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지승희,오혜영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In a growing trend in qualitativ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rticles which used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on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The authors reviewed 28 articles published from 2001 to 2010, examined the themes, biases, research teams,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 and try to find out the trends of the CQR articles of Korea. This study showed that CQR is an easy and useful method to explore the inner experience of the subjects, but the researchers have to fully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CQR,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severity of researches. To reach integrity of the data, future studies will need to address the researcher's bias and expectations well, and will be reported steps of the analysis, roles of judges and auditor, in more detail. Also to insure of evolution of CQR, researcher’s efforts establishing transferability, typicality, subjectivity of data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는 국내 상담분야에서 질적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특히 CQR을 적용한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CQR 방법의 실제 적용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처음 CQR이 소개된 시점부터 2010년까지의 10년간 상담관련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28편의 논문을 CQR의 주요 단계와 강조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이 논의되었다. 첫째, 연구주제는 크게 ‘대상이나 문제의 특성’, ‘상담과정과 개입요인’, ‘프로그램 참여자의 경험’으로 분류되었고, 다양한 주제들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질적연구 특히 CQR을 선정한 논리적 근거가 좀 더 체계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자의 편견과 기대, 합의과정에 대한 보고가 각 연구에서 이루어진 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결과 및 논의를 기술할 때 연구목적에 맞추어 전형적이고 대표적인 특성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CQR은 배우기 쉽고 적용이 용이한 방법이지만, 연구의 엄격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CQR의 철학과 핵심적인 특징을 잘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며, 연구자의 편견 처리, 합의과정과 감수자의 역할 등 분석의 단계들이 체계적으로 보고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경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박승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Recent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s received attention in the field of counseling research. Contrary to quantitative methodology, qualitative methods aim to underst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vivid experiences, and more and more researchers use the qualitative methods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domestic journals from now on. The KCI listed 81 articles, published from 2003 to 2011, were analysed wit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nual number of articl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Secondly, depending on research purpose, change process or intervening factor took the biggest part. Grounded theor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was followed by phenomenology, CQR, narrative, ethnography. Thirdly, amo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6~10 participants was the most frequent occasions. Based on each finding,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상담 연구에서 질적연구방법은 최근 각광받는 방법론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양적연구와 달리 질적연구방법은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과 본질을 생생하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상담학 분야 연구에서 그 사용정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상담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발표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상담학 분야에서 질적연구방법론의 가치와 고려점,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질적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학술지 논문 81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한 결과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의 종류별 동향으로는 ‘변화과정 또는 개입요인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진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사용한 질적연구방법론은 근거이론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현상학, CQR, 내러티브, 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의 수는 6~10명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외에 내담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는 경우와 객관적 척도를 연구참여자 선정 방법으로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국내 질적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진로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분석

        김향란(Kim hyang ran),유승래(Yoo seung-rae),손은령(Son eun-yo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에 실린 진로관련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발표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진로분야 질적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2000년에서 2016년까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논문 245편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한 결과 첫째, 연도별 논문 수는 2010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질적 연구방법의 종류별 동향으로는 사례연구가 98편(40%)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근거이론 29편(12%), 혼합연구 29편(12%), 합의적 질적 연구(CQR) 27편(11%)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 경향으로는 성인연구가 88편(36%)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학생 79편(32%), 고등학생 25편(10%)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관련 주제별로 보면 진로선택 및 결정이 54편(19%)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진로교육 및 개발과정과 진로준비과정이 각각 38편(14%)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료분석방법별로 보면 합의적 질적 연구(CQR)에서 많이 사용하는 영역코딩, 중심개념코딩, 교차분석과 지속적 비교분석법이 각 26편(1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근거이론 분석방법인 개방코팅, 축코딩, 선택코딩이 24편(9%)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국내 진로관련 질적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e study analyzes the trend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tudies published in the domestic academic journals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methodologies published in the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cusses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related to future projects. Analysis of content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Academic Science in Korea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rom 2000 to 2016. First, the number of annual papers is increasing overall. Second,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ere 98 cases (40%) and grounded theory 29 cases (12%), mixed mothods 29 cases (12%),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27 cases (11%). Third, as for the tendency of research subjects, 88 cases (36%) were the most frequent adults, followed by 79 cases college students (32%) and 25 cases high school students (10%). Fourth, career choice and decision were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54 cases (19%), followed by 38 cases (14%) and 38 cases (14%). In terms of data analysis methods, 26 most frequently used (11%) area coding, central concept coding, crossover analysis, and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s of open coat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24 cases (9%).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related to domestic career, it describ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자살시도 이전 단계, 자살시도 단계, 자살실패 이후 단계 경험을 중심으로

        정주연,박재연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7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terviews of adolescent survivors with Suicidal Attempt Experiences based on their Pre-suicide attempt, in thoes day of suicide attempt, after suicide attempt Experiences. Only Seven study participants were chosen among the Adolescent Clients who reported their Suicidal Attempt Experiences in counseling center. The participants had a semi-structured one-on-one interview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analyses included 18 domains; the result summarized as follows. Pre-suicide attempt stage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cause of suicide attempt’, ‘inner and extrinsic experience before suicide attempt’, and ‘the time required from the first suicidal ideation to real attempt’. Of these, ‘interpersonal relation’ has great effect on cause of suicide attempt. Suicide attempt stage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the first suicide attempt time’, ‘inner experience after suicidal decision’, ‘place of suicide attempt’, ‘instrument’, and ‘method’. ‘There is no will to live.’ is most typical among inner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After failure of suicide stage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state after failure’, ‘the most difficult part’, ‘the effort to overcome difficulty’, ‘what kind of support they need’. The result showed that after failure of suicide attempt, the most difficult thing is ‘consciousness of others’ and the most needful help is ‘attention’. Stage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urned out through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practical strategy arrangements and have very important suggestions in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본 연구는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생존 청소년의 자살시도 이전, 자살시도 당시, 이후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센터에 내원한 청소년 내담자 중 자살시도 경험을 보고 하였던 7명을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반 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하여 1:1 면담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추출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하여 최종 18개의 영역을 도출하였는데, 자살시도 이전 단계경험은 ‘자살시도 원인’, ‘자살시도 직전 내·외적 경험’, ‘처음 자살 생각부터 실제 시도까지 소요시간’ 둥으로 영역이 나누어졌다. 이 중 자살시도의 원인으로는 ‘대인관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자살시도 단계의 경험은 ‘첫 자살시도 시기’, ‘자살 결심 후 내적 경험’, ‘자살시도 장소’, ‘도구’, ‘방법’,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졌는데, 자살시도 단계의 내적 경험 중에는 ‘살아갈 의욕 없음’이 가장 전형적 이었다. 자살 실패 이후 경험으로는 ‘실패 후 심리적 상태’, ‘가장 힘든 점’, ‘힘든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어떤 도움이 필요한가’,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졌는데, 그 결과 실패 이후 가장 힘든 점으로는 ‘타인에 대한 의식’이며, 가장 필요한 도움은 ‘관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청소년의 자살시도에 대한 단계별 경험과 그 경험이 주는 의미는 청소년 자살 예방적 관점에서 매우 큰 시사점과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부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유미숙,장경선,한영신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rategy on the specific components and parents counseling proces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 as a therapist in the counseling of parents regarding. Ten playtherapists who were fully qualifi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have had, on average, 10 years experience supervising counseling trainees.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he analyses included 4 domains and 9 categories; the result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itial parent counseling of playtherapist'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included knowledgable factors, emotional factors. Initial parent counseling of parental influencing characteristics include knowledgable factors, emotional factors, environment factors. Second, parental consultation development and performance-related factors include 3 factors: knowledgable factors, emotional factors. Fourth, the techniques and strategies of appropriate and effective parent consultation included 2 factors: educational factors and therapeutic factors. This study is important in couseling parents for parent counseling on the overall has significance experience through vivid reporting elements and techniques in play therpy. 본 연구는 놀이치료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상황과 생각을 알아보고자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놀이치료학회에서 인정하는 놀이치료 전문가 자격증 및 놀이치료사 자격증 소지자와 10년 이상 놀이치료 경험을 가진 자 10명을 연구 참여자들의 표집 틀로 구성하고 놀이치료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비구조화된 면접을 2차에 걸쳐 실시한 후 이들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을 통하여 최종 4개의 영역과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연구결과 첫째, 초기 부모 상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에서 치료자 요인에는 지식적 측면․정서적 측면을, 부모요인으로는 지식적 측면․정서적 측면․환경적 측면을 중요한 요소로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가 높은 성과를 위해 알고 다루어야 할 것은 모두 치료자 요인이며 지식적 측면, 정서적 측면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셋째, 부모 상담 시 적절하거나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던 방법이나 기법도 모두 치료자 요인에 속하며 교육적 측면과 치료적 측면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에서 부모 상담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에 대한 생생한 보고를 통해 부모 상담에 중요한 요소들과 기법들을 알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귀국 청소년의 국내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영선,이동훈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country adjustment experiences of Korean adolescents who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 and to understand how they adjust themselves to the Korean culture psycho-socially and school life after experiencing different culture in a foreign country after at least 2 through 5 years living abroad. For these purpose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8 Korean adolescents between ages of 12 and 17 (five males and 3 females), who visited Korea Youth Counseling Center with their parents or by recommendations of their affiliated schools, due to their school maladjustment issues. All adolescents had experiences staying and enrolling in school abroad as an international student in U.S., China, Germany, New Zealand, Philippine, United Kingdom. The analyses were made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nalyses. The analyses resulted in 15 domains and 57 categories: the reasons as to why they leave for their study abroad, the reasons as to why they are returning back from studying overseas, cultural differences what they are perceiving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stayed before returning, their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school- and normal-life when studying abroad, maladaptive in-country experiences after returning, cultural identity issues, mechanism coping with adjustment stress, and typ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displaying maladaptive behaviors. The implications from findings are discussed. The findings will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in-country adjustment experiences psycho-socially and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for supporting them. 본 연구는 귀국 청소년의 귀국 후 국내생활적응에 대한 내적 경험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해외생활이 2년 이상 5년 이하인 만 12-17세의 청소년 중 귀국 후 부적응을 경험하는 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이들 자료를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최종적으로 15개의 영역과 57개 범주로 구분되었다. 귀국청소년들이 해외로 나가게 되는 경우는 부모님의 결정에 의해서거나 국내에서 학교생활 부적응을 경험하고 출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시 계획과 다르게 갑작스럽게 귀국하는 경우 국내생활에 대해 불안을 갖게 되고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은 국내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청소년들은 해외생활 경험과 귀국 후 국내생활에 대한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로 학교생활과 교육방식의 차이를 보고하였다. 특히 교사의 태도, 급우와의 관계, 수업방식 측면에서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후 부적응에 대한 경험을 좀 더 세분하여 살펴보면 문화 및 자기정체감 혼란, 대인관계 어려움, 학교생활 부적응, 언어사용의 한계, 주거환경의 변화에 대한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귀국 청소년들은 국내 적응을 잘하기 위해 해외에서의 경험을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지낼 것을 요구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응의 어려움이 있을 때 대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혼자 애쓰는 것, 대리물(게임, 인형)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 가족이나 친구의 도움을 받는 것, 상담 받기 등의 적극적인 모습 외에도 스트레스를 혼자 견디거나 쌓아두고 마음을 삭히는 등의 소극적인 모습도 있었다. 이러한 소극적 대처 경험은 대인관계의 어려움 및 학교 부적응의 문제와 연결되어 자해나 우울, 기물파손 등의 문제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귀국 청소년의 국내생활 적응 과정에 대한 내적 경험들을 이해함으로써 귀국 청소년을 위한 전문적인 상담 및 개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 경험 분석에 관한 합의적 질적(CQR) 연구

        한영신 ( Young Shin Han ),박현숙 ( Hyun Sook Park ),김광웅 ( Kwang Woong Kim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놀이치료사를 대상으로 놀이치료에 의 알아차림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과 생각을 알아 보고자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놀이치료학회에서 인정하는놀이치료 자격증 소지자이며 10년 이상의 놀이치료 임상경력을 가진 연구 참여자 10명을 선정하여 비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한 후 이들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으로 분석하여 10개의 중심영역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실 안에서의 알아차림 경험 요인은 치료자에 대한 알아차림과 내담아동에 대한 알아차림의 2가지로 분석되었다. 둘째, 알아차림이 놀이치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부정적인 영향·영향 없음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셋째, 알아차림을 방해하는 요인은 치료자요인·내담 아동 요인·외적요인의 범주로 나타났다. 넷째, 알아차림 능력을 키우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전문적 방법·일반적 방법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의 알아차림에 관한 전반적인 경험에 대한 생생한 보고를 통해, 놀이치료자의 알아차림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들과 알아차림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여 놀이치료자의 발달 및 훈련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pecific situations and concerns related to play therapists`` awareness in a play therapy room. Non-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0 participants who held certification as a play therapist recognized by the Korea Association for Play Therapy and who also had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ool. The results revealed 10 themes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awarenes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awareness in the play therapy room revealed two dominant themes: awareness related to the therapist and awareness related to children. Second, the impact of the awareness in the course of play therapy was divided into three other themes: positive impact, negative impact, and no impact. Third, factors disturbing the awareness involved three themes: therapy factors, client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Finally, two themes arose from efforts aimed at improving skills regarding awareness: a technical method and personal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the play therapist and strategies to improve skills related to awareness. This present study provides a plethoraof valuable data to improve the training of therapists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ir skills.

      • KCI등재

        대학생의 대집단 엔카운터 추수 회기 경험에 관한 CQR-M 연구: 포커싱 아트를 중심으로

        주은선 ( Eun Sun Joo ),김희진 ( Hee Jin Kim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집단 엔카운터의 포커싱 아트 추수 회기에 참여한 대학생의 경험을 전반적으로 탐색하고, 포커싱 아트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의 4년제 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이며 집단상담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 30명이었다.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수의 주관적 체험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CQ R-M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자료 분석 결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총 4개의 영역, ‘추수 작업 준비하기’, ‘집단을 재경험’, ‘이별의 수용’, ‘일상으로의 확장’으로 묶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드문 추수 회기 경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학부 과정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ocusing art follow-up session of a large group encounter in general,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focusing art as the final stage and follow-up session of the large group encount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women’s university in Seoul and taking a group counseling cour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CQR-M’, a modified version of the consensus qualitative study that allows a dynamic examination of multiple subjective experience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11 categories were derived, and it was possible to group them into four domains: ‘preparing for follow-up work ’, ‘re-experience the group’, ‘acceptance of parting’, and ‘expansion to daily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the follow-up season experience, which is rare in previous studies, and has the significance of discovering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ly promoting the psychological growth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curriculum.

      • KCI등재

        인터넷 여성운동 커뮤니티 이용자들의 성적 정체감 및 자아정체감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분석을 중심으로

        오보영,이상희 한국여성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2 No.3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women's hatred through the Internet has reached a serious level in Korean society, and concerns about low female human rights are increasing. As a result, in 2015, a popular online community of women responding to such social discrimination has begun to emerge, and It has been continuing its change and development until now. Members of the community shared their values on the Internet and expressed their opinions through offline demonstrations which had a great social impact and this activity is defined as a second generation women's movement.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women's online human rights community is very fragmented because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m y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nge of identity after the activity was investigated through consensual –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field of change was classified and its meaning was discussed.

      • KCI등재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역량접근에 기반하여

        임세와 ( Im Sewa ),박주혜 ( Park Ju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의 부모로서의 삶의 경험과 생각을 듣고, 현실적인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역량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부모를 지원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부모 가정의 양육자 11명을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들을 활용하여 1:1 면담의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추출된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의해 분석하였다. CQR 분석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추출된 6개의 영역을 ‘한부모 가정의 어려움’, ‘한부모 가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시도해온 노력’, ‘한부모 가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점’, ‘한부모 가정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의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한부모 가정의 부모와 자녀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ingle parents’ child rearing experiences considering their capabilities focused on the overcoming process of real difficulties and success factors. To do this, 11 single parent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nduct a one - to - one interview. The extra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six areas that were finally extracted through CQR analysis and classified as ‘difficulties of single parents’, ‘efforts to solve the difficulties’, ‘what is need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single parent families’ and 'political suggestions for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to support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