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수환 추기경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가톨릭의 역할

        김환영(Kim, whanyoung) 평화나눔연구소 2020 인간과 평화 Vol.1 No.-

        한국의 가톨릭교회는 민주주의의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중심에 김수환 추기경이 있다. 그는 민족의 화해·화합·평화·통일에 필요한 종교적 인프라를 깔았다. 김 추기경의 관심은 노동자, 도시빈민, 성매매여성, 싱글맘, 이주 노동자, 장애인, 젊은이, 탈북자 등 소외 계층 등을 망라했다. 아울러 김 추기경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장 충실한 실천자였다. 민주화는 가톨릭의 사회사상이나 가톨릭이 수용한 공동선의 개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과도 일치했다. 김 추기경의 일거수일투족은 실천하는 신앙을 예시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용문과 모범 사례가 됐다. 회개가 선행된 사랑과 기도가 민족 복음화와 통일의 최대 전략이다. 통일 한국으로 가는 긴 여정의 곳곳에서 우리는 김수환 추기경의 그림자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t the center is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He laid down the religious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national reconciliation, harmony, peace and unification. Cardinal Kim"s interest covered the underprivileged, including workers, urban poor, prostitutes, single mothers, migrant workers, disabled people, young people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addition, Cardinal Kim was the most faithful practitioner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Democratization was also in line with Catholic social thought, the concept of the Catholic-accepted common good, and the spiri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Cardinal Kim"s every move has become a world-famous quote and model example that exemplifies the faith he practices. The love and prayer of repentance is the greatest strategy of national evangelization and unification. Throughout the long journey to a unified Korea, we will find Kim Sou-hwan.

      • 김수환 추기경의 삶과 말씀을 통해 본 평화의 길

        신정환(SHIN JeongHwan) 평화나눔연구소 2020 인간과 평화 Vol.1 No.-

        이 글은 김수환 추기경의 글과 여러 문헌을 통해 당신이 추구했던 평화의 길이 무엇이었는지 모색한다. 김수환 추기경은 사회 정의를 중시하지만 그것이 평화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참된 평화가 주어지지 않는 이유가 이웃을 미워하고 사랑할 줄 모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김수환 추기경에게는 정의가 반드시 사랑과 조화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김 추기경은 형제애를 통해 한반도가 세계평화의 원천으로 반전되리라는 기대를 버리지 않는다. 인간 존엄성을 기반으로 한 형제애는 평화의 핵심임을 증거 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김 추기경은 남북 통일 논의에 앞서 남남 화해의 길을 먼저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사람들이 타도하고 혐오해야 할 타자가 아니라 같은 밥상의 형제자매임을 깨닫는 것이다. 질긴 증오와 불신의 장벽을 걷어내는 ‘김수환 평화의 바람’이 절실한 시대다. Through Cardinal Stephen Kim Sou-hwan"s writings and various church documents, this article explores what the path of peace he pursued was.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values social justice but does not think it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peace. He says the reason true peace is not given is because we hate each other and don"t know how to love our neighbors. For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justice must be in harmony with love. Likewise, Cardinal Kim does not give up hope that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turned around as a source of world peace through fraternity. This is because fraternity based on human dignity is the way to prove that it is the core of peace. Cardinal Kim proposes to practice holding the neighbor"s hand one more time before discussing unification because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 is a prerequisite for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He says that our neighbors are not "others" to overthrow and hate, but brothers and sisters at the same table. In an age of distrust and hatred, Kim Sou-hwan"s "Wind of Peace" is desperately needed.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의 ‘세상을 위한 교회’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관의 한국적 수용 -

        박승찬(Park, Seung-Ch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2

        코로나 19 사태 때문에 전 세계가 유례없는 혼란을 겪으면서, 진정한 종교의 역할과 한국교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었다. 고(故) 김수환 추기경의 글 안에서 이런 질문에 대한 중요한 대답을 찾을 수 있다. 김 추기경은 특히 진정한 교회의 모습이나 교회 쇄신을 설명할 때면 어김없이 ‘교회 쇄신’이 관건이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인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수환 추기경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관을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했는가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김 추기경 자신이 여러 글에서 구체적으로 인용하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을 교회론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재구성 해 보았다. 김수환 추기경은 공의회 이전 교회관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트리엔트 공의회가 16세기의 종교개혁운동으로 말미암아 야기된 혼란을 극복하느라 진정한 교회의 모습을 위축시켰다고 지적한다. 가시적인 위계제도를 강조하느라 영적 공동체로서의 성격이 후퇴하고, 성직자와 평신도 사이에는 심한 신분적 차별이 생겼다. 따라서 김 추기경에 따르면, 교회가 현대 세계 안에서 참으로 자신의 사명을 재발견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공의회는 반드시 있어야만 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대표적인 교회 개념으로 김 추기경은 「교회 헌장」을 중심으로, ‘일치의 성사’, ‘하느님의 백성’,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의 교회관을 강조한다. 특히 ‘하느님의 백성’에 평신도만이 아니라 성직자와 수도자를 모두 포함시킨 후, 평신도는 ‘세계 안에서’ 고유한 사도직을 수행해야 함을 분명히 밝힌다. 이어서 김 추기경은 공의회의 「사목 헌장」에 나타난 ‘모든 이의 구원’이라는 교회의 목적과 ‘세상을 위한 교회’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교회관에 가난한 자들을 위한 사회참여가 본질적으로 포함되며,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사랑과 대화의 원리에 충실해야 함을 강조했다. 현대의 위기 속에서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관을 새롭게 수용하여 교육하고 실천함으로써 코로나 19 이후 한국교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As the world suffers unprecedented pain due to the COVID-19 outbreak, fundament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role of relig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Korean church should be heading. The important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late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Cardinal Kim cites the Second Vatican Council, where “church reform” was key, especially in the identity of the church.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iscuss how Cardinal Kim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ecclesiology of the Council. To this end, I have systematically reconstructed the quotations from Second Vatican Council literature that have been cited by Cardinal Kim in his writings. Cardinal Kim critically reflects on the concept of the church before the Council, pointing out that the Council of Trent had reduced the role of the true church in overcoming the chaos caused by the Reformation movement in the sixteenth century. In emphasizing the visible hierarchy, the role of the spiritual community receded, and there w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layperson due to their status relative to the clergy. Therefore, according to Cardinal Kim, the Council was necessary for the church to rediscover itself and fulfill its mission. Cardinal Kim emphasizes the view of the church represent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 a “sacrament of unity,” “the people of God,” and “the mystical body of Christ” by focusing on the Lumen Gentium. Importantly, not only laymen but also priests and monks are included in the “people of God.” It is clear that the layperson faithful must fulfill their own apostolate “in the world.” Cardinal Kim also stresses the purpose of the church, as it appears in the Council’s Gaudium et Spes, which he sees as “the salvation of all,” and its new identity as the “church for the world.” Based on this view, he stresses that the new ecclesiology include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oor and that to achieve this, one must be faithful to the principles of love and dialogue. Even in the midst of the COVID-19 crisis, we hope that the Korean church will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fter the pandemic is over by accepting, teaching, and practicing the ecclesiolo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 김수환 추기경의 사상 안에 나타난 남북 관계: 평화와 화합, 일치를 중심으로

        조정환(Cho, Jung Hwan) 평화나눔연구소 2020 인간과 평화 Vol.1 No.-

        이 글은 『김수환 추기경 전집』을 중심으로 김 추기경의 한반도 분단 상황에 대한 생각을 고찰한다. 김 추기경은 우리 남한 사회가 진정으로 공산주의를 물리치기를 바란다면 현재 우리 사회의 모든 부분을 점검하며 반성해야 함을 강조한다. 김 추기경에게 평화라는 개념은 단순히 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다. 한반도와 같이 국토가 남북으로 갈라져 있고 총칼을 두고서 대치하고 있는 상태가 평화로운 상태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 추기경의 개인적인 심경으로 굶주리는 북한 동포를 돕는 것은 그들이 바로 우리와 같은 동포요, 한 핏줄의 형제, 가족이기에 다른 전제 조건이 없는 것이었다. 그러한 모습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평화를 한반도에 정착시킬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This article focuses on “Collection of Cardinal Kim” and examines his thoughts and concerns about the situation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rdinal Kim stresses that if our South Korean society really wants to defeat communism, it should review and reflect on all parts of our society. For Cardinal Kim, the concept of peace is not simply a state without war. This is because, like the Korean Peninsula, the country is divided into two Koreas and confronting each other over a gun knife cannot be considered peaceful. Therefore, helping the starving North Korean compatriots out of Kim"s personal heart was without other preconditions because they were our compatriots, brothers and family members. I thought such a figure could ultimately serve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peace in Christ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삶의 고통 - 그리스도교적 관점에 대한 철학적 분석 -

        임경헌(Im, Kyunghu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1

        인간의 삶은 왜 고통스럽고, 어떻게 인간은 그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에 이를 수 있는가? 이 질문과 관련하여 본고는 그리스도교적 관점을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시도한다. 그리고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해 김수환 추기경의 사상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을 비교한다. 방법론적으로 본 연구는 인간의 고통의 문제를 (신과 변신론의 관점이 아니라) 인간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즉 고통 받는 인간의 측면에서 고통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에서 벗어날 수 있는 ‘원리’를 모색하고자 시도한다. 본고는 핵심적으로 모든 인간의 고통의 원인을 욕구된 것이 좌절되는 데서 찾았다. 그리고 그러한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선 욕구대상에 대한 올바른 이성적 판단이 필요한데, 그것은 곧 신의 섭리를 이해하는 지혜(sapientia)로 수렴된다. 거기에 덧붙여 인간은 또한 욕구력의 올바른 습성, 즉 올바른 성격을 달성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이성적 판단이 올바르더라도, 부정적이고 고통스러운 감정이 삶을 지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토마스에 따르면 인간이 이 세상의 삶에서 고통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인간의 이성은 신의 섭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단지 변신론적 탐구를 통해 구체적인 고통의 의미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노력할 뿐이며, 더 나아가 신학적 덕들을 통해 그러한 고통이 무의미하지 않을 것을 믿을 뿐이다. Why is human life painful, and how can humans escape suffering and attain happiness? This paper attempts to philosophically analyze the Christian view, which is embodied by comparing Stephen Cardinal Kim Sou-hwan’s ideas with Thomas Aquinas’ philosophy. Methodologically, this study explores the problem of human suffering from the human perspective (rather than the divine perspective of theodicy). In other words, it attempts to analyze the causes of pain regarding the suffering of humans and find a “principle” that enables human being to escape from it. This article determines the frustration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all human suffering. To escape from such suffering, first of all, one must exercise a correct, rational judgment of the object of desire, which converges with the sapientia about divine providence. In addition, man must also attain the correct habit of desire—the right character. Otherwise, regardless of how correct the rational judgment is, negative and painful feelings can rule life. However, according to Thomas, it is impossible for man to be completely free from suffering in the life of this world because human reason cannot fully understand divine providence. We only try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specific suffering through the inquiry of theodicy, and further through theological virtues, to believe that such suffering will not be meaningless.

      • KCI등재

        평화교육을 위한 종교의 과제-가톨릭 종교교육의 새로운 비전을 염두에 두고-

        박일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15 宗敎敎育學硏究 Vol.48 No.-

        현대는 다문화와 다종교의 시대이다. 복잡다단한 시대 조류 속에서 종교가 지닌 평화실현을 위한 가능성과 그에 따른 교육의 기능을 찾아보는 일은 중대하고도 시급한 과제의 하나이다. 변화의소용돌이 속에서 종교가 지니는 적극적이고 참된 평화의 실현이라는 교육적인 역할을 탐구하고자하는 요청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현대 종교의 현실에서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종교의 교육적 역할을 가늠해 본다. 그리스도교의 전통은 하느님의 평화, 즉 ‘샬롬’이라고 지칭 되는 완전한 형태의 적극적인 평화를 그 이상으로 이야기 해 오고 있다. 그리스도교, 그 중에서도 가톨릭 종교교육의 새로운 비전을탐색하는 차원에서 평화에 초점을 맞춘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사례로는김수환추기경연구소가 지난 수년간에 걸쳐서 시행해 오고 있는 교육 내용 중에서 김수환추기경의평화 이해와 평화실천의 내용을 중심으로 평화교육에 해당되는 부분을 다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