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활용한 패션디자인 교육

        이운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has the characteristics of hyper-connected and hyper-intelligence. It could be defined as an intelligent society in which things and humans are interconnected. The study investigated how fashion designs should be educated in this new world where advanced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perceived as GPT, and it suggested the use of a visualization code (deep dream) technology, which is one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us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a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 education of fashio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ect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by devising a fashion design education method that incorporates emotions with the convergence of advanced equipment and technolo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irst, I analyzed the paradigm shift in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The defini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technology status of Deep Dream were analyzed. Second, by analyzing the cases of application of AI in the field of visual arts, it examined whether it could be applied in fashion design education. Third, it investigated how to utilize of deep dream in fashion drawings, textiles, and texture education, and mood board. Artificial intelligence open source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were used to solve the limit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and research data. The result of applying Deep Dream Generator was dressed as a D3D application, which doubled the educational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status and dissemination types of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it proved that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universally being used. Second, it sounded out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in fashion desig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Third, it investigated the direction for enhancing the effect of fashion design education by employing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deep dream generator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on drawings, textiles, and textures of fashion designs. Non-face-to-face classes in practical courses have become difficult, allowing online classes without special practical equipment or materials. 지능정보사회는 초연결성(Hyper-Connected), 초지능성(Hyper-Intelligent)의 특성을 가진다. 이는 사물과 인간이 상호 연결되는 지능화된 사회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첨단의 지능정보기술인 인공지능이 범용기술로 인식되는 새로운 세상을 맞이하여 패션디자인은어떤 방향으로 교육되어야 할지를 모색하였다. 지능정보기술의 하나인 딥드림 기술을 활용하여 패션디자인교육에서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사회의 첨단 기기와 기술 간의 융합으로 감성을 담은 패션디자인 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정보기술사회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공지능의 정의와 딥드림의 기술현황에 대해분석하였다. 둘째, 시각예술 분야에 인공지능이 적용된 예를 분석하여 패션디자인 교육에 인공지능 기술적용이 가능한지를 타진하였다. 셋째,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패션 드로잉, 텍스타일, 텍스추어 개발, 무드보드 제작 등에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활용하여교육방향을 모색 하였다. 문헌 및 연구자료 분석으로진행된 질적 연구 방법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오픈소스와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였다. 딥드림 제너레이터를 적용한 결과물은 D3D 애플리케이션으로 착장시켜 교육효과를 배가시켰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정보기술의 기술현황과 보급유형에 관해 분석함으로써 지능정보기술이 범용화 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인공지능이 패션산업에 적용된 분석을 통해 패션디자인 교육에 지능정보기술을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셋째, 지능정보기술 딥드림과 증강현실 기술을 패션디자인의 드로잉, 텍스타일, 텍스추어에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 하였다. 실기과목의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맞게 되었는데 특별한 실기장비나 재료 없이 온라인 수업을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