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非子의 尊君 사상 − 仁, 義, 禮의 法家的 해석을 통해서 −

        양순자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한비자의 정치 철학은 엄격한 법치를 통해 부국강병을 이룩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유가적인 도덕에 의한 통치는 배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런 견해는 한비자가 인의(仁義)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데에서 기인한다. 한비자는 법에 의한 엄격한 통치를 옹호하면서 군주의 인의의 시행을 비판한다. 그러나 『한비자』에는 인의에 대해 부정적인 언급이 있는 반면에 동시에 인의에 대해 옹호하는 부분도 있다. 학자들은 한비자가 인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발언한 것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양계웅은 법가인 한비자가 인의를 옹호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위작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한비자가 그의 스승인 순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본다. 기존 견해의 공통점은 『한비자』에서 나타나는 인의에 대한 옹호적인 부분을 유가와 연관시킨다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한비자는 인의를 옹호하지만 그 개념들을 유가와 다른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의를 법치에 맞게 재구성했다. 다시 말하면 그는 기존에 유가의 전유물이라고 알려진 인, 의 등을 왕권강화라는 목적에 맞게 재해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의 구별⋅차별이라는 속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비자는 본질적으로 구별⋅차별의 역할을 하는 예를 인⋅의보다 우선시함으로써 인⋅의를 왕권강화와 위계질서 유지라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다.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Han Feizi's major political goal is to accomplish a rich and powerful state by means of the strict enforcement of law and as a result is to criticize a moral government. This interpretation is caused by anti-Confucian statements in the Hanfeizi. In fact, some parts of the work advocate rule by law, but criticize rule by a moral ruler. However, the Hanfeizi holds affirmative views of ren and yi while criticizing the virtues at the same time. Scholars have presented several interpretations with regard to the favorable parts of the virtues. For instance, Liang Qixiong states that they are unauthentic since Han Feizi as a legalist would not have advocated ren, yi and so on. On the other hand, other scholars argue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Han Feizi's teacher, Xunzi, who is one of the prestigious Confucian philosophers. These traditional views associate the advocacy of the virtues of the Hanfeizi with Confucianism. In my view, Han Feizi supports virtue-related terms in his theory, but uses them in a different connotation for his theory of law. In other words, he reinterprets ren and yi in order to secure the sovereignty and in the process li with the function of differentiating or discrimina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Han Feizi offers li as the guideline for the virtues of ren and yi and reinterprets them in order to solidify the sovereignty and maintain a social hierarchy.

      • KCI등재

        중국철학 : 한비자(韓非子)의 존군(尊君)사상 -인(仁), 의(義), 예(禮)의 법가적(法家的)해석을 통해서-

        양순자 ( Soon Ja Yang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한비자의 정치 철학은 엄격한 법치를 통해 부국강병을 이룩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유가적인 도덕에 의한 통치는 배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런 견해는 한비자가 인의(仁義)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데에서 기인한다. 한비자는 법에 의한 엄격한 통치를 옹호하면서 군주의 인의의 시행을 비판한다. 그러나 『한비자』에는 인의에 대해 부정적인 언급이 있는 반면에 동시에 인의에 대해 옹호하는 부분도 있다. 학자들은 한비자가 인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발언한 것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양계웅은 법가인 한비자가 인의를 옹호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위작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한비자가 그의 스승인 순자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본다. 기존 견해의 공통점은 『한비자』에서 나타나는 인의에 대한 옹호적인 부분을 유가와 연관시킨다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한비자는 인의를 옹호하지만 그 개념들을 유가와 다른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인의를 법치에 맞게 재구성했다. 다시 말하면 그는 기존에 유가의 전유물이라고 알려진 인, 의 등을 왕권강화라는 목적에 맞게 재해석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의 구별·차별이라는 속성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비자는 본질적으로 구별·차별의 역할을 하는 예를 인·의보다 우선시함으로써 인·의를 왕권강화와 위계질서 유지라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재해석했다고 볼 수 있다.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Han Feizi`s major political goal is to accomplish a rich and powerful state by means of the strict enforcement of law and as a result is to criticize a moral government. This interpretation is caused by anti-Confucian statements in the Hanfeizi. In fact, some parts of the work advocate rule by law, but criticize rule by a moral ruler. However, the Hanfeizi holds affirmative views of ren and yi while criticizing the virtues at the same time. Scholars have presented several interpretations with regard to the favorable parts of the virtues. For instance, Liang Qixiong states that they are unauthentic since Han Feizi as a legalist would not have advocated ren, yi and so on. On the other hand, other scholars argue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Han Feizi`s teacher, Xunzi, who is one of the prestigious Confucian philosophers. These traditional views associate the advocacy of the virtues of the Hanfeizi with Confucianism. In my view, Han Feizi supports virtue-related terms in his theory, but uses them in a different connotation for his theory of law. In other words, he reinterprets ren and yi in order to secure the sovereignty and in the process li with the function of differentiating or discriminating plays a significant role. Han Feizi offers li as the guideline for the virtues of ren and yi and reinterprets them in order to solidify the sovereignty and maintain a social hierarchy.

      • KCI등재

        한비자는 효를 부정하는가?

        朴晋佑(Park Jinwoo)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6

        한비자는 仁과 義를 비롯한 유가가 주창한 가치들을 부정하며, 인과 의와 같은 도덕 가치를 정치의 영역에서 배제하고자 시도한다. 그러나 한비자 내에는 仁義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한 부분들 또한 존재하며, 인의에 대한 긍정적 서술을 유가의 영향을 수용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들은 유가의 영향을 수용한 결과가 아니라, 군주의 권위 강화라는 목표 아래 재해석한 결과다. 이때, 한비자가 효라는 개념을 긍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효를 긍정한다는 것은 효의 내용 가운데 자신의 사상과 부합하는 부분이 있거나, 자신의 사상에 유용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한비자는 유가의 인의와 같은 맥락으로 효를 尊君이라는 맥락에 맞추어 재해석한다. 이때, 한비자가 언급하는 효의 실제 내용은 새롭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며, 고대부터 존재한 효의 본래 내용이다. 그가 효를 비판한 지점은 정치 영역 상에 있다. 한비자는 인재론을 통해 공적 영역으로 편입된 효를 재해석하여 효를 사적 영역으로 분리해 군주의 권위를 세우고자 하였다. 한비자는 충과 효의 대립 상황에서 충을 기준으로 효라는 가치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다. 『한비자』 「오두」에 나타나는 효와 충의 대립 문제에 대한 한비자의 관점은 한비자가 효라는 가치 자체를 부정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며, 한비자의 효 논의가 효의 정치화 시도를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Han Feizi has no interest in utilizing ethical virtues in his political scheme. Han Feizi denies the value of ren 仁 (benevolence) and yi 義 (righteousness), which are emphasized by Confucian scholars, and attempts to exclude moral ideas from his political pursuit. Even so, some passages of the Han Feizi seem to approve the value of ren and yi and it was understood as the Han Feizi’s reception of Confucian ideas. This is not the case and it should be deemed as a way to reinforce the authority of the ruler. Here, it is noteworthy that the filial piety is described as a positive concept. Han Feizi’s approval of filial piety means that he regards filial piety is in line with his thought or it is useful in fulfilling his political ideals. Han Feizi reframes the concept of filial piety in order to enhance the power of the ruler. But he does not add his own elements to filial piety. Han Feizi’s concept of filial piety basically adopts the original sense of filial piety which is to revere ancestors. His criticism on filial piety is related to political issues. His prime aim is to absolutize the power of the ruler by eliminating the public elements of filial piety and limiting the role of filial piety to the private sector.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Han Feizi negates xiao 孝 (filial piety) under the slogan of zhong 忠 (loyalty) when xiao and zhong are in conflict. The dilemmas of filial piety and loyalty in the “Wudu” 五蠧 chapter of the Han Feizi demonstrate that Han Feizi does not negate filial piety and his filial piety discourse is focused on rejecting the attempt to introduce filial piety into the politic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