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성경 이해도에 관한 연구 ― 세 종류의 한국어 성경번역본을 중심으로

        김재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comprehension level of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Korean Bibles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n to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witch from one type of Korean Bible to the next.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is subject are introduced, and the importance of reading the Bible and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were included In total, 10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Young Ahn Baptist Church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selected versions of the bible were the Easy Bible, the Children’s Bible modified from the Modern Language Bible, and the Revised Korean Bible, and the narrative story for the test was chosen form the Old Testament. The rewiring test tool and SPSS 18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deeper analysis, gender, parent’s church attendance, age, and church membership period were surveyed alongside Bible version comprehension.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scores across the three different Bible versions chosen. Even though comprehension scores of the Easy Bible and the Children’s Bible were higher than the comprehension score of the Revised Korean Bible, the p-value was slightly higher than 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ble comprehension scores across student grade levle; older students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younger students. Comprehension test scores from each age group were analyzed, and it found that firs year middle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Bible versions. Analaysis showed that firs year students were better able to comprehend the Easy Bible and the Children’s Bible than the Revised Korean Bible, while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t in comprehension score across all three Bible vers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asy Bible or the Children’s Bible be used for firs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vised Korean Bible be sued for second and third year middle students. Fro further study, the factors which affect middle school students’ Bible comprehension may be explored.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2학년 그리고 3학년 학생들이 성경 버전에 따라 성경 본문의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는지 분석하여 가장 적절한 성경 교체시기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선행연구 및 성경 읽기의 중요성과 읽기 과정을 이론 배경에 넣었으며 연구를 위해 부산 영안 침례교회에서 총 100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택된 성경 버전은 쉬운 성경과 현대어 성경을 토대로 만들어진 어린이 성경 그리고 개역개정이었으며 구약성경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본문을 선택하였다. 준비된 설문지를 대상자들에게 랜덤하게 배분하였으며 평가와 분석을 위하여 Rewriting and scoring과 SPSS 18을 사용하였다. 차후 성경 이해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부모님의 교회 출석 여부, 교회를 다닌 기간, 교회 내 훈련 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경 버전에 따른 유의미한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즉 중학생들은 쉬운 성경과 어린이 성경의 이해도 점수가 개역개정보다 높긴 했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학년별로 점수를 비교했을 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성경 이해도 점수에 있어서 중학교 저학년보다 고학년이 월등히 높은 점수를 얻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발견한 또 한 가지 중요한 결과는 1학년은 성경 버전에 따라 이해도 점수가 유의미했지만 2학년과 3학년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1학년의 경우 쉬운 성경과 어린이 성경을 개역개정보다 월등히 잘 이해하지만, 2학년과 3학년의 경우 여전히 개역개정이 낮은 점수를 받긴 하지만 그 차이가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가급적 중학교 1학년까지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수월한 쉬운 성경이나 현대어 성경을 사용하고 2학년이나 3학년이 되어서 성인이 사용하는 개역개정을 사용하도록 권장하였다. 또한 학년별로 나누어 성경공부를 진행하는 것을 권하였고 더 진행해야 하는 연구로는 중고등학생들이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도록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 고학년 학생들이 성경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연구

        김재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which able to affect on 4th, 5th, and 6th graders’ Bible comprehension. In background of theory, it contains defini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More than 300 older children in Seoul, Gunsan, and Busan were surveyed to find which factors affect o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vised Bible, Easy Bible and Children Bible was chosen for the survey. The same content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versions of the Bible and they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find the factors which affect o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gender, grader, parent’s church attendance, how long reader has attended church, and the level of difficulty students feel were surveyed at the same time.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ible comprehension scores across three translations of the Bible. Revised Korea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Easy Bible and Children Bibl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asy and Children Bible comprehension scores. Second, level of difficulty students felt affected to the Bible comprehension scores. When students felt the Bible text they read difficult, they showed low score. Also, if they said the Bible texts were easy, they got higher score than students who felt the text difficult. Third, gender, grader, parent’s church attendance, how long reader has attended church did not affect to the Bibiel comprehension scor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ble reading comprehension score between boys and girls, and across grader, parent’s church attendance, and years of student’s church attendance. It was suggested to use Easy Bible or Children Bible rather than Revised Korean Bible for better Bible comprehension. Also, it was recommended to help student feel the Bible text easy. The same study for each Bible version was suggested for future study.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그리고 6학년 아이들이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파악 및 분석하기 위함이다. 독서와 이해의 정의와 과정을 이론적 배경에 넣었으며 초등부 고학년의 성경이해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과 군산 그리고 부산에 있는 세 교회의 네 개 예배당에서 총 300여 명의 아이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개역 개정과 쉬운 성경 그리고 현대어 성경을 어린이 성경으로 바꾼 세 가지 버전의 성경에서 동일한 본문을 선택하여 아이들에게 랜덤하게 나누어주어 그 글을 읽고 다시 기록하게 하는 Rewriting and scoring (다시 쓰기) 방법을 선택하였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성경 이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부모님의 교회 출석 여부, 얼마나 교회를 오래 다녔는지, 교회 내에서 훈련은 받았는지를 함께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경 버전에 따른 결과는 유의한 수준에서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개역 개정 구약과 신약 점수 모두에서 쉬운 성경이나 어린이 성경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점수가 낮게 나왔다. 하지만 쉬운 성경과 어린이 성경에서의 구약과 신약 점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둘째, 아이들이 느끼는 난이도에 따라 성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한 수준의 영향을 주었다. 즉 참여한 학생들이 느끼는 난이도가 높으면 성경이해도 점수는 낮았으며, 쉽다고 답할수록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는데, 이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셋째로, 교회를 얼마나 오래 다녔는지, 부모님의 교회 출석 여부, 성별의 차이는 성경이해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개역 개정보다는 쉬운 성경을 아이들에게 사용하는 것을 권하였고 참여자가 최대한 쉽다고 생각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하였다. 더 진행되어야 하는 연구로는 각 성경 버전에 따라 동일한 연구가 다시 진행도기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