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외 제주인의 제주 지역 애착심이 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지역 정체성의 매개변수 효과를 중심으로 -

        황정진 ( Hwang Jung-jin ),고계성 ( Ko Kye-sung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8 Tourism Research Vol.43 No.3

        인구수가 약 60만 명에 이르는 도외 제주인은 ‘제주인 120만 시대’를 여는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해오고 있기에 제주 경제 발전에 대한 이들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외 제주인이 제주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할 실정이다. 제주 신공항 및 신항 건설, 팜파스 종합휴양관광단지 개발 사업 등 규모 있는 관광 개발 사업들이 계획되어 있거나 이미 진행 중에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제주 관광 개발에 대해서 도외 제주인들이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해 도외 제주인의 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두 가지 요인(지역 애착심과 지역 정체성)을 도출하여 이 요인들이 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주에서 출생하여 살다가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서울과 부산지역으로 이주하여 살고 있는 도외 제주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외 제주인의 지역 애착심은 지역 정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은 관광 개발의 경제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지역 애착심은 관광 개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은 지역 애착심과 관광 개발의 경제적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해석해 보면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것처럼 인간의 본성과 관련해서 지역 애착심은 지역 정체성이 완성되기 전에 개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정체성이 지역 애착심과 관광 개발의 경제적 태도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고, 지역 애착심은 관광 개발 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계적인 측면에서 매개변수의 완전매개 효과가 가지는 특성과 일치한다. 다시 말해, 지역 애착심은 매개변수인 지역 정체성이 없이는 관광 개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외 제주인의 제주 관광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사회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Even though it is easy to anticipate that non-resident Jejurian’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Jeju Island is significant,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non-resident Jejurian on the prosperity of Jeju Island. Nowadays, there are a bunch of ongoing projects of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new Jeju international airport and a new port city. As following these trends of the tourism developmen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n-resident Jejurian on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we found that there are two research variables which can influenc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of non-resident Jejurians. These variables are regional attachment and regional identity.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non-resident Jejurian’s regional attachment and regional identity on their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We conducted a survey toward non-resident Jejurians who are living in Seoud and Pusan city. The results show that non-resident Jejurian’s regional attachment significantlly influence their regional identity. Their regional identity also significantly influence economical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But, no effect was found between regional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The regional identity plays a role of ful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attachment and economic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to policy makers who want to draw non-resident Jejurian’s positiv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 KCI등재

        도외 제주인의 제주 지역 사회 애착도와 지역 이미지가제주 관광 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제주를 떠난 년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정진 ( Jung Jin Hwang ),강성진 ( Sung Jin Kang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이 논문의 목적은 도외 제주인의 지역 사회 애착도와 지역 이미지가 제주 관광 개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 제주를 떠난 년도가 조절효과를 하는지 규명하기 위함이다. 서울과 부산에서 개최되는 도외 제주도민을 위한 행사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총 38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도외 제주인의 지역 이미지가 관광 개발 태도에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주를 떠난 년수는 두 변수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결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도외 제주인의 관광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정책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on-resident Jejurian’s regional attachment and regional image on th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In addi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whether the lapse of time left from Jeju Island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between the independent(i.e., regional attachment and regional image) and the dependent variable(i.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Totally 388 questionnaires were employ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 indicates that regional image is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addition, lapse of time left from Jeju Island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mage and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ies in order to draw non-resident Jejurian’s positive attitude toward tourism development in Jeju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