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정거래사건 집행 관련 쟁점과 개선방안

        신동권 한국행정법학회 2024 행정법학 Vol.26 No.-

        공정거래사건 집행 관련해서 몇가지 쟁점이 논의되고 있다. 첫째, 공정거래사건에 대한 사법적 통제 관련한 영장주의 도입 여부이다. 그러나 공정위 조사에 영장주의를 도입하는 것은 공정위 조사 시스템을 바꾸는 일이고, 형벌의 보충성 차원에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법적 통제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현장조사에 대한 규정 보완, 실질적인 변호사조력권의 보장, 진술거부권 인정, 자료・열람 복사권 보완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공정거래법상 이의신청 제도에 대해서도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공정거래법상 이의신청을 행정심판법에 의한 특별행정심판의 성격으로 본다 하더라도, 처분청과 재결청이 동일한 것에 대하여는 행정심판의 독립성과 공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독립성과 공정성 문제해결을 위해 재결을 일반 행정심판 절차로 하는 것은 공정거래사건의 전문성과 특수성이 비추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공정위 내에 처분을 한 위원회와 별도의 재결위원회를 구성하여 이의신청 사건을 처리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행정소송제도와 3심제 도입 여부도 쟁점이다. 공정거래사건은 서울고등법원-대법원의 2심제로 운영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경쟁법이 채택하고 있는 글로벌 스탠더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3심제를 도입할 경우 피심인의 권리가 확대되는 측면은 있으나 반대로 신속하게 경쟁질서를 회복해야 하는 공정거래제도의 취지에는 맞지 않는 등 부작용도 예상된다. 따라서 현행대로 2심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지만, 다만 2심제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공정위의 독립성, 공정성과 전문성 강화, 공정거래절차법의 완비, 법원의 전문성 강화 등이 필요하다. Several issues are being discussed regarding the enforcement of fair trade cases. First, whether to introduce warrantism in relation to judicial control of fair trade cas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warrantism into the FTC investigation is to change the FTC investigation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take a careful approach in terms of supplementing punishment. However, in order to strengthen judicial control,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regulations for field investigations, guarantee the right to assist lawyers, recognize the right to refuse to state statements, and supplement the right to copy data and access. Second, problems have also been raised about the administrative trial procedure under the Fair Trade Act. Even if an objection under the Fair Trade Act is regarded as the nature of a special administrative trial under the Administrative Trial Act, it may be problematic in terms of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the administrative trial that the disposition agency and the ruling agency are the same. However, it is not desirable in light of the expertise and specificity of the fair trade case to use a decision as a general administrative trial procedure to resolve the issue of independence and fair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deal with objection cases by forming a separate decision committee within the FTC. Finally, whether to introduce a three-trial system is also an issue. The Fair Trade Case is operated by the Seoul High Court and the Supreme Court's two-trial system, which is a global standard adopted by most competition laws, not only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the three-trial system expands the rights of the accused, but on the contrary, side effects are expected, such as not being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fair trade system, which needs to quickly restore the competitive ord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intain the two-trial system as it is, but even if the two-trial system is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the FTC, strengthen fairness and expertise, complete the Fair Trade Procedure Act, and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he court.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Trial Procedure Factors and Deliberation Factors on Shadow Jurors’ Perceptions about the Fairness of Jury Trials in Korea

        ( Jisuk Woo ),( June Woong Rhee ),( Jae-hyup Lee )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2021 Journal of Korean Law Vol.20 No.2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95 shadow jury participants in 20 jury trial cases between January and June of 2012 in South Korea, we examined whether various factors in the court proceedings and deliberations affected the shadow jurors’ perception of trial fairness and their evaluation of the jury trials in general. We found that the shadow jurors’ perceptions about the fairness of the trial were accounted for by their perceptions of how well the judges managed the trials and of how helpful the judges were in assisting the deliberation process. The shadow jurors did not think the trial was less fair because they perceived the case to be complex. Nor did they think the trial was fairer because the prosecutor made a good case against the defendant or because the defense counsel made a good defense. On the other hand, the shadow jurors’ support of the jury system in general was influenced by very different explanatory variables. The juror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degree of cognitive wants, influenced how desirable they thought the jury system is for the fairness of the trial. The shadow jurors who enjoyed debates and were willing to solve difficult problems and to learn new things were more likely to appreciate the jury trial as an institution to advance fairness in criminal justice. Also, the more the shadow jurors thought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 process, the more desirable they considered to the jury system to be in advancing fairness. In conclusion, the shadow jurors’ attitudes toward the desirability of the jury trial most depends on the assessment of their own cognitive abilities and wants and their willingnes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국민참여재판 그림자 배심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

        우지숙,이준웅,이재협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4

        Us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295 participants of shadow juries in 20jury trial cases between January and June of 2012 in South Korea, we examinedwhether various factors in the court proceedings and deliberations affected the perceptionof fairness of the trials the shadow jurors participated in and the evaluationof the jury trials in general. We found that the shadow jurors’ perception about thefairness of the trial were accounted for by their perceptions of how well the judgesmanaged the trials and of how helpful the judges were in assisting the deliberationprocess. The shadow jurors did not think the trial was less fair because they perceivedthe case was complex. Nor did they think the trial was fair because the prosecutormade a good case against the defendant or because the defense counsel made a gooddefense. Whether the shadow jurors perceived that the defendants were given sufficienttime and opportunity to speak did not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how fair theythought the trial was. Whether the juror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iscussion,whether the foreperson managed the deliberation well, whether the jurors were satisfiedwith the deliberation process, whether the juror agreed with the verdict did not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fairness, either. The role of the judges clearly played acritical role in the shadow jurors’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the trial, suggestingthat even the shadow jurors who participated in the new jury trial based their evaluationof the trial in the performance of the judges. On the other hand, the shadow jurors’ support of the jury trial in general was influencedby very different explanatory variables. Non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court proceedings affected the jurors’ support of the jury trial. Rather, the jurors’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degree of cognitive wants influenced how desirablethey thought the jury trial is for the fairness of the trial. The shadow jurorswho enjoyed debates and were willing to solve difficult problems and to learn newthings were more likely to appreciate the jury trial as an institution to advance thefairness of the trial. Also, the more the shadow jurors thought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din the discussion process, the more desirable they thought the jury trial isfor fair trial. None of the other discussion-related factors such as the role of a foreperson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deliberation, etc. influenced the jurors’attitude toward the jury trial. In conclusion, the shadow jurors’ attitude toward thedesirability of the jury trial depends more on the assessment of their own cognitiveabilities and wants and the willingnes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It issuggested that not only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at jury trial strengthens theparticipants’ ability in deliber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the increasedability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will be critical in the successful administrationof the jury trial in the future. 이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6월 사이 전국에서 열린 20건의 국민참여재판에 그림자배심으로 참여한 배심원단 295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공판 참여 경험과 평의참여 경험이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및 국민참여재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탐구했다. 배심원들은 판사가 재판 진행을 잘했다고 생각할수록, 그리고 평의 중 판사로부터의 의견청취를 통해 평의가 더 원활하게 진행됐다고 생각할수록 재판이 공정했다고판단했다. 그러나 사건이 복잡하다고 인식했다고 하여 재판이 덜 공정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으며, 검사가 사건 진행에 유능하였거나 변호사가 피고인 변호를 잘했다고하여 재판이 더 공정하다고 느끼지도 않았다. 피고인이 충분히 진술했다고 생각했는지여부에 따라 재판의 공정성 인식이 달라지지도 않았다. 평의의 과정 중 얼마나 개방적으로 활발하게 토론이 진행되었는지, 사회자가 원만한 진행을 위한 역할을 하였는지,본인이 토론에 열심히 참여하였는지, 평의의 과정에 만족하였는지, 판결의 방향에동의했는지 등의 변수들이 재판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도 찾지 못했다. 국민참여재판에 대한 지지도를 대상으로 보면, 재판 관련 변수들은 영향을 미치지않았지만, 토론을 즐기고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등 인지적 욕구가 강한 그림자 배심원들일수록, 그리고 본인이 평의 중 토론에 열심히 참여했다고 생각할수록재판의 공정성을 위해 국민참여재판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결과는 국민참여재판이 바람직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은 판사의 역할이나 공판의 과정이라기보다 배심원 본인의 인지적 능력과 참여 의지임을 시사한다.

      •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가 조화된 적정한 재판운영

        이종엽 ( Lee Jong Youp ) 사법정책연구원 2019 연구보고서 Vol.2019 No.11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는 영미와 유럽대륙에서 발달한 역사적 제도로서의 의미와 법관과당사자의 주도성을 기준으로 관념적으로 상정한 이념적 의미로 구분할 수 있다. 이념적 의미의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본질적 요소는 법관의 적극성과 소극성, 사실인정에 관한 시합적 모델과 조사적 모델, 재판의 적정성 확보를 위한 투입통제와 결과통제 등을 들 수 있다.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필수적인 내용은 아니나, 그와 자연스럽게 결합한 주변적 요소들로서 배심제도, 교호신문주의, 기일의 집중, 서면주의, 당사자신문의 허용성, 법관의 석명권 행사 등이 양 진영에서 대립적으로 발달하였다. 이러한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본질적, 주변적 요소들은 우리 소송제도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역사적으로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증법적으로 수렴하는 과정을 밟아 왔고, 그 변증법적 수렴 내용은 우리 소송제도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우리 소송제도가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적 요소를 적절히 융합한 하이브리드적 성격을 가진 결과,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조화는 결국 개별 재판에서 합리적인 소송재량의 행사로 나타난다. 이러한 소송재량의 합리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소송의 이념인 ‘실체적 진실발견’,‘절차적 공정성’, ‘소송의 효율성’을 들 수 있다. 실체적 진실발견에 관한 실증적 연구들은 어느 제도가 하나의 제도를 뚜렷하게 압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결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당사자들 사이의 정보가 공유조건인지 비 공유조건인지 즉 소송의 정보구조에 따라 진실발견의 효율성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는 정보구조를 달리하는 개별 소송의 구조와 특성에 따라 법관의 개입 정도와 내용이 달라져야 함을 보여준다. 당사자주의는 제도적으로 정보처리과정에서 확증편향을 방지하는 데 유리하지만, 당사자주의적 소송모델의 이러한 장점은 우리 소송제도 안에서도 개별적 재판운영을 통해 얼마든지 응용될 수 있다. 절차적 공정성에 관한 확립된 실증적 연구결과들은 당사자가 체감하는 절차적 정의의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당사자의 절차에 대한 통제감의 정도(process control), 자신의 입장을 충분히 말할 기회가 있었는지(voice) 그리고 그 보이스가 진지하게 고려되었는지(consideration)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통념과 달리 소송참여자들은 소송의 결과보다는 절차 자체의 공정성을 더 중요시한다. 이는 사법신뢰의 회복을 위해 기존의 실체에 부합하는 재판이라는 ‘결과 중심적 사고’에서 절차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절차 중심적 사고’로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개별재판에서 법관의 주도성과 당사자의 주도성을 조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의사소통적 소송모델에서 강조되는 대화와 토론에 의한 재판을 생각할 수 있다. 대화와 토론에 의해 당사자와 법관의 적극성이 상호적으로 이전되며, 이로써 소송의 주도권이 민주적으로 교환되는 것이다. 이러한 대화이론적 관점은 기존의 제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즉 석명권 행사는 당사자가 간과한 정보를 지적함으로써 당사자에게 올바른 정보에 기초한 절차참여를 보장하고 법정에서 의사소통을 실질화하는 소송작용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 심증개시 역시 당사자를 판단과정에 참여시키는 과정으로서 판단자가 자신의 가설을 검증의 장에 내놓은 공정성의 징후로 이해되어야 한다. 법원의 소송지휘는 법정에서 활발한 대화와 토론을 위한 조건을 형성하고 이를 방해하는 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 법관과 양 당사자가 모두 주도적인 살아 있는 재판을 실현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 법원의 적극적 개입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을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적극적 개입에서 유래할 수 있는 편파성의 위험을 제어하기 위하여 법관이 그 편향의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탈편향 전략)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법관의 개입 정도와 내용은, 쟁점의 정리와 증거의 신청, 증거의 조사, 변론 등 소송의 각 국면마다, 그리고 현대형 소송과 당사자 본인소송, 비대칭적 소송 등 소송의 종류와 특성마다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다만 이 과정에서 절차적 공정성의 요소, 즉 당사자의 절차에 대한 통제감, 보이스, 주장에 대한 경청(consideration)이 항상 고려되어야 한다. The adversarial and inquisitorial models can usually be classified into two meanings, one for the historically institutionalized model developed by Anglo-American and European continents, and the other for the ideologically conceptualized model derived from the standard of the given initiatives between the judge and the parties in the trial. The integral parts of the both models in an ideological sense would be characteristically enumerated as the activeness/passiveness of the judge, the contest model/inquest model in finding the facts, and the input control/ output control in order to ensure the propriety of the trial proceedings. While not essential in the adversarial and inquisitorial models, peripheral elements which have developed in a confrontational manner in both blocs include the jury system, the cross-examination system, the intensified hearings, the principle of pleading by written documents, the allowance of the examination/cross-examination of opposing parties, and the judge’s exercise of the right to request elucidation. These essential and peripheral elements of the adversarial and inquisitorial models have an importance in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trial system in Korea. Historically, the adversarial and inquisitorial models have influenced one another as they have undergone a process of dialectic convergence which is apparent in Korea’s trial system today. The Korean trial system can be viewed as a type of eclectic and hybrid model that is characterized by different features from both the adversarial model and the inquisitorial model, ultimately leading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models by allowing a reasonable amount of judicial discretions to be exercised in the individual trial. The principle of ‘ascertaining the factual truth,’ ‘procedural justice’, and ‘efficiency of litigation’ may be seen as the judicial philosophy that consist of the rational basis of this judicial discretion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ies on the principle of ascertaining the factual truth, it can hardly be said that one model is obviously superior to the other.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ies revealing that the efficiency of fact-finding varies pursuant to the litigation’s information structure conditioned whether on the information sharing or not between the parties, have shown that the degrees and details of the judge’s intervention shall b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rial’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featuring differently by its information structure. While the adversarial model would have an advantage as a trial system in terms of preventing a confirmation bia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n advantage of the adversarial model could substantially be implemented through the individual trial management in Korean trial system. The established empirical studies on procedural fairness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es involved in a trial actually experience the procedural justice: the degree to which the parties feel the process control; whether or not the parties have had sufficient opportunity to voice their positions; and whether or not these voices have been given serious consideration. Contrary to the public’s prevailing belief, trial participants place a greater emphasis on the fairness of the trial procedure itself rather than the trial results. This shows that, in order to build people’s trust in the judiciary process, it is necessary to make a transition from an ‘outcome-centric mode’ of thinking, which stresses trials conforming to factual truths, to a ‘process-centric mode’ of thinking, wherein the process itself is emphasized. An alternative to harmonize the initiatives imparted each on the judges and the parties in the individual litigation would be considered by emphasizing conversation and debate, which is stressed in the communicative model of trials. In this type of model, activeness is reciprocally transferred between the parties and the judge through conversation and debate, allowing the democratic exchange of initiative during the trial. This perspective on the dialogic theory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approach for the existing trial system. Thus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request elucidation, by pointing out information overlooked by other parties, could possibly be reinterpreted as an trial act which empowers the parties to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upon the accurate information, and further having the communications in the courtroom to be more substantive. The judge’s disclosure of the conviction shall also be understood as a prognosis of the fairness to have the parties participate in the judging process, by which the adjudicator could place his/her hypothetics on the verification forum.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dminister a trial,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conditions that enable active conversation and debate in the courtroom and to remove elements that impede such conversations/debates, thereby implementing and realizing a dynamic trial in which the judge and all parties involved can actively participate. However, in some cases, in order to achieve this cour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for the court to intervene. In order to minimize the risk of bias possibly derived from such active intervention, it is crucial that the judge be aware of the potential danger for bias and be called on to assume a strategy (de-biasing strategy) to overcome the same. The degrees and types of judge’s inter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tage of the trial, from identifying the issues and admitting the evidence and further to the examination of the evidence and pleadings. Judge’s intervention may also be stratified on the basis of the trial types o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odern-type litigation, the self-represented litigation, or the asymmetric litigation. However,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rocess, the key elements of procedural fairness ― that is, the sense of control over the proceedings felt by the parties involved, the voice of each party, and the serious weight given to each voice ― must be considered at all times.

      • KCI등재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와 방어권 강화

        민영성(Min Young-Sung)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연구 Vol.49 No.2

        개정 형사소송법이 공판중심주의를 법정심리절차의 대원칙으로 설정한 것은 무엇보다도 국민참여재판의 실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런데 배심재판을 전제로 한 공판중심주의의 요청은 직업법관에 의한 통상재판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공판중심주의는 공개재판의 원칙, 구두변론주의, 직접심리주의 등과 같은 공판절차의 기본원칙들로 구체화되지만 그 실질은 결국 국민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에 놓여 있다. 그런데 실제문제로서 법정에서 직접주의와 구두변론주의를 철저히 하면서 집중적이고 계속적인 심리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사건의 쟁점(증인이라면 그 증언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심리계획을 사전에 세우는 것(반대신문의 준비)이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배심재판은 집중심리로 진행되기 때문에 주도면밀한 사전준비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새삼 거론할 필요도 없다. 피고인의 방어권이 얼마나 실효적으로 보장될 수 있는가는 사전준비가 얼마만큼 충실히 행해졌는가에 달려 있다. 이런 이유로 증거의 사전개시는 대단히 중요하다. 충분한 증거개시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심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게 되면 탄핵이나 반증의 단서를 잡아낼 수 없고 철저한 사실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심리가 종결될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령 검찰측 증인의 수사단계에서의 진술조서가 개시되었다 하더라도 그러한 조서의 개시만으로(조서의 내용을 아는 것만으로) 변호인의 반대신문을 위한 준비가 충분하게 되었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국민참여재판에서는 배심원이 참고인진술조서 등 서면을 읽기 보다는 증인의 증언과 증인을 둘러싼 검사와 피고인측의 공방을 직접 보고 들으면서 심증을 형성할 것이므로 증인신문의 중요성은 더욱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조서의 개시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정보획득방책으로서 검찰측 증인에 대한 반대신문을 위한 사전면담의 필요성이 현실적인 문제로서 다가오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의 헌법재판소 판례(헌법재판소 2001.8.30. 99헌마496 전원재판부)는 시사하는 바가 아주 크다. 미국에서는 Gregory판결을 계기로 판례법으로서 변호인의 검찰측 증인에 대한 사전면담권이 보장, 정착되고 있다. 변호인에 의한 검찰측 증인(예정자)에 대한 사전면담은 증거서류의 개시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중요증인에 대한 반대신문을 위한 준비기회를 보장함으로써 종국적으로는 진실발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사실인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에 접하고 적절한 공판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사실인정자(배심원)가 적정한 판단을 내릴 수 없다. 통상재판에서는 물론이고 특히 국민참여재판에서 적정한 사실인정을 통한 공정한 재판이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제도적 장치, 시스템)이 필요한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Criminal Procedure Revision Act contains some provisions about trial-centered court proceeding and pre-trial discovery. An ultimate goal of the trial-centered court proceeding is ensure a fair trial. Right to a Fair Trial could be realized through substantial guarantees of defense rights. The guarantees of defense rights of the accused is premised right to effective assistance of counsel. An importance of witness-interrogation procedure is getting bigger by adopting of the lay participation trial. Thus preparations of the cross-examination by the defense counsel to the prospective prosecution witnesses are very crucial. By the way, the defendant's ability to acquire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case is extremely limited. The defendant usually confronts the prosecution forces not only with meager resources, but also under statutory and doctrinal rules that restrict his ability to gather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case. In this point, the prosecutor's evidence should be disclosed broadly. Prosecutors play a distinctive role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Their responsibility is not to an individual client bur to the cause of justice. Accordingly, prosecutors are guided by higher ethical considerations than those governing attorneys generally. The prosecutor exercises a "quasi-judicial" function. Because the prosecutor exercises such awesome power, society requires "assurance that those who would wield this power will be guided solely by their sense of public responsibility for the attainment of justice". The right of defendants to interview witness without prosecutorial interference is grounded in the constitutional guarantee of due process and right to a fair trial. In this sense, the prosecutor should not advise any person or cause any person to be advised to decline to give to the defense information which such person has a right to give. A pre-trial defense contact with witnesses should be free from prosecutor's obstruction.

      • KCI등재

        미국 군사재판의 형사절차에 관한 주요 특징과 시사점

        도중진(Toh, Joong-Ji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圓光法學 Vol.32 No.3

        최근 군에서 발생한 일련의 대형사건(폭행・총기 등에 의한 살인 등)들은 군사법원법 또는 군사재판제도의 발본적인 개정・개선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군의 자율성과 특수성의 인정 아래 헌법적 근거로 운영되는 군사재판제도의 다양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논의는 재판의 공정성 담보 문제로 귀착된다고 할 수 있다.우리나라 군사법원법과 군사재판제도는 미국의 통일군사법전(UCMJ)과 군사재판제도의 영향 아래 탄생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군사재판제도의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미국 군사재판의 형사절차에 관한 주요 특징을 고찰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라 할 것이다. 미국 군사재판의 형사절차에서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 피의자・피고인의 제권리가 일반 형사절차의 경우보다도 두텁게 보장되는 점 [예컨대 미란고지의 범위 확장, 피의자의 자력과 무관하게 공공변호인을 선임하거나 UCMJ 제32조의 심문(공판전조사)을 통한 검사의 전면적 증거개시의무 및 양형의 재심사 등], 둘째 UCMJ 제39조의 심문절차 중 하나인 기소사실인부절차에서 유죄답변협상을 통하여 공판전합의가 이루어지며 이 합의는 선고형의 하한으로 작용하는 점(사형사건은 제외), 셋째 공판심리에 대하여 벤치재판과 배심재판을 피고인이 선택할 수 있는 점, 넷째 각 죄를 포괄하여 하나의 형으로 처리하면서 형을 양정하는 점, 다섯째 지휘관(CA)에 의한 승인・사후심사절차에서 공판후합의가 인정 되는 점, 여섯째 군사재판의 모든 절차에서 지휘관의 불법적인 영향력 행사를 금지하여 재판의 공정성을 담보하는 점, 일곱째 특정한 형이 부과되는 사건에 대하여는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 자동적 상소제도를 인정하는 점, 여덟째 신병이 구금되어 있는 자(구금시 설에 수용된 수형자를 포함)는 일반 연방법원에 ‘인신보호영장’에 의한 구제를 신청할수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미국 군사재판제도의 특징을 토대로 첫째 심판관제도와 관련하여서는 장교, 부사관, 병사 및 군무원 등이 합리적인 비율에 따라 동료의 군사재판에 참여할 수 있는 미국식 배심재판의 도입 내지는 일반 형사절차상 국민참여재판과 같은 장병등의 참여가 가능한 혼합형 참여재판의 도입 여부, 둘째 피의자나 피고인의 자력여부와는 무관한 일률적인 국선변호인 선정제도의 도입 여부 및 방어권의 전제가 되는 미란다고지의 범위 확장 여부, 또한 피해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군사재판에의 피해자참가제도의 도입가능성 여부, 마지막으로는 관할관 및 지휘관의 권한에 대한 발본적인 제도적 보완과 더불어 군사재판의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 UCMJ상 지휘관의 군사재판에 대한 불법적인 영향력 행사 금지조항과 같은 규정의 도입여부를 향후 심도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 series of large-scale incidents that occurred recently in the military(assault, murder by the gun) raise Military Court Act’s problems or drastic revision of the military court system. Especially, under the military autonomy and certification of particularity, discussion to impro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military court system, which is operated by constitutional grounds, can be concluded to a problem of fairness of the collateral of the trial. Korea Military Court Act and military court system was bor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s uniform code of military justice(UCMJ) and the military court system. Therefore, as a basic research, in order to seek an efficient improvement of the military justice system of our country, considering the trends in criminal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court is a meaningful thing. A major feature in the criminal proceedings of the US military tribunal are like that, first, suspect and the accused’s rights can be guaranteed(for example, Miran rule’s expansion, appointment of public attorney, interrogation of UCMJ Article 32 (such as pre-trial investigation), second, the pretrial agreement through a plea-bargain are carried out in the indictment, and fact approval or disapproval procedure is one of the interrogation of the UCMJ Article 39, third, it can be possible to choose a bench trial and jury trial for the proceedings, fourth, to treat the crime of each type as a single type, fifth, in the process of CA’s approval and posterior judgement, Agreement after trial can be recognized, sixth, to prohibit illegal influence of the commander in all the steps of the military court and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trial, seventh, for the incident that a particular type are imposed, to admit automatically appeal system for the accused, eighth, recruits (including the inmates housed in the detention facility) who have been detained,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for relief by the habeas corpus to the general federal cour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 military court system, first, it need to introduce the american jury system or not the system that officer,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and military service members shall take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hearing examiner system by a reasonable percentage and mixed participation trial, such as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on such criminal proceedings. Second, regardless of introducing a court-appointed counsel selection system regardless of suspect and accused’s property, expansion announcement of Miranda Principle, third, whether the participation of victims in the military trial for victims of rights protection, or not, finally, to supplement institutionally the jurisdiction and the commander’s authority and in order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military court, it need to introduce a prohibition which is commander of the US UCMJ’s unlawful influence on the military trial.

      • KCI등재

        현행 구속사유 해석을 둘러싼 혼란과 그 개선방안

        이승주(Lee, Seung Joo) 한국법학원 2018 저스티스 Vol.- No.167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형사사법에 있어 구속률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였고, 불구속 수사 원칙이 실질적으로 안착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속제도를 둘러싼 논란은 현재진행중으로, 그 근본적 원인은 ‘도망의 염려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라는 추상적인 형사소송법상의 구속사유 규정에 있다.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으로 ‘범죄의 중대성, 재범의 위험성, 피해자 등에 대한 위해우려’라는 구속사유 판단의 필요적 고려사항이 명시되었으나, 그 적용기준이 불분명하여 오히려 해석상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구속사유를 둘러싼 혼란이 명확성과 예측가능성을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절차적 사유만을 중심으로 구속 여부를 결정하면 형평성이 훼손되고, 인신구속제도가 빈자·외국인 등 사회경제적 약자에 대한 억압과 차별의 기제로 운영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가입 선진국 12개국의 구속사유를 분석한바, 우리나라와 일본 두 나라만이 유일하게 ‘도망 또는 증거인멸의 염려’라는 추상적이고도 절차적인 구속사유 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다른 선진국들은 모두 실체적 사유를 독자적 구속사유로 명문화하고 있으며, ‘범죄의 중대성’을 구속사유 판단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행 형사소송법의 구속사유 규정은 명확성, 예측가능성, 형평성을 저해하고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사법불신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제는 형사소송법의 제정 이후 한 번도 개정된 적이 없는 구속사유 규정 자체에 대하여 본질적인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구속사유 해석의 명확성,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무협의, 구속영장 발부·기각 사유 상세 기재, 규정 또는 판례를 통한 구속사유 판단기준 명확화가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구속사유를 다변화하고, 구속사유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형사소송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그 과정에서 범죄의 중대성을 구속사유의 중심 고려사항으로 규정하고, 비례의 원칙에 따라 그 남용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has been more than ten years since the right to confront the judge before pre-trial detention and the principle of investigation without pre-trial detention were adopted in South Korea. The rate of pre-trial detention has been also dramatically decreased. However, the dispute over pre-trial detention in ongoing, because the substances of pre-trial detention – the risk to flee or to destroy evidence – are vague, broad and abstract.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South Korea ruled that ‘seriousness of a crime, risk of repetition of the crime, anticipated harm to the victim and important witness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ut the standard for applying and interpreting the rule is ambiguous and discretionary. This article empirically analyzes that disorder in interpreting the substances of pre-trial detention is harmful to clarity, predictability, and even more to fairness. The formal interpretation may cause the pre-trial detention to operate as a mechanism of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o-economic weakness. Furthermore, this article finds that only South Korea and Japan have abstract and formal substances for the pre-trial detention among 12 developed countries. Most of other countries consider ‘the seriousness of a crime and the risk of repetition of a crime’ as a major substance to determine the pre-trial detention, and have clearer and more specific rules for interpretation. The pre-trial detention should be the last resort under the principle of justification, clarity, predictability and fairness. The current rule of South Korea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clarity, predictability and fairness. It will lead to distrust in the criminal justice. It is time to fundamentally discuss upon the substances of the pre-trial detention in South Korea, which have never been changed since 1954. In a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make judges write specifically on the reason approval of dismissal of the pre-trial detention, and make an uniform standard for applying the rule by the precedents. In a long term, however, legislation is needed. The statute should be amended to make substances of pre-trial detention more diverse and specific.

      • KCI등재

        피의사실공표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사전적, 절차적 예방의 모색 -

        한상훈 ( Han Sang Hoon ) 한국형사정책학회 2021 刑事政策 Vol.32 No.4

        한국에서 피의사실공표죄는 1953년 제정된 형법 이전의 의용형법에도 존재하지 않던 규정이나 제정당시에 법제사법위원회의 제안으로 신설된 규정이다. 피의사실공표죄는 1953년 형법 제정시에 신설되어 지금까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죄이다. 하지만 실제로 지난 11년간(2008~2018년) 피의사실 공표 혐의로 접수된 사건은 347건이나 기소된 건수는 전무하다. 사실상 피의사실공표죄의 실효성은 상실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2019. 5. 27. “범정부기구를 구성해 ‘수사공보에 관한 법률’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또 “주요 혐의 사실은 공보 대상에서 제외시키고, 공적 인물인 경우 오보 해명 공보 외에는 절대 허용해선 안 된다”고 권고했다. 그럼에도 피의사실공표와 관련된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피의사실공표죄에 대한 개정안이 여러 차례 국회에 제출되었지만, 통과되지 않았다. 지속적으로 피의사실공표의 문제점은 심화되고 있지만, 실효성은 상실하였고, 개정안조차 제대로 논의되고 있지 못한 현재의 상황은 어쩌면 피의사실공표와 관련하여 우리 사회는 ‘법적 식물인간’ 상태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법적 문제상황을 점검하면서 효율적인 인격권의 보호를 위하여는 사후적 제재방안이 아닌 사전적 구제절차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러한 관점에서 피의사실공표죄의 조문개정, 절차적 보호방안 등을 강구하는 방향으로 개선책을 제안해본다. 본고가 제시하는 주된 제안은 국민참여재판과 관련하여 수사사실을 공개를 공소제기 이전까지가 아니라 제1심의 종료까지 제한하는 것이다. 수사기관의 과도한 피의사실, 피고사실의 공표와 언론보도는 배심원재판은 물론이고 법관재판에서도 공정한 재판을 해할 우려가 크다. 이때 피의자에 대한 피의사실, 나아가 1심의 종결 전까지 피고인에 대한 피고사실의 공표를 금지, 제한하게 되면 이것이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 제약하는 것은 아닌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공소제기 이후의 피고사실의 경우에는 수사기관이 언론브리핑을 통하여 알 권리를 충족시킬 필요가 전혀 없다. 공개재판이 시작되면, 피고인측과 검찰측의 입장은 준비절차를 포함한 공판절차에서 충분히 개진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언론은 증인의 증언을 생생하게 접하고, 반대신문을 통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므로, 국민이 보다 정확한 사실에 대한 알 권리를 누리는 것은 전혀 제약되지 않는다. 물론 성폭력범죄나 기타 비공개사유로 공판 자체가 비공개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알 권리 차원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일부 기자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법원의 공보를 통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택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피의사실공표죄는 위헌적 조문도 아니고 불필요한 조항도 아니라고 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우리와 동일한 처벌규정은 없지만, 국민참여재판과 관련하여 배심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사한 처벌규정이 있거나 법정모독죄로 처벌하는 입법례를 가진 영미법 국가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피의사실공표죄도 변화된 현실에 맞추어 국민의 알권리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그리고 명예와 인격권의 보호를 고려해야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In South Korea, article 126 (Release of Facts of Suspected Crime) provides that a person who, in the performance or supervision of, or in the assistance in, functions involving prosecution, police, or other activities concerning investigation of crimes, makes public, before request for public trial, the facts of a suspected crime which have come to his/her knowledge during the performance of his/her duties,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three years, or suspension of qualifications for not more than five years. It was not until the Criminal Act was enacted in 1953 that the crime existed in the Criminal Act. Since the crime of publication of the suspected crime came into force in 1953, there have been rare indictments. In the past 11 years (2008-2018), there were 347 cases of accusation of release of suspected crime, but none have been prosecuted. In fact, it can be sai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rime of prosecution has been lost. Amendment bills to the crime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several times, but they failed to pass the National Assembly. Although the problems of public release of suspects continue to intensify,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even amendments have not been properly discussed may be called “legal vegetable state” in our society in relation to the accusations of suspicion. In this paper, while examining these legal issues, w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aradigm to ex ante relief procedures rather than ex post sanc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 protection of personal right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poses a remedy in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provisions and procedural protection measures. The main proposal presented in this paper is to limit the release or publication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investigations in relation to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not until the end of the first instance. Excessive release of investigation results by investigative agencies, and media reports are highly likely to harm fair trials in not only jury trials but also in bench trials. At this time, there may be controversy over whether or not this infringes or restricts the public's right to know where the charged facts against the accused is restricted before the judgment of the first instance.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a trial, there is no need for the investigative agency t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a press briefing. This is because when the public trial begins, the opinions of the defendant and the prosecution are sufficiently expressed in the trial process including the preparation process. Rather, since the media can come in contact with the witnesses' testimony vividly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through cross-examination,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 truth of a crime and a trial is fully satisfied. Of course, if a trial is conducted privately due to a sexual violence crime or other non-disclosure grounds, there may be problems in terms of the right to know. In this case, it would be appropriate to allow some reporters to enter or to provide information through court publications with no identifying information of the victims. It would be said that the crime of release or publication of the suspected facts is neither an unconstitutional provision nor an unnecessary provision. Foreign countries do not have the same penalties as we do in South Korea, but there are similar penalties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jurors in relation to public participation trials, or some countries have laws punishing the release of the charged facts as a contempt of court. The crime of release or publication of suspected crime need to be reorganized in lin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such as the jury trial system which was introduced in 2008 in South Korea. In doing so,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people's right to know, the right to a fair trial, and the protection of honor and personal rights as well.

      • KCI등재후보

        국민참여 재판제도 시행과 인권옹호

        한상훈(Sang Hoon HAN) 한국법학원 2008 저스티스 Vol.- No.102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국민의 형사재판 참여제도는 민주적 정당성과 사법에 대한 신뢰를 제고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참여재판을 인권의 관점에서 평가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 이 논문은 참여재판을 인권의 시각에서 바로보고자 한다. 일종의 참여재판에 대한 인권영향평가라고 볼 수 있다. 참여재판은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적법절차원칙, 진술거부권,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귄리, 평등권 등에 있어서 피고인의 권리와 관련되고, 배심원과 관련하여서는 사생활의 비밀에 대한 권리가 문제될 수 있다.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는 피고인이 참여재판을 희망할 경우, 그것이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포기하는 것인지와 관련하여 논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참여재판에서도 법관은 전체 과정을 평가하여 보면 주도적인 지위에 있으므로 참여재판이라고 하여 법관에 의한 재판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참여재판은 배심원이 참여하여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재판이 되는 것이므로 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가 침해되거나 포기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도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다. 적법절차의 원칙은 공정하고 평등한 공격방어의 기회와 관련된다. 참여재판과 신 형사소송법은 실질적 공판중심주의를 관철하기 위하여 전문증거의 증거능력을 제한하고,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검사작성 피신조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하며, 수사단계에서 조사자의 진술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문증거의 인정범위 확대가 공정하고 적법한 범위를 넘어서서 피고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세심하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 피고인이 진술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일정한 경우 가중적 양형으로 인정되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내용이 참여재판에서 배심원에게 명시적으로 설시될 경우 진술거부권이 실질적으로 침해될 소지가 크다. 참여재판에서는 보다 철저히 진술거부권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참여재판에서는 피고인에게 유능한 변호인의 존재가 더욱 절실하다. 사회적 빈부의 차이가 사법적 정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실질적으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참여재판에서 필요적 국선변호는 참여재판에 전문적인 변호인들이 담당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평등권은 피고인이 참여재판을 받고자 할 때 이유 없이 제외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아울러 배심원으로 참여할 국민의 권리가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배심원이나 후보자의 신상정보나 사생활이 언론이나 피고인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은 사생활의 비밀에 대한 권리는 물론 공정한 재판을 위하여도 필수적이다.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s Act」(the Act)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on April 30, 2007, and it comes to effect on Jan. 1, 2008. The Act introduces Civil participation system in serious criminal trials. The jury is selected randomly from a district area, and will decide the guilty/not guilty (sometimes after consultation with the court) in order to recommend its opinion to the court. Though the recommendation of the jury is not binding, the court must have regard to it, and must give reasons when the court returns a different verdict from the jury’s. In case of guilty, the jurors also give their opinion on the sentence of the accused individually, which is not binding. The new jury system is somewhat hybrid system between a pure jury system and a continental mixed jury system. In this sense, we can say the hybrid system is a kind of pilot system, in order to determine which system is appropriate for the Korean culture and legal background. As the author worked for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Judicial Reform, he was engaged in drafting the Act, and took a role in preparing and exercising mock jury trials. This paper explores the civil participation system from the standpoints of human rights. We can question whether the right to fair trial, right to trial by judge, right to remain silent, right to privacy, and right to equal protection are in conflict with the participation system. The author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scope of each human right, considering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participation system does not breach on the right to trial by judge, because the system still maintains the presiding role of the judge. In regard of fair trial, the participation system and new criminal code provides for admissibility of more hearsay evidences, so the new criminal code should be interpreted carefully. The privacy of jurors and potential jurors is crucial for the interests of the concerned and the fair trail as well. Right to counsel becomes more important under the participation system, so the Participation Act provides for court-appointed counsel to each defendant in juror-participated trials. In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system is expected to enhance democratic legitimacy and credibility of the judiciary. Still the trials must be monitored and examined with scrutiny, and ordinary people, legal experts, judges, prosecutors, lawyers, and academics should cooperate closely in order to make the new system a success.

      • KCI등재

        각국의 재판중계제도의 현황과 시사점

        김재윤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37 No.2

        Professor Hans-Heiner Kühne, a professor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in Germany, has stated in his theoretical book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that the task of legal discipline on the principle of public trial is to find the middle way of reason(Mittelweg der Vernunft) between the advantages(cultivation of the vivid and critical legal consciousness for the criminal offender, transparency of the trial through de-anonymization and de-mystification of the judicial authority, and maintenance of the appropriateness of law discovery through judicial monitoring) and disadvantages (learning effective ways of defending against the criminal conduct in a court, the invalidity of court control by the public or mass media, the risk of serious infringement of the personality rights of the defendant and witness) of the principle of public trial. It is thought that the middle way of reason(Mittelweg der Vernunft) of trial broadcasting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the foreign trial broadcasting system in this paper is as follows given the reality of jurisdiction in our country. First, there is a need to further expand the trial broadcasting on a public hearing of the major criminal case submitted to the Supreme Court Full Bench Ruling. This is because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infringing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se since the Supreme Court is a judicial judgement, and also there are many issues of high national interest as well as the legal persons involved since the Supreme Court Full Bench Ruling contains the important criminal law theoretical and criminal political contents that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preced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whole trial broadcasting of the public hearing, as well as the major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especially the sentencing scene of the impeachment trial case of the president. It is because that the Unconstitutional or constitutional decision in the maj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 constitutional petition or unconstitutional proposal is the matter to influence the national life greatly, and it can increase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by broadcasting the public hearing of the affirmative side and negative side about unconstitutionality. In addition, in the view of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he impeachment trial,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guarantee the rights of the people to know by completely allowing not only the trial broadcasting on the public hearing exercised over the whole procedure of impeachment trial but also the sentencing scene. Third,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trial broadcasting only for the major crimes such as the serial murder cases, robbery and rape cases, corruption cases of corporations, bribery cases of politicians, etc. which have the high national interests in the lower instance even. Of course, the permission of the trial broadcasting of the lower instance may infringe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se, personality rights, and privacy, but it is because that the public interest is much bigger, which can be gained by strengthening the jurisdictional access right through guaranteeing the rights of the people to know about these cases. In conclusion, the extended application of trial broadcasting for the Supreme Court Full Bench Ruling, the public hearing of the major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impeachment trial case of the president, and the judgement by the lower instance for the major serious crimes of high national interest will secure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trial under the observation of public sentiment, and further can contribute substantially to secure the public confidence for the trial and judicial accessibility to the trial. 독일 형사소송법 학자인 Hans-Heiner Kühne 교수는 자신의 형사소송법 이론서에서 공개주의에 대한 법률적 규율의 과제는 공개주의(the principle of public trial)의 장점(규범 수범자에 대한 생생하고 비판적인 법의식의 함양, 사법기관의 탈익명화・탈신비화를 통한 재판의 투명성 확보, 사법 감시를 통한 법 발견의 적정성 유지)과 단점(범죄행위에 대한 법정에서의 효과적 방어방법 학습, 대중 또는 대중매체에 의한 법원 통제의 무가치, 피고인과 증인의 인격권의 심각한 침해 위험)의 사이에서 ‘이성의 중도(Mittelweg der Vernunft)’를 발견하는 것이라고 기술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 외국의 재판중계제도의 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얻어 낸 재판중계(trial broadcasting)에 대한이성의 중도는 현재 우리나라의 사법 현실을 고려할 때 다음의 정도라 생각된다. 첫째, 대법원 전원합의체에 회부된 주요 형사사건의 공개변론에 대해 재판중계를 더욱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대법원은 법률심이므로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우려가 적으며, 대법원의 전원합의체 판결은 종래 판례의 입장을 변경하는 중요한 형법이론적・ 형사정책적 내용을 담고 있어 법조 관계자는 물론 국민적 관심이 높은 사안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헌법재판소의 주요 결정, 특히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 대한 선고 장면뿐만 아니라 공개변론에 대해 전면적으로 생중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탄핵심판이 갖는 헌법적 중요성이 비추어 볼 때 선고 장면뿐만 아니라 탄핵심판 전과정에서 펼쳐지는 공개변론에 대해 전면적으로 생중계를 허용함으로써 국민의 알권리를 보다 충실히 보장할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주요 헌법소원 내지 위헌제청의 위헌심판에 있어 위헌 내지합헌 결정은 국민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며, 위헌 여부에 대한 찬성측과 반대측 공개변론이 생중계됨으로써 국민들의 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하급심에서도 국민적 관심이 고조된 연쇄살인사건, 강도강간사건, 기업의 부정부패사건, 정치인의 뇌물수수사건 등 주요 중대범죄에 한정하여 재판중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하급심의 재판중계의 허용은 피고인의 방어권과 인격권, 그리고 사생활의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있으나, 이들 사건에 대한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통해 사법접근성을 강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공공의 이익이 더욱 크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대법원의 전원합의체 판결, 헌법재판소의 주요 결정과 대통령 탄핵심판사건의 공개변론, 그리고 국민적 관심이 높은 주요 중대범죄에 대한 하급심 판결에 있어 재판중계제도의 확대적용은 여론의 감시 하에 재판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재판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사법접근성을 확보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