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과별 수월성 인재상과 졸업 후 취업특성 분석

        김이지 ( Kim Yee Jee ),김명옥 ( Kim Myung-ok ),김은혜 ( Kim Eun Hye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6 입학전형연구 Vol.5 No.-

        본 연구는 대학의 수월성 인재상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첫째, K대학교 학과별 인재상을 분석하고 둘째, 입학생의 대학 학성업취도를 분석하고 셋째, 입학성적의 우수도에 따라 이들의 대학 학업성취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졸업 후 취업특성은 어떠한지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학년도∼2011학년도 K대학교 입학한 입학생 이었으며, 이들의 입학전형의 주요한 평가요소에 따라 학생부중심, 논술중심, 수능중심으로 분류하여 3가지 입학전형유형에 속한 집단에 따른 대학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집단내에 입학성적의 우수도에 따라 대학 학업성취도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입학생의 졸업 후 취업현황을 분석하였다. The pro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d to provide the basics for the design of the each department`s model of talented people. In order to observe the goal of this research first, investigation for each department`s model of talented people was taken. Second, in the perspective of the model of talented people with excellence, the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the higher 20 percent and the rest according to their admission grades, and then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quired score. Finally, this research additionally investigated the status of vocational status after graduation of university.

      • 학과별 수월성 인재상과 재학 중 성과 분석: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을 중점으로

        김이지 ( Yee Jee Kim ),김명옥 ( Myung Ok Kim ),김은혜 ( Eun Hye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입학전형연구 Vol.4 No.-

        본 연구는 대학의 건학이념과 교육목적에 부합한 학생선발을 이루고, 대학에 입학한 입학생을 수월성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기초를 확립하기 위해 대학의 인재상과 입학생의 대학 학업성취도(GPA)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K대학교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생선발에 활용하는 학과별 인재상에 대하여 분석하였다[연구문제 1]. 그리고 입학생의 대학 학업성취도(GPA)를 살피기 위해 2014학년도 K대학교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 277명을 입학학과별로 구분하여 1)전체과목 2)전공과목 3)전공외과목으로 취득한 학점을 세분화하여 대학 학업성취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연구문제 2]. 또한 수월성 인재상 관점에서 입학성적 상위 20% 집단과 상위 20% 제외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의 입학학과별로 전체과목/전공과목/전공외과목에 따른 평균 학점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알아보았고,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연구문제 3]. 분석결과 2014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 277명의 전체과목 평균 학점은 3.23(SD=.59)이었으며 전공과목의 평균 학점은 3.29(SD=.66), 전공외과목의 평균 학점은 3.20(SD=.63)으로 나타났다. 입학성적 상위 20% 집단의 전체과목 평균 학점은 3.34(SD=.57)이었고, 상위 20% 제외 집단의 전체과목 평균 학점은 3.20(SD=.59)로 나타났다. 입학학과별로 입학성적 20% 집단과 상위 20% 제외 집단 간 학업성취도(GPA)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학과는 경영학과, 무역학과. 사학과, 약과학과, 자율전공학과, 주거환경학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분석을 통한 연구의 함의점 및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each department`s model of talented people that is used in the admission officers system in K university when choosing students conforming to the university`s mission statement and educational purpose(subject of study 1). In order to observe the admitted students` academic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e 277 students who have been admitted to K university through the admission officers system in 2014., Then there has been close examination of the students` acquired credits and observ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dit average(subject of study 2). In addi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model of talented people with excellence, the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the higher 20 percent and the rest according to their admission grades. The credit average of the two groups` major/non-major subjects of their admitted departments, has been additionally investigated. Whether the two groups` average gap shows notable difference has been analys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subject of study 3).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whole credit average of the 277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admission officers system in 2014, as 3.23(SD=.59), and the credit average for major subjects was 3.29(SD=.66), while the credit average of non-major subjects was 3.20(SD=.63). The credit average of the higher 20 percent according to their admission grades, was 3.34(SD=.57), and the credit average of the rest was 3.20(SD=.59). Lastly, the thesis suggests the implicit point and limitations of research through analysis research and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