016 심리운동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urveys filled out by the participants of psychomotorik training and contemplate on the tasks to develop national psychomotorik. For this, I created a questionnaire composed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and their background and feedback from the training program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ole chang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oretical paradigm of psychomotorik. As for development tasks for psychomotorik and training programs, first. it is required to activate job (continuous) training in line with expansion of various participants that need psychomotorik train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to achieve it, it is important to educate and train psychomotorik instructors in various fields by expanding participating conditions of the participants. Second, psychomotorik training programs must be developed involving diverse activities directly in connection with job domains of the participants. Third, in order for psychomotorik to expand its identity of inherent academic domain according to the changing theoretical paradigm, it is necessary to promote extens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and expansion of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expert literatures in related fields. 본 연구는 심리운동 연수 참여자들의 설문조사 내용을 토대로 향후 국내 심리운동의 발전방향을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의 구성분포도, 참여 배경과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피드백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심리운동의 역할변화와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에 비추어 분석하고자하였다. 이에 심리운동 및 연수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심리운동적 교육, 치료 및 재활을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들의 확대에 발맞추어 직업(계속)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영역의심리운동사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심리운동 연수는 심리운동학이라는 학문적 토대위에 개인의 정체성과 의미 해석적인 접근을 바탕으로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참여자들의 직업영역과 직접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맞춤형 활동들로 발전되어 나가야 한다. 셋째, 심리운동은 이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고유한 학문적 영역의 정체성 확장 및 확립을 위해 보다 광범위한 양적·질적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관련 전문서적들의 번역 및 출판 등의 보다 다양한 영역의 연구 활동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방향성 탐색

        곽정민(Kwak, Jung-Min)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2005~2020년 11월까지의 국내심리운동 연구 248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분석한 후 계량화하여 그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계량화한 자료를 기반으로 독일의 심리운동과 심리운동학 발달단계와 비교해 국내 심리운동의 현재 위치와 현황을 파악한 후, 향후 심리운동 연구의 방향성 준거를 제시하고 정보와 지식 등을 제공하는데 필요성이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 관련 연구의 일반적 현황을 알아보았다. 심리운동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에 나타난 실험연구의 연도별 현황에서는 그 대상과 연령, 대상 수의 점진적확대를 확인했다. 장애유형별 연구의 경우 장애관련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학위논문은발달지체 관련 연구가, 학술논문은 지적장애 관련연구가 많았으며, 연령별 현황에서는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모두 장애유아 연구가 많이 발표되었다.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은 모두실험연구 비중이 높았지만 학술논문의 경우 분석연구와 같은 타 연구유형이 상승한 것도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국내 심리운동은 세분화, 다양화 단계에 접어든 것을 확인 했다. 최근 들어 다양한 대상에 대한 프로그램 연구가 나오고 있었다. 이런 대상의 확대 추이에맞춰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앞으로도 다양한 대상과 현장에 적합한 많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심리운동을 적용하고 효과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248 domestic psychomotorik studies from 2005 to November 2020, and then quantified them to explore the direction. Based on the quantified data,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and status of domestic psychological movements compared to the development stage of psychomotorik and motologie in Germany, and then present the guidelines for future psychomotorik studies and provide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this end, the general status of psychomotorik-related research was examined. In the year-by-year status of experimental studies shown in psychomotorik-related the academic and academic papers, the gradual expansion of subjects, ages, and subjects was confirmed. In the case of studies by disability type, the proportion of disability related studies was high. There were many studies related to developmental retardation in degree thesis,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lated studies in academic thesis. For both the academic and academic papers, the proportion of experimental research was high, but in the case of academic pap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other types of research such as analytical research have increas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omestic psychomotorik has entered the stage of subdivision and diversification. Recently, there have been program studies on various subjects. It is very positive that the program is being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expansion of such targets. In the future, research to apply psychomotorik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ny programs suitable for various targets and sites will be needed.

      • 심리운동 연구 동향 고찰 -(2005년∼2017년)-

        정창숙 한독심리운동학회 2017 심리운동연구 Vol.3 No.1

        Psychomotorik is suitable for individuals'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helps to provide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satisfaction for intervention subjects. For this reason, it has emerged as an intervention alternative to go in line with a new paradigm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particular, the psychomotorik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s based on the creation of self-concept and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motor. Whereas motion therapy and psychological therapy focus on the piecemeal intervention effect, psychomotorik has secondary therapy function and psychological and mental prevention function on the basis of the overlapped intervention effect of the therap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y mostly focused on disabled young children. Psychological motor is applicable to all types of study subjects regardless of disabilities, age, and a degree of motor abili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effect of psychomotorik to more various subjects. Therefore, this researcher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on the psychomotorik which have been conducted from 2005 to 2017. Given that, it is important to research various types of study subjects and find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s having been conducted so far in order to expand and develop the domestic psychomotorik. 본 연구에서 다룬 심리운동은 신체활동을 통한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알맞으며 중재대상자에게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므로 학문적 요구에 대한 흐름인 다학제적 접근의새로운 페러다임에 발맞추어 갈 중재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한 심리운동은 움직임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 및 전인적 발달에 그 기본원리를 두고 있다. 운동치료와 심리치료가 각각의 단편적인 중재효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심리운동은 이들 간의 중복요소적 중재효과를 바탕으로 이차적인 치료의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해 보면 주로 장애 유·아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심리운동은 장애의 유무나 나이의 고하, 그리고 운동능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모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있으며 심리운동을 더 많고 다양한 대상에게 그 효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2005년부터 2017년까지의 심리운동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동향탐색을 통해 국내 심리운동의 저변확대와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에의 연구와 지금까지의 연구에 대한 결과 및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심리운동 움직임놀이가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민(Kim Min),이숙정(Rie Sukjeong) 한국교통대학교 미래교육통합연구소 2021 미래교육통합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심리운동을 토대로 한 움직임놀이가 통합학급 일반유아들의 장애수용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 G유치원 통합학급에 있는 만 5세 일반유아 10명과 발달지체유아 1명으로 심리운동 움직임놀이 중재를 6주간 주 2-3회 40분 동안 12회기 적용하였다. 중재 전후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수집한 자료는 윌콕슨(Wilcoxon)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일화기록 분석을 함께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 움직임놀이가 통합학급 일반유아들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래 친구를 놀이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연스러운 교우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둘째, 심리운동 움직임놀이가 통합학급에 배치된 발달지체유아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자신감을 가지고 또래 일반유아들과 놀이하도록 한다. 심리운동 움직임놀이가 장애이해 수업활용 및 유치원 교육과정 내의 적용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motorik-based Gross Motor Play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general kindergartner in the inclusive class and the self-efficacy of kindergartner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general kindergartner aged 5 and 1 kindergartner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class of G Kindergarten in P-city, Gyeonggi-province, and applied Psychomotorik-based Gross Motor Play intervention for 6 weeks 2-3 times a week for 40 minutes. The data collected by measuring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general kindergartner and self-efficacy of kindergartner with developmental delay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with changes in pre- and post-scores through Wilcoxon s test, and anecdotal record analysis was used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motorik-based Gross Motor Play positively influenced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general kindergartner in the inclusive class, and it allows them to form a natural companionship that recognizes their peers as objects of play. Second, Psychomotorik-based Gross Moto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kindergartner with developmental delays assigned to the inclusive class, and play with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of the same age with confidence. Psychomotorik-based Gross Motor Play is suggested for the use of class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ies and the application in the kindergarten curriculum.

      • 심리운동 분야에서의 동물매개치료 활용 가능성에 관한 고찰 : 장애아동 교육을 중심으로

        김경민 한독심리운동학회 2018 심리운동연구 Vol.4 No.1

        Animal-assisted therap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 stability, sociality, and recovery of physical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var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e psychomotorik is to pursue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the spontaneous physical activity of the child in a natural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lack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animal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used as a prompter or a medium to motivate and encourage participati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animal-assisted therap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psychomotorik.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sychomotorik and animal-assisted therapy, and discussed the advantages and considerations of animal-assisted therapy that can be used in psychomotorik.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using animal-assisted therapy in psychomotorik field. 동물매개치료는 여러 연구들을 통해 장애아동의 정서적 안정, 사회성 증진 및 신체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심리운동의 목적은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아동의 자발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전인적 발달을 추구하는 것이다.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가 부족한 장애아동들에게 동물은 움직임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참여를 촉진하는 매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심리운동 분야에서 장애아동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동물매개치료의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심리운동과 동물매개치료의 공통점과차이점 분석하고 심리운동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동물매개치료의 장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운동 분야에서 동물매개치료 활용의 발전가능성을 논하였다.

      • 심리운동이 인공와우 이식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규훈 한독심리운동학회 2019 심리운동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motorik on exercise capacity of cochlear implanted infants. For this purpose, after psychological exercise was performed for 3 cochlear implanted infants, we tried to find out the pre and post change of balance and physical coordination, which are sub-items of exercise ability.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wo boys and one girl, all wearing cochlear implants. The psychomotorik was conducted eight times in the intervention group. The results show that psychomotorik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otor performance of cochlear implanted infants. In particula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balance and physical coordination, which are sub-items of athletic abil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sychomotorik-based program can help the basic motor skills, which are the source of life, by applying psychomotorik-based programs to cochlear implanted infants' hearing impairments rather than physical or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makes sense. 이 연구는 심리운동이 인공와우 이식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인공와우 이식 유아를 대상으로 심리운동을 실시한 후 운동능력의 하위항목인균형감각과 신체협응의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아 2명과 여아1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두 인공와우를 착용하였다. 중재집단에 심리운동을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운동은 인공와우 이식 유아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효과가 있다. 특히 운동능력의 하위항목인 균형감각과 신체협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이 연구는 심리운동 기반의 프로그램이 인공와우 이식 유아의 운동능력을 적용함으로써 지체장애나 지적장애가 아닌 청각장애에 적용시킴으로써 삶의 원천이 되는 기본운동능력을 심리운동 기반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현상학적 사유에 근거한 COVID-19 시대의 심리운동에 관한 소고

        한성희(Han, Sung-Hee) 한독심리운동학회 2021 심리운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현재 COVID-19로 인하여 급변하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인간에 대한 근원적 이해를 위하여 현상학적 사유에 근거하였다. 이와 함께 심리운동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으로서 그 학문적 근거와 당위성을 살피는데 가치를 두고 있다. 현재는 COVID-19로 인하여 당면한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실천적 논의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COVID-19의 종식 후 이 감염병의 확산으로 급변하고 있는 인간 삶의 근원적 영역과 세계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논의가 시급하다. 이에 심리운동의 신체경험, 물질경험, 사회경험이 지닌 매커니즘은 현재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실질적 대안으로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철학적 근거로서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심리운동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시도하였다. 더불어 현재 COVID-19로 인한 공포, 불안, 우울 등 정신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인간의 삶에 긍정적 대안으로서 심리운동의 가치와 학문적 우위성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된 심리운동의 학문적 당위성은 차후 인간의 신체와 심리의 관계 안에서 파생되는 여러 분야의 실천을 위한 근거로서 실용적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based on phenomenological thinking for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o are living in the rapidly-changing era of uncertainty caused by the COVID-19. Moreover,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academic grounds and justifiability of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psychomotorik. Currently, the practical discuss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gative influences of COVID-19 on human being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have fundamental and essential discussions to cope with the rapidly-changing underlying area of human life and change in the world structur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after this infectious disease comes to an end. Thus, the mechanism shown in physical experience, material experience, and social experience of psychomotorik would be valuable as an actual alternative suitable for the needs of the times. Thus, this study attempted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psychomotorik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 as philosophical grounds. Moreover,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to establish the value and academic predominance of psychomotorik as a positive alternative for human life that is currently psychologically threatened by the COVID-19 like fear, anxiety, and depression. Also, the academic justifiability of psychomotorik secured by this study could present the practical direction as the grounds for practice in many fields derived from a relation between human body and min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심리운동 현장적용을 위한 심상의 다각적 이해

        김현실(Kim, Hyeon-Sil)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심리운동은 움직임을 통한 인간의 지각‧경험‧인지‧행동의 기능적 통합으로 이루어진 인간행동의 심리‧운동적 관계를 연구하며 인간의 전 생애에 걸친 모든 영역의 발달을 지원하고자한다. 이러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이 초기에는 장애영역에서 재활과 치료에서 출발하여 이후 교육 및 관찰과 진단으로 확대되었고, 그것은 현재 사회연관단계로써 나와 타인그리고 사회공동체의 발달과 성장의 지원으로 이어지고 있다(Seewalt, 2019-b). 인지과정에서경험정보의 저장과 인출에 질적 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심상은 심리운동 현장에서대상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으며, 프로그램에 활용하는 매체로도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심상은 철학과 심리학 및 인지과학에서 지향하는 목적에 따라 이해의 차이를 보인다. 심리학적으로는 인간의 인지와 행동을 조작 가능한 대상으로 본 실험적 접근과 무의식의 영역까지 확장된 심층적 접근이 있으며, 신경인지과학적으로는 물리적으로 실행된 행동과 심상이같은 뇌영역에서 신경활성을 보여주는 것과, 심상과 신경가소성과의 연관성을 밝혀내기에까지이르렀다. 이 연구에서는 심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차이를 확인하고 심리운동에의 적용 방법 및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Psychomotorik studies the psychological and motor relationship of human behavior, which consists of functional integration of human perception, experience, cognition, and behavior through movement, and aim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ll areas of human life. The development of Psychomotorik programs initially began with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in the disabled area and later expanded to education, observation and diagnosis, which has now emerged as a social connection stage, leading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others and the community. Imagery not only qualitatively affects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empirical information, but also has features that can be used as a medium of Psychomotorik arbitration. Imagery differs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philosophy and the purpose of psychology and neuroscience. Psychologically, there is a depth approach to the experimental approach of human cognition and behavior as manipulative objects and to the realm of unconsciousness, and In neurocognitive science, the actual physical movement and mental imagey were activated in the same brain areas, and the link between the imagey and neuroplasticity has been reveal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perspectives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imagery and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Psychomotori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