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배경 설화를 지닌 실전(失傳)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8 No.-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하였던 기존의 고전시가 교육에서 나아가 고전시가 쓰기 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실전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를 위한 교육 내용과 그 의의를 살폈다. 고전시가 쓰기 교육은 학습자들이 현대시 쓰기와는 다른, 서정 갈래 쓰기를 경험함으로써 서정 갈래 쓰기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본 논문은 실전고전시가 중 ≪고려사악지≫에 수록된 <명주> 노래 재구하여 쓰기에 집중하였다.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쓰기 과제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수행’의 내용을 요구하며, 학습자가 배경 설화를 꼼꼼하게 독해하며 겪는 상호 작용, 즉 배경 설화 읽기 경험은 <명주> 노래 쓰기의 출발점이 된다. 중층적 이야기 구조를 고려할 때, <명주> 배경 설화는 남녀 결연 이야기가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의 입을 통해 구전되면서 결연 과정을 보다 극적으로 만들기 위한 장치로 전기적(傳奇的) 성격의 동물 보은 모티프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적층성은 <명주> 노래 쓰기를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지식의 핵심 요소이다. <명주> 노래의 표현 방식을 결정짓는 것은 보다 어려운 문제이다. 적층성을 특징으로 하는 <명주>의 경우, <명주> 노래의 상위 갈래를 무제한으로 열어두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처음 학습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범위는 열려 있되, 학습자는 <명주> 노래를 쓰는 단계로 진입하면서 <명주> 노래의 상위 갈래를 결정해야만 한다. 발상과 표현 방식 이외에 <명주> 노래 쓰기 활동에서 짚어야 하는 교육 내용은 노래가 소통되는 맥락에 대한 고려이다. 노래가 소통되는 맥락을 고려하자면, 노래를 부르는 주체가 누구인지, 노래의 청자는 누구인지를 살펴야 한다.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 활동의 의의는 고전문학교육 차원의 의의와 쓰기 교육 차원의 의의로 나눌 수 있다. 고전문학교육의 차원에서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고전시가가 통용되던 바로 그 시대의 문학적 상상력과 문학적 형식을 적극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학습자들이 지닌 기존의 지식을 ‘종합화’하는 의의를 지닌다. 쓰기 교육의 차원에서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글쓰기를 비롯한 표현 맥락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서정 갈래 쓰기의 하위 교육 내용으로 ‘자기표현’을 주로 하는 현대시 쓰기와는 달리, ‘서사 맥락 속에서 서사 정보를 활용한 서정 갈래 쓰기’ 활동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쓰기 활동은 서사 맥락에 대한 이해 능력과 그것을 서정 갈래로 쓰는 능력을 동시적으로 요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n writing the classical poem and to search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a classical poem.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reading a classical poem in the previous study on the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but there are a few studies about writing a classical poem. So, this study is focused on reconstructing and writing a non-inherited classical poem, for example <명주> in ≪고려사악지≫. Some informations, such as a title of the poem, the range of the inter-textual world and the range of the real world, is necessary for a learner to write a non-inherited classical poem. This paper is showed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a classical poem by frame of knowledge, experi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Because writing a classical poem is a writing task, it is a performance. Writing performance is divided into idea and expression. The idea and expression on writing a classical poem depends on a background story. So, Modern learners use a method of expanding and showing the background story to write a classical poem. There are classical poems and modern poems in the lyric poetry. Writing a modern poem is focused on expressing oneself, but writing a classical poem is to write a lyric poem using the narrative information in the narrative contex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achiev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narrative context and writing a lyric po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