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Whose option ratios contain information about future stock prices?

        ( Bonha Koo ),( Ryumi Kim ) 한국파생상품학회 2024 선물연구 Vol.32 No.1

        Using the next-day and next-week returns of stocks in the Korean market, we examine the association of option volume ratios - i.e. the option-to-stock (O/S) ratio, which is the total volume of put options and call options scaled by total underlying equity volume, and the put-call (P/C) ratio, which is the put volume scaled by total put and call volume - with future returns. We find that O/S ratios are positively related to future returns, but P/C ratios have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returns. We calculate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foreign investors’ option ratios to determine which ratio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future returns and find that, for all investors, higher O/S ratios predict higher future returns. The predictability of P/C depends on the investors: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investors’ P/C ratios are not related to returns, but foreign P/C predicts negative next-day returns. For net-buying O/S ratios, institutional net-buying put-to-stock ratios consistently predict negative future returns. Institutions’ buying and selling put ratios also predict returns. In short, institutional put-to-share ratios predict future returns when we use various option ratios, but individual option ratios do not.

      • KCI등재

        배당공시일 투자자별 거래행태 비교 분석

        박수철(Soo Cheol Park)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經營硏究 Vol.28 No.1

        한국 주식시장 대부분의 기업들은 배당락일과 배당기준일이 지난 후 배당공시를 하므로 배당 공시일 투자자들의 반응에는 기업 미래 상황에 대한 정보가 배당락일 이전 공시가 이루어지는 시장보다 많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 배당공시일 배당의 정보효과 존재 여부를 분석한 후 배당공시 전·후 투자자별 거래행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투자자를 개인, 기관, 외국인으로 구분하여 공시 전·후 투자자별 거래량과 거래가격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배당금이 전년도보다 많이 증가할수록 배당공시일 주가는 많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배당금의 변화는 미래 이익 증감과 관련된 것은 아니라고 추정되었다. 배당증감은 오히려 그 해의 이익증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공시 전·후 투자자별 거래행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배당증가 공시 이후 개인 투자자는 매도를, 기관 투자자는 매수를 증가시키는 상반된 거래 행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투자자는 단기투자, 기관 투자자는 3개월 이상 투자하는 전략이었다면 다른 투자자들보다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배당공시 전·후 투자자 간의 거래행태를 비교 분석한 점은 기존 연구들의 주가수익률로 주가반응을 분석한 것에 비해 개선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수익률은 모든 투자자의 반응이 통합된 결과이므로 투자자마다 다를 수 있는 배당에 대한 반응을 고려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본 수가 많지 않고, 표본 기간이 길지 않았던 점과 투자자별 매수가격과 매도가격 모두를 고려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do investors’trading behavior comparison on the dividend announcing day. In the Korean stock market where an ex-dividend precedes dividend announcements, a lot of expectations on the firm’s future can be reflected in investors’behavior on the dividend announcement day because the unexpected dividend is not paid to buyers on that day. This study uses transaction data including buy/sell price, volume and buyer/seller distinctions unlike other studies using stock price data which cannot distinguish each investor trading behavior. This study finds that the unexpected dividend increase brings about the stock price increase on the announcement day but the current dividend change does not play a signal for the future earning. This study also finds that after the dividend increase announcement, individual investors are inclined to sell more stock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buy more stocks than before the announcement. If individual investments are short term and institutional investments are more than three months, their investment performance can be better than others. But this study has limits such as the short sample period, the low sample number and the imperfect investors’trading price.

      • KCI등재

        배당소득세율 변화 전·후 배당락일 주변 개인투자자 거래행태 비교 분석

        박철(Cheol Park),박수철(Soo Cheol Park) 한국증권학회 2010 한국증권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배당소득세율 변화가 투자자의 배당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어 배당락일 주변거래행태가 달라졌는지를 개인투자자의 배당소득세율 하락 전·후 기간 거래행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세금부담이 줄어든 이후 개인투자자의 배당락일 주변 거래는 배당선호거래행태로 변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1회 거래금액이 1,000만 원 이상인 개인투자자 그룹은 배당소득세율 하락 이후 배당부일 매수하고 배당락일 매도하는 전형적인 배당선호 거래행태를 보여 주었고 1회 거래금액이 500만 원 이상 1,000만 원 미만인 개인투자자 그룹 역시 배당소득세율하락 이후 배당부일 매수량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1회 거래금액이 500만 원 이하인 개인투자자 그룹의 거래행태는 배당소득세율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액거래로 배당수령액이 많아 세금부담이 많았을 투자자는 세금부담이 감소함에 따라 배당선호 거래행태를 보여준 반면에 세금부담이 적었을 소액거래 투자자는 배당소득세율 하락에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배당소득세율 하락 이후 나타난 고액거래자들의 배당선호 거래행태는 배당수익률이 크고, 배당금이 증가하고, 배당금이 많고, 배당차익거래가 이익인 주식에서 강하게 나타났지만 배당락 전·후 기간을 확장하면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부담이 많았을 개인투자자일수록 부담이 줄어든 이후 배당수익률이 높고 배당금이 많은 주식을 배당락이 가까운 시기에 집중적으로 배당선호 거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당소득세율 변화는 투자자의 배당에 대한 태도에 어느 정도는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해외 선행 연구들의 기간과 표본 숫자의 제약과 비교할 때 장기간 많은 표본들을 가지고 배당소득세율 변화에 따른 투자자의 매수량과 매도량 변화를 구체적으로 비교한 점은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changes in the dividend tax rate affect investors` dividend preference and their trading behavior around the ex-dividend day. Investor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trading volume. We guess that investors differently respond to the dividend tax change due to their differential dividend incomes. A lower dividend tax rate is expected to induce more dividend capture behavior among investor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is exactly the case with large individual investors who trade more than ten million Korean won; they buy more than sell on the cum-dividend day and sell more than buy on the ex-dividend day. For the middle individual investors who trade more than five million and less than ten million Korean won, a decrease in the dividend tax rate induces them to buy more on the cum-dividend day than before. These two groups of investors tend to focus on stocks with higher dividend yields which show an increase in total dividends and greater dividend per share. In contrast, there is no apparent change in the behavior of small individual investors who trade less than five million Korean won. While the observed changes in the trading pattern, however, disappear if we extend the days around ex-dividend, our results suggest that investors` dividend preferences do change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dividend tax rate. Based on a large number of ex-dividend events and a long sample period, our results are statistically more robust compared with foreign studies of similar focu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analyzes changes in trading behavior of investors in Korea caused by changes in the dividend tax rate.

      • The Informational Role of Volume by Investor Group

        Song-Yue, Han 한국재무학회 200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05

        This paper studies the informational role of trading volume using common stocks categorized by investor group in Korean stock market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6. The GARCH(1,1) model fits Korean stock market well and the volume variables ( such as absolute value of the net buy volume, excess buy volume and excess sell volume) have additional explanatory effect when they are included in the variance equation of the GARCH(1,1) model. This paper further test whether the effects of excess sell volume and excess buy volume on volatility is asymmetric. In addition, the effects of volume on volatility are shown to be different by investor groups. Because of the information disadvantage, the daily return volatility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volume of domestic individual investors and non-listed foreign investors. Finally, I extend this result to an expanded data set that includes 477 common sto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