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심률 및 각막형상이 자세변화에 의한 토릭소프트렌즈의회전에 미치는 영향

        김소라,한신웅,송지수,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3 한국안광학회지 Vol.18 No.4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rneal eccentricity and shape on the rotational pattern of toric soft lens by the postural change of lens wearers. Methods: The corneal eccentricity of 41 eyes (aged 20s) having −1.0 D with-the-rule corneal astigmatism (WRCA) was measured, and then toric soft lenses were fitted with the amount of total astigmatism. In lying and straight postures, the rotation of toric soft lenses was recorded by a camera attached to slitlamp and analyzed. Results: Most toric soft lens designed with accelerated stabilization rotated to the temporal direction, which was the lying position direction, regardless of corneal eccentricity, and some lenses rotated to the nasal direction for high corneal eccentricity and corneal type of asymmetric bowti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rotation and corneal eccentricity right after of contact lens wearing in straight and lying posture, however, the amount of rotation was the greater for the cornea with the higher eccentricity after the subjects laying down for some period. The speed of lens rotation started to decrease after the subjects laying down, but the speed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difference. The amount of lens rotation for symmetric and asymmetric bowtie-typed corneas increased more than it for oval-typed cornea, and it was same even with time elapsing. The speed of lens rotation in lying posture was the slowest in asymmetric bowtie-typed cornea compared with other corneal types. Conclusions: From the present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 rotational pattern of toric soft lens was affected by corneal eccentricity and corneal shape when the wearer’s posture changed. Thus, i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tting guideline and the design of toric soft lens. 목적: 렌즈 착용자의 자세가 변했을 때 각막이심률 및 각막형상이 토릭소프트렌즈의 회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난시 −1.00 D의 직난시를 가진 20대 남녀 41안의 이심률을 측정하고 전체난시량에따라 토릭소프트렌즈를 피팅하였다. 정자세와 누운 자세일 때의 토릭소프트렌즈의 회전을 슬릿램프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Accelerated stabilization 디자인의 토릭소프트렌즈는 이심률에 관계없이대부분 누운 방향인 귀쪽으로 회전하였으며 이심률이 큰 경우와 비대칭나비형 각막에서는 코쪽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있었다. 렌즈착용 직후 정자세와 누운 자세에서 회전양과 이심률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일정 시간동안 누운 자세로 있는 경우는 이심률이 큰 각막에서 회전양이 더 컸다. 회전속도는 누운 자세로 변화된 직후부터 속도가 감소하였으며, 이심률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누운 자세로 변화된 직후 대칭나비형과 비대칭나비형의 경우는 타원형각막에 비해 회전양이 더 크게 증가하였으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마찬가지였다. 누운 자세에서의 렌즈회전속도는 다른 각막형태에 비해 비대칭나비에서 가장 느렸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자세변화시 토릭소프트렌즈의 회전 양상은 각막이심률 및 각막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토릭소프트렌즈 피팅 및 디자인 개발 시에 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각막 이심률별 눈물분포 비교

        김지혜,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tear volume and distribution by corneal eccentricity when fitted with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Methods: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in best alignment on a total of 77 subjects (136 ey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ithout any ocular disease or ocular surgery experience. The tear volume was analyzed by estimating the concentration of tear stained with fluorescein in the center of RGP lens as well as at the mid-peripheral and peripheral areas, and the difference of tear distributions was analyzed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Results: Tear distributio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al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on the corneal eccentricities of e < 0.38 and 0.68 ≤ e, indicating the relatively even tear distribution compared with other corneal eccentricity. In the case of aspherical RGP lenses, the difference of tear distribution between the central and peripheral areas was smaller than spherical RGP lens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ear distribution according to RGP lens design was observed in the corneal eccentricity of 0.48 < e < 0.68. In other words, more even tear distribution was shown when a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on the cornea with eccentricity of 0.48 ≤ e < 0.68 and spherical RGP lenses were fitted on the cornea with eccentricity 0.68 ≤ e. Furthermore, tear volume in the mid-peripheral area increased with higher corneal eccentricit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RGP lens design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is necessary since tear volume and distribution by the regions of spherical and aspherical lenses are affected by corneal eccentricity. 목적: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각막 이심률별 눈물양 및 눈물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는 20~30대 77명(136안)을 대상으로 가장 양호한 상태로 구면 및 비구면 RGP렌즈를 피팅하였다. 피팅된 RGP렌즈의 중심부, 중간주변부 및 주변부의 플루레신으로 염색된 눈물의 농도를 분석하여 눈물량을 분석하였고 이심률별로 눈물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 RGP렌즈 피팅 시 이심률 e < 0.38 범위와0.68 ≤ e 범위는 중심부부터 주변부까지의 눈물분포량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어 다른 이심률 각막보다 상대적으로고른 눈물분포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구면 RGP렌즈의 경우는 구면 렌즈에 비해 중심부와 주변부의 눈물분포량 차이가 적었으며, 이심률 범위 0.48 < e < 0.68 각막에서는 두 렌즈 디자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눈물분포차이가 나타났다. 즉, 이심률 범위 0.48 ≤ e < 0.68 범위의 각막은 비구면 RGP렌즈 피팅 시, 이심률 0.68 ≤ e 범위에서는 구면 RGP렌즈 피팅 시 더 고른 분포를 보였다. 또한 이심률이 증가할수록 중간주변부 눈물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부분별 눈물양 및 눈물분포는 각막 이심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각막 이심률에 따른 적절한 RGP렌즈 디자인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각막 이심률과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관계

        박은혜,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4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stable centrations of spherical RGP lens and aspherical RGP lens on cornea and corneal eccentricity. Methods: Two RGP lenses with different designs were fitted in alignment, steep or flat on total 84 eyes having corneal eccentricity of 0.28~0.78. The stable centration of lenses on cornea was analyzed by taking photographs with a high-speed digital camera. Results: The stable centrations of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in horizontal direction were decentrated to temporal side. More centration to median side was shown when corneal eccentricity was lar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ble centrations of spherical and aspheric RGP lenses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was bigger when the fitting state was flatter. The difference in the stable centrations of aspherical RGP lens was smaller than that of spherical RGP lens regardless of fitting status. The stable centrations of spherical and aspherical RGP lenses in vertical direction were located below corneal apex regardless of fitting statu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alyzed by the variation of corneal eccentricit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that RGP lenses were in upper eyelid with increasing corneal eccentricity. Conclusions: The consideration of corneal eccentricity is required for RGP lens fitting and manufacturing aspherical RGP lens since the stable centration of spherical RGP lens as well as aspherical RPG lens’ centration was changed depending on corneal eccentricity.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각막 이심률과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 이심률이 0.28~0.78인 각막 84안을 대상으로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 상태를 달리하여 착용시키고 각막에서의 중심안정위치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과 비구면 RGP 렌즈의 수평방향 중심안정위치는 이심률이 작은 각막에서는 귀쪽으로의 치우쳐짐이 컸으나 이심률이 큰 경우는 각막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하였다.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모두 피팅 상태가 플랫할수록 이심률에 따른 중심안정위치의 차이가 커졌으며,비구면 RGP 렌즈의 경우 각막 이심률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 모두 중심안정위치의 차이가 구면 RGP 렌즈 보다 더적었다.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착용 시 수직방향으로의 중심안정위치는 피팅 상태에 상관없이 모두 각막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였으며 각막 이심률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심률이 클수록 RGP 렌즈가 상안검에 맞닿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각막 이심률에 따라 구면 RGP 렌즈뿐만 아니라 비구면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가 달라졌으므로 RGP 렌즈의 피팅 및 제조 시에 이러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착용시간 및 응시방향에 따른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축 회전과 각막이심률과의 상관관계

        서우현,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1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neal eccentricity on the axial rotation when wearing toric soft contact lenses were worn for certain time and changing the gaze directions. Methods: Toric soft contact lenses with double thin zone design applied on 85 of with-the-rule astigmatic eyes. Then, rotational direction and amount of contact lenses were measured after 15 minutes and 6 hours of lens wear. The difference was further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Results: The rotation of toric lens showed a tendency to rotate to temporal direction in all gaze directions except temporal-upper direction in all groups of corneal eccentricity. The amount of lens rotation in the frontal gaze direction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since the amount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rneal eccentricity after both 15 minutes and 6 hours of lens wearing. In many cases, the cornea with small eccentricity also showed the lens rotation larger than 10o. The difference in rotational amount after 15 minutes of toric lens wear was small according to the corneal eccentricity however, the change of rotational amount of contact lens according to corneal eccentricity was shown after 6 hours of lens wear.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 amount of axial rotation was largely varied according to the wearer’s corneal eccentricity when wearing toric lens and the rotational amount after certain time of lens was also affected by corneal eccentricity.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selection of toric soft contact lenses based on corneal eccentricity is necessary. 목적: 본 연구에서는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를 일정시간 착용했을 때와 응시방향을 달리하였을 때 각막이심률이축 회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중쐐기형 축 안정화 디자인을 가진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를 85안의 직난시안에 착용시키고 착용 15분 후와 6시간 후에 각각 응시방향에 따른 회전방향 및 회전양 변화를 측정하고 각막이심률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 지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회전은 착용15분 후와 6시간 후 모든 각막이심률 군에서 귀-위쪽방향으로의 응시를 제외하고 모두 귀쪽으로 회전하는 경향이있었다. 정면주시할 때의 회전양은 착용 15분 후와 6시간 후 모두 각막이심률이 증가할수록 회전양이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이심률이 작은 각막에서는 10o 이상의 회전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15분 후의 회전양은 각막이심률에 따른 차이가 적었으나, 착용 6시간 후에는 각막이심률에 따라 회전양의 변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 각막이심률에 따라 축 회전양이 크게 달라지며 일정시간 착용 후의 회전양 또한 각막이심률에 영향을 받음을 밝혔다. 따라서 각막이심률에따라 적절한 토릭소프트콘택트렌즈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일산 소재 초중고 학생의 각막형상 분석

        오현진,오세자,김정미,최정훈,임현성,원찬희,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5 대한시과학회지 Vol.7 No.1

        청소년층의 각막헝상 및 안광학상수를 측정하고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분석을 등해 콘택트렌즈의 설계 빚 피팅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틀 얻고자 하였다. RGP 콘택트렌즈의 착용 경험이 없고 안질환이 없으며 건강한 경기도 일산 거주 초중고교 재 학생 285 명 (남학생 115 명 여 학생 170 명 평 균 연 령 11.3 :!: 2.8 세 )윤 대 상 으로 조절마비 자동꿀절검사, 각막 지형도 검사 (Oculus , Keratograph V l.65) 및 A -Scan Ultrasonography 륜 실시하여 꼴절이상도, 각막곡률반경, 이심률 및 안촉장플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과 정점으로부터 30。반경에서의 이심률은, 약주경 선 에 서 7,941 i 0.243 mm와 0.538 i 0.095 이 었 고, 강주 경 선 에 서 는 7.718 t 0.244 mm와 0.517 :!: 0 .l 47 이 었다 각막 정 점부 평균 곡률반경과 이 심률은 남학생의 경우 7.89::3 :!: 0.222 mm와 0.525:!: 0.111 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7.787 土0.236mm와 0.5::30 :!: 0 .l 06 이었 다. 성별에 따른 평균 나이와 이심룹은 차이가 없었으나 여학생이 난학생보다 각막 곡륭반경이 더 짧았마. 중고등학생군(평균 13.7 :!: l. 4 세)과 초등학생군(평균 8.9:!: l. 6 세) 의 평균 각막 곡륭 반경파 이심률은 7.821 :!: 0.227 mm와 0.508 :!: 0.l03 및 7.838 :!: 0.245 mm와 0.547 :!: 0.l1O 이었다 중고등학생군과 초등학생꾼 사이에서 정점부 곡률반경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 으나, 중고등학생군에서 초등학생군보다 이산플이 더 낯고, 안축장이 더 깊며, 딸션이 상도가 더 높은 것으로 니다났디. 또한 이심륜과 정점부 곡률반경 (r ~ 0.l 16, p ~ 0.005), 안축장/각막팍플반경 비 (r = -0.l00, p τ 0.017) 및 나이 (r = -0.214, p = O.OOQ:iJ 사 이에 낮은 상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성별에 따라 이심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에 따라 각바 형 상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성장기 학생에서 눈의 광학상수와 함께 각막 비구변도의 변화플 충분히 이해하고 콘택트렌즈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는 후속 연구가 펼요 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ü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eal topographic data in Korean students for application in fitting and design of orthokeratology lens, and to compare the ocular components as a functiün üf age and gender. We measured cycloplegic autorefraction, cümeal topography (Oculus, Keratograph V 1.65, Germany) and A-scan ultrasünügraphy (Sünomed A!B Scan 5500,USA) were perfürmed on 285 young students with no previous histüry of RGP wear in I1san-• city near Seoul (115 male and 170 female, mean age of 11.3:!: 2.8 yrs). The means üf apical radius and eccentricity(e-value) at 30 degrees from the cümeal apex were 7.941:!: 0.243 mm and 0.538:!: 0.095 respectively in the flattest meridian, and the same parameters were 7.718:!: 0.244 mm, 0.517:!: 0.147 in the stee야st meridian. The average apical radius and eccentricity of both meridians i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were 7.893:!: 0.222 mm, 0.525:!: 0.111 and 7.787:!: 0.236 mm, 0.530:!: 0.106, respectively. There was nü significant difference in eccentricity and mean age with gender, but girls had steeper cümeas than those of büYs. The average apical radius and eccentricity of meridians in both older group (mean age of 13.7 :!: 1.4 yrs) and younger group(mean age of 8.9:!: 1.6 yrs.) were 7.821:!: 0.227 mm, O.밍8 :!: 0.103 and 7.838:!: 0.245 mm, 0.547:!: 0.110, respectively. There was nü significant difference in apical radius and spherical equivalent between younger and ülder students, but the ülder group had lower eccentricity, longer axial length and higher refractive eπür than the younger group. The cürrelatiün between eccentricity and apical radius(r = 0.1 16, p 二0.005), axial lengtlνcümeal radius ratio(r 二0.100, p = 0.017) and age(r = -0.214, p = 0.0003) were significant. These comparative analysis shü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ccentricity with gender, but comeal shape shüws change with ag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fully understand the change of comeal asphericity with the optical components of the eye in young students during growing periüd and to apply this information to the practice üf ürthokeratology.

      • KCI등재

        일산 소재 초중고 학생의 근시군과 비근시군의 각막 이심률 비교분석

        장봉순,오현진,김정미,원찬희,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6 대한시과학회지 Vol.8 No.1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및 피팅에 참고할 자료를 얻기 위해, 안질환이 없는 일산 소재 성장기 학생 300 명(초 등학교 저학년 69 명, 초등학교 고학년 68 명, 중학교 99 명, 고등학교 64 명)을 대상으로 조절마비하 자동굴절검사와 각막지형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11. 74土2.97 세, 등가구면 굴절이상도는 -1.74:t2.40D, 각 막 정점부역 평균 독률반경은 7.97:t0.27 mrn, 각막 정점부에서 30도 반경의 평균 이 섬률은 0.53:t0.11, 비구면계수는 0.29 :t 0.11 로 나타났다. 각막정점부의 평균 곡률반경과 이심률은 연령별 4집단에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시군 및 비근시군에서 4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높야질수록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이 짧고, 이심률은 낮았으나, 굴절이상의 유 형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막의 정점으로부터 주변부로 갈수록 이심률이 증가하였고, 큰시군 빚 비근시군에 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이심률이 감소하였다 (r = -0.1811) 근시군과 비근시군에서 주 변부 각막은 수평방향에서 비측이 이측보다 더 평평해지고, 수평경선이 수직경선보다 이섬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광학상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막 정점부 곡률반경과 이심률, 나이 빚 비구면계수 사이에 상관성이 있었고, 이섬률과 나이 사이에서도 낮은 상관성 이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성장기 학생의 각막형상에 적합한 RGP, 특히 Orthokeratology 콘택트렌즈의 설계 빚 제조를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RGP, particularly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cycloplegic autorefraction and comeal topography (Oculus, Keratograph V l.65) were performed for the healthy 300 young students (69 students in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68 students in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99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64 students in high school) who líve in Ilsan. The mean values of the age,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comeal apical radius, eccentricity and asphericity at 300 area of comea for tota1 subjects were 11.7412.97yrs., -1.7412.40D, 7.9710.27 mm, 0.5310.11 and -0.2910.11, respectively. The comeal apical radius and eccentricity at 300 of comea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age group between myopic and non-myopic group,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age group both myopic and non-myopÍc group. As older the group’s age, comeal apical radius was shorter, the eccentricity was lower. The eccentricity of comea increased as it moved from the comeal apex to the peripheral part, and As older the group’s age, its value decreased both myopic and non myopic groups. 1n both groups, the nasal region was flatter than the temporal reg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orizontal meridians showed a larger difference in eccentri디ty than vertical meridians. There were showed significant but low correlation in comeal apical radius versus eccentricity, age and asphericity, and also eccentricity versus age.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apply this information for design and manufacture of an appropriate RGP, particularly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to comeal shape of young students during growing period.

      • KCI등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neal-Related Value and Ocular Sagittal Height

        Hyejin-Shin,Hyun-Il Kim 대한시과학회 2021 대한시과학회지 Vol.23 No.3

        목적 : 각막관련 수치가 안구의 새그높이에 미치는 영향과 어떠한 요소가 안구의 새그높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 30, 40, 50대의 건강한 240개의 눈을 대상으로 IOLMaster 700을 사용하여 전방깊이와 안구길이 를 측정하였고 Keratograph 4를 사용하여 각막중심곡률반경과 각막이심률을 측정하였고, KR-800을 사용하여 등가구면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각막 새그높이는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 각막 새그높이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요소는 각막직경이었고 그 다음은 각막이심률이었다. 그리고 각막중심곡률반경이 가장 작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0.10 mm 정도의 각막 새그높이 변화는 각막직경 0.20 mm 그리고 각막이심률 0.05~0.10의 변화에 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소프트 콘택트렌즈 피팅이 콘택트렌즈의 새그깊이와 각막의 새그높이 관계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다면 각막직경 및 각막이심률의 측정은 콘택트렌즈의 변수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적절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각막 새그높이와 각막직경 및 각막이심률과의 수치 관계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피팅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neal related values on the ocular sagittal height and which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ocular sagittal height. Methods : For 240 healthy eyes in their 20, 30, 40, and 50s, the anterior chamber depth and axial length were measured with IOLMaster 700. The corneal curvature radius and corneal eccentricity were measured with Keratograph 4, and spherical equivalent power was measured using KR-800. The corneal sagittal height wa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Results :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corneal sagittal height was the corneal diameter, followed by the corneal eccentricity. And the corneal curvature radius had the least effect. A change in corneal saggital height of about 0.10mm corresponds to a change in corneal diameter of 0.20mm, and corneal eccentricity of 0.05 to 0.10 Conclusion : If soft contact lens fitting is greatly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gittal depth of the contact lens and the sagittal height of the cornea, measurements of corneal diameter and corneal eccentricity are considered appropriate methods for selecting parameters of contact lenses. In addition, the numerical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sagittal height, corneal diameter and corneal eccentricity could be used as additional information for soft contact lens fitting.

      • SCOPUSKCI등재

        LED Lens 의 이심률에 따른 출광 특성

        김영철(Young Chul Kim),유종선(Jong-Sun Lyu)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2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9 No.11

        We have investigated the LED lens eccentricity effect on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For the purpose, we introduced an equation of focal length for paraboloid, and then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result and 3-D simulation result.

      • KCI등재

        Corneal topographer의 신뢰도와 정확도 비교

        김정미,마기중,류동규,박준호,김영미 대한시과학회 2007 대한시과학회지 Vol.9 No.1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다른 각막형태검사기기(corneal topographer)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정상안의 양안에 OrbscanIIz Slit-scan system, Oculus topography system, Eyesys corneal analysis system 및 Humphrey Atlas corneal topography system을 이용하여 각막중심부의 곡률반경(apical radius), simulated K-reading과 이심률을 측정하였다. 47명(94안)을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자 에 의한 두 번의 독립된 측정과 서로 다른 검사자에 의한 측정으로 신뢰도를 비교하 였고, 수동각막곡률계를 기준으로 동일한 검사자가 19명(38안)을 대상으로 두 번의 독립된 측정을 수행하여 정확도를 구하였다. 각각의 기기에서 동일한 검사자가 반복 측정한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서로 다른 검사자에 의한 측정값 사이에서도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뢰성계수(COR)가 가장 높은 기기는, apical radius는 Oculus (COR = 0.043), flatter simulated K-reading은 Eyesys(COR = 0.034), steeper simulated K-reading은 Oculus(COR = 0.048), eccentricity는 Eyesys(COR = 0.024)였다. 신뢰성 측정변수에서 Oculus와 Eyesys가 OrbscanIIz와 Humphrey Atlas보다 신뢰도가 좀더 높게 나타났다. 수동각막곡률계를 기준으로 한 flatter K-reading 및 steeper Kreading에 대한 정확성계수는 Orbscan IIz에서 각각0.069과 0.075, Oculus는 0.047과 0.075, Eyesys는 0.047과 0.068 및 Humphrey Atlas는 0.066과 0.078이었다. 4가지 기 기 모두 steeper K-reading보다 flatter K-reading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4가지 각막 형태검사기기 사이에서 신뢰도와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peatability and the accuracy of four different corneal topographers which were clinically used. Using Orbscan IIz Slit-Scan System, Oculus Topography System, Eyesys Corneal Analysis System and Humphrey Atlas Corneal Topography System, the apical radius, simulated K-reading(flatter meridian/steeper meridian) of corneal central zones and eccentricity were measured respectively from both normal eyes. Repeatability was compared through two independent measurements by the same examiner and by another examiner respectively, from 47 subjects(94 eyes). Accuracy was measured through two independent measurements based on manual keratometry by the same examiner from 19 subjects(38 ey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y the same examin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y another examiner, for any of the parameters tested for each topographer. The corneal topographers with the highest coefficient of repeatability (COR) were : Oculus(COR = 0.043) for apical radius, Eyesys(COR = 0.034) for flatter simulated K-reading, Oculus(COR = 0.048) for steeper simulated K-reading and Eyesys(COR = 0.024) for eccentricity. Oculus and Eyesys showed a bit more repeatability than Orbscan IIz and Humphrey Atlas in repeatability measurement parameters. Coefficients of accuracy based on manual keratometry were: 0.069, 0.075 for flatter K-reading and steeper K-reading respectively with Orbscan IIz, 0.047, 0.075 with Oculus, 0.047, 0.068 with Eyesys, and 0.066, 0.078 with Humphrey Atlas. The accuracy of flatter K-reading showed higher than steeper K-reading for all of 4 corneal topographers. Eyesys Corneal Analysis System showed higher in accuracy measurement parameter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repeatability and the accuracy of four corneal topographers showed that there were no large differences among them.

      • KCI등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안광학 상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신혜진,김현일 대한시과학회 2023 대한시과학회지 Vol.25 No.4

        Purpose : The distribution of axial length and ocular dimensions was investigated, and each correlation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as investigated. Methods : Among 847 eyes of 438 patients, 207 eyes in 20s, 210 eyes in 30s, 216 eyes in 40s, and 214 eyes in 50s were measured for axial length with IOL-Master 700. Refractive error was measured with KR-800. Corneal curvature radius and corneal eccentricity were measured with Keratograph 4. Results : Axial length (male: 24.57±1.22mm, female: 24.03±1.12mm) and horizont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58±0.11, female: 0.54±0.12) tended to increase in decreased age, male and myopia. Mean corneal curvature radius (male: 7.82±0.25mm, female: 7.71±0.25 mm), and horizontal corneal curvature radius (male: 7.91±0.26 mm, female: 7.79±0.26mm), nas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68±0.14, female: 0.66±0.15), and tempor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45±0.14, female: 0.44±0.13) tended to increase in decreased age and male. Mean corneal eccentricity (male: 0.57±0.12, female: 0.54±0.12), vertical corneal curvature radius (male: 7.71±0.27 mm, female: 7.65±0.24 mm), vertical corneal eccentricity (male: 0.56±0.15, female: 0.54±0.15), and inferior corneal eccentricity (male: 0.52±0.19, female: 0.46±0.22) tended to increase in male. The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 and corneal curvature radius showed a high correlation in emmetropia and the horizontal. Horizontal and temporal corneal eccentricity showed a low correlation. Conclusion : Axial length, corneal curvature radius, and corneal eccentricity (excluding vertical) were higher in males. As age increased, axial length, and corneal curvature radius decreased. Among the 4 quadrants of corneal eccentricity, only the temporal s id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xial length 목적: 안축길이와 다양한 안수치들의 분포를 알아보고 성별과 연령에 따른 각각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체 4 38명의 8 47안 중에서 2 0대 2 07안, 3 0대 2 10안, 4 0대의 216안, 5 0대 2 14안을 대상으로IOLMaster 700으로 안축길이를, KR-800으로 굴절이상도를, Keratograph 4로 각막곡률반경, 각막이심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 근시에서 안축길이(남자: 24.57±1.22mm, 여자: 24.03±1.12mm), 수평각막 이심률(남자: 0.58±0.11, 여자: 0.54±0.12)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남자에서 평균 각막곡률반경(남자: 7.82±0.25mm, 여자: 7.71±0.25mm), 수평 각막곡률반경(남자: 7.91±0.26mm, 여자: 7.79±0.26mm), 코쪽 각막이심률(남자: 0.68±0.14, 여자: 0.66±0.15), 귀쪽 각막이심률(남자: 0.45±0.14, 여자: 0.44±0.13)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남자에서 평균 각막이심률(남자: 0.57±0.12, 여자: 0.54±0.12), 수직 각막곡률반경 (남자: 7.71±0.27mm, 여자: 7.65±0.24mm), 수직 각막이심률(남자: 0.56±0.15, 여자: 0.54±0.15), 아래쪽 각막이심률(남자: 0.52±0.19, 여자: 0.46±0.22)은 높았다. 안축길이와의 각막곡률반경은정시와 수평경선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각막이심률은 수평경선과 귀쪽 경선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남자에서 안축길이, 각막곡률반경, 각막이심률(수직경선 제외) 수치가 높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안축길이, 각막곡률반경이 감소하였다. 각막이심률의 4분면 중 귀쪽 경선에서만 안축길이와의 상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