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 콘텐츠로서의 천자문

        최경춘(Choi, Kyeng-C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천자문 소재 한자(漢字)를 인성교육 콘텐츠라는 측면에서 탐색하는데 있다. 천자문은 인성교육 콘텐츠의 다양한 내용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는 인성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능한 역사적인 사건을 비롯하여 단순한 자연현상, 정치제도, 인간생활, 인류도덕, 충효, 처신, 예악 등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 한 권만 읽으면 인성을 중시하는 현시점에서 우리 대학생들이 지녀야할 기본 소양이 다 갖추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인성과 한자학을 정의하고, 관련된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천자문의 내용을 1.자연, 역사, 생활, 제도. 2.인물, 정치, 인륜, 인성. 3.충효, 교화, 지리, 농사, 4.지혜, 처신, 학문, 예악, 송덕, 행동으로 분류하고, 인성영역에 해당하는 한자를 형성원리, 한자자원학, 한자자체학, 한자문화학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천자문 소재 인성교육 관련 한자에서 ‘①누구나 허물이 있는 것이니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쳐야 하고, 사람으로서 알아야 할 것을 배운 후에는 잊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②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신의 장점을 믿고 자랑하지 말라. ③ 덕을 세상에 세우면 명예도 서게 되고, 몸가짐이 단정하고 깨끗하면 마음도 바르며 겉모습도 바르게 된다’는 의미의 배경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chinese characters in Chun ja mun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contents. Chun ja mun contains various of contents personality education. These include natural phenomenon, political institutions, human life, human rights, loyalty and filial duty, behavior, manners and vice, as well as historical events that can be used as personality educational contents.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of put emphasis on personality, It have the advantage of establishing a basic culture that our university students should possess. As a method of study, we define personality and chinese character study and integrated a previous study of related to. we classified the contents of the Chun ja mun into four categories 1.nature, history, life, system 2.person, politics, humanity, personality 3.loyalty and filial piety, education, geography, agriculture 4.wisdom, conduct, study, manners and vice, virtue, behavior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chinese character that have meaning of personality in the side that formative principle, resources, its own, culture The result, we expressed background of these meaning in chinese character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Chun ja mun. The meaning is as follows. ①Everyone have faults, if we find ours, we must correct our faults and after learn humans duty, we must not forget to learned thing ②Don’t talk about people s faults, nor do say your own merits ③virtue leads to fame, right behavior make right mind and right one s appearance

      • KCI등재

        김시습(金時習) 이해의 시선과 그 의미

        전성운(Chun, Sung-woon)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40

        김시습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은 세 군을 형성하고 있다. 첫째, 김시습 자신이 쓴 것으로 <자사진찬(自寫眞贊)>, <동봉육가(東峰六歌)>, <상유양양진정서(上柳襄陽陳情書)> 등이며, 둘째, 홍유손(洪裕孫)의 <제김열경시습문(祭金悅卿時習文)>, 윤춘년(尹春年)의 <매월당서(梅月堂序)> 등. 셋째, 이자(李.)의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이산해(李山海)의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이이의 <김시습전> 등이 그것이다. 이들 자료는 김시습 관련 서로 다른 이해의 시선을 보여준다. 김시습은 낙백(落魄)한 소광한 은자로 자신을 규정한다. 낙백의 원인은 젊은 시절의 좌절과 어긋남 때문이다. 개인적 비극인 박명과 불우, 선(善)의 좌절과 이교(異敎)의 번성이라는 사회적 불합리와 모순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것이 누적되며 자신은 영원히 화합할 수 없이 어그러졌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홍유손을 비롯한 이들은 김시습을 생이지지(生而知之)한 성인, 자유자재한 대인(大人) 혹은 부처로 이해했다. 이들은 김시습을 천부적 자질을 지닌 초월적 인물로 규정하려 했다. 물론 김시습을 미친 사람이라고 하거나, 색은행괴의 무리에 불과하다고 본 경우도 있다. 이이나 이산해의 김시습 이해는 천부적인 문장가이자 절의를 표방하고 윤기를 붙든 백세의 스승이라는 시선에 바탕한다. 또한 이들은 김시습이 한 때 세상을 등진 것은 비분강개하는 기질 상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김시습을 성리학적 의리관으로 분식(粉飾)하여 이해했다. 이런 이해는 하나의 전범(典範)이 되어, 이후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There are three kinds of materials concerning Kim, Si-sup"s life. The first kind of materials are written by Kim Si-sup himself, for examples Jasajinchan(自寫眞贊), Dongbongyukga(東峰六歌), Sangyuyangyangjinjeong-Seo(上柳襄陽陳情書) etc. Second are JeKimyeolgyeongsiup-mun(祭金悅卿時習文) by Hong, Yuson, Maewuoldang-seo(梅月堂序) by Yun, Chun-nyeon etc. Third are Maewuoldangjip-Seo(梅月堂集序) by Lee, Ja, Maewuoldangjip-Seo(梅月堂集序) by Lee, San-Hae and Kimsisup-Jeon(金時習傳) by Lee, Yi etc. These materials shows different aspects of comprehend Kim, Si-sup. Kim prescribed himself as a dejected hermit. Reasons of dejection are a misfortune and sad fate, a frustration caused by social contradictions etc. He experienced these difficulties continuously, and tuned his back on the world at last. He explained himself as a sad and frustrated hermit. The next group of people regarded Kim as a genius like Kong Zi(孔子), a great man(大人) with perfect freedom, and a living Buddha. The Confucian thought Kim as a reborn of Kong Zi, and the Taoist regard him as a freely upright man, and of course, the Buddhist respected him as a spiritually awakened man, a living Buddha. These people tried to comprehend Kim as a mythic person with a transcendent abilities. Of course,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thought Kim as a madness with a odd and strange behaviour. The third group of people, especially Lee, Yi or Lee, San-Hae, understood Kim as a quite and genuine writter and a model man. They gave him a honorible name for adhering Confucian principles. They thought the fact that Kim tuned his back on the world as a inevitable fate because of his righteous wrath. These people"s understanding became a model. The next generations generally comprehend Kim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