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산(梧山) 서창재(徐昌載)의 학문과 『관례고정(冠禮考定)』 고찰

        한영미 ( Han Young-mi )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7

        이 논문은 조선시대 최초의 冠禮 註釋書라 할 수 있는 『冠禮考定』과 그 편찬자 徐昌載(1726~1781)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서창재는 고향 부근인 경상북도 영주시 梧山에 기거하며 영남의 小退溪로 일컬어지는 李象靖(1710~1781)과 깊은 교류 관계를 맺었으며, 權九淵·洪遵·權正運 등과도 교유를 넓혀갔다. 서창재의 학문은 이상정과의 편지 왕복을 통해 한층 무르익어갔으며, 특히 그의 문집에 수록된 『大學』과 『中庸』에 대한 주석은 이상정의 학설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서창재의 학문적 성과는 『관례고정』을 통해 보다 뚜렷하게 드러난다. 『관례고정』은 서창재의 나이 54세 되던 해인 1779년에 편찬되었으며, 주희의 『家禮』를 대본으로 ‘總論’부터 ‘冠者遂出見于鄕先生及父之執友’까지 총 20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례고정』의 학술적 가치는 무엇보다도 조선조에 출현한 최초의 관례 주석서라는 점에 있다. 『관례고정』은 『가례』의 母胎라 할 수 있는 『儀禮』 「士冠禮」를 바탕으로, 『가례』와 관련된 다양한 참고문헌 및 前後의 중국 학자들의 학설을 總集하고 있다. 게다가 18세기 이전에 출현한 김장생의 『家禮輯覽』, 조호익의 『家禮考證』, 朴世采, 鄭逑 등의 예설을 충실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점도 지나칠 수 없다. 따라서 『관례고정』에 인용된 여러 說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_Gwanlyegojung(冠禮考定)_ that can be called the first commentary of “Gwanlye(冠禮)”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compiler Seo Chang-jae(1726~1781). Seochangjae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Lee Sang-jung (1710~1781), who is known as Sotoegye(小退溪) of Yeongnam province, and lived in Osan Yeongju, Gyeongsangbuk-do, near his hometown. And he widen his relationship with Kwon Koo-yeon, Hong Jun, Kwon Jung-woon, and so on. The study of Seo Chang-jae has deepened through exchanges of letters with Lee Sang-jung. In particular, the commentary on the college and middleyear in his literary works succeeds theory of Lee Sang-jung. The scholarly achievements of Seo Chang-jae are more clearly revealed through _Gwanlyegojung_. It was compiled in 1779, he was 54 years old. And it is consists of a total of 20 items ranging from ‘Chonglon(總論; General introduction)’ to ‘Gwanjasuchulhyeonuhyangseonsaenggeubbujijibu(冠者遂出見 于鄕先生及父之執友)’ in the 『Galye(家禮)』 of Zhu Xi. Academic value of 『Gwanlyegojung』 is, above all, the first commentary of “Gwanlye(冠禮)”in the Chosun Dynasty. 『Gwanlyegojung』 is based on the ritual custom of “Uylye(儀禮)”, “Sagwanlye(士冠禮)” which is the mother of 『Galye(家禮)』, various reference documents related to 『Galye』 and the doctrines of Chinese scholars in the closely one upon the other period. In addition, it can not be neglected that he is faithfully examining the views of 『Galyejiplam(家禮輯覽)』 of Kim Jang-saeng, 『Galyegojeung(家禮考證)』 of Jo Ho-ik who are appeared before the 18th century, and, Park Se-chae and Jeong-gu.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e the in depth analysis of the various theories cited in 『Gwanlyegojung』.

      • KCI등재

        밀양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3 No.-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folk song Milyang Arirang that have been accepted in contemporary literary culture, art culture, fusion and industrial culture an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ew culture. It is aimed to concentrate on whether or not new text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o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works of modern poets embracing Miryang Arirang, the poetry poems written by the poets of Miriang Arirang's works have been relatively successful poetical works, while effective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ditorial and rhythm with Miriang Arirang. The works of Myeongyang in the standpoint of Myeongyang showed the limitation of being able to escape from the observer position by only visualizing the outer appearance of Miryang despite delicate sensual depiction. In the future, it is based on Miriang Arirang, but the task is to continue the effort of city creation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symboliz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of Miryang in a new perspective. I could find 4 kinds of recordings by mass popular song with Miriang Arirang. "New Miryang Arirang"(1968) of Petit Kim, "New Miryang Arirang" (1973) of Beauty Girls, "Miryang Meosum Arirang"(1983, 1988) of Han Kyu Cheol and Song Chang Sik. Keel Ok-yoon's composition and Petit Kim’s song, “New Miryang Arirang”, which is a song of defamatory songs, is based on the light melody of Miryang Arirang, while reviving the song appropriately, while expressing the spirit of drawing on the basis of the union of men and women relatively well. It was a popular song, and the Beauty Girls' “New Miryang Arirang” was not new in the editorial content and only a few lyrics were available, but the song was relatively short and simply ended, which led to a renewed interest in the public. Hwang Kyu Chul and Song Chang Sik's “Miryang Meosum Arirang” not only k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ghtful melody of Miriang Arirang well but also captured the psychology of a woman who hesitated to speak out boldly despite the desire to reveal herself. As a repetitive language expression, it became an popular popular song with public appeal.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new K-pop based on Milyang Arirang. 이 글은 민요 밀양아리랑이 현대의 문학문화, 예술문화, 융합․산업문화에 수용되어 새로운 문화 창출에 기여한 양상을 살핀 후, 문학문화 중 현대시, 예술문화 중 대중가요에서 밀양아리랑이 어떻게 수용, 변용되어 새로운 텍스트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집중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 작품들을 검토한 결과, 밀양아리랑의 소리 권역 출신 시인들이 쓴 시 작품들이 대체로 밀양아리랑과의 사설과 리듬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면서 비교적 성공적인 시적 형상화를 이룬 작품들인 반면, 길손의 입장에서 밀양을 다녀와서 쓴 시 작품들은 섬세한 감각적 묘사에도 불구하고 밀양의 겉모습만 형상화함으로써 관찰자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밀양의 인물과 역사를 새로운 안목에서 형상화하는 등 다각적인 방향에서 시 창작의 노력을 지속해야 하는 것이 과제로 부여되어 있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대중가요로 총 4종의 음반을 찾을 수 있었다. 패티김의 <신밀양아리랑>(1968),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1973), 한규철의 <밀양머슴아리랑>(1983), 송창식의 <밀양머슴아리랑>(1988) 등이 그것이다. 길옥윤 작곡, 패티김 노래의 <신밀양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경쾌한 가락을 바탕으로 노래의 흥을 적절하게 되살리는 한편, 남녀의 연정을 기초로 임을 그리는 마음을 비교적 잘 표현했다는 점에서 당시 많은 인기를 얻었던 대중가요였으며,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은 사설의 내용에서 새로움이 없고 일부 가사만 개사된 형태이면서 노래가 비교적 짧고 단순하게 끝남에 따라 대중의 관심을 새롭게 끌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규철과 송창식이 부른 <밀양머슴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흥겨운 가락이 갖는 특징을 잘 살렸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속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말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여성의 심리를 잘 포착하되 이를 반복적 언어표현으로 사설로 엮음으로써 대중적 호소력을 지닌 대중가요가 되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K-pop의 탄생 등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밀양아리랑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 – 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

        박경수(Park, Kyung-su)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3 No.-

        이 글은 민요 밀양아리랑이 현대의 문학문화, 예술문화, 융합·산업문화에 수용되어 새로운 문화 창출에 기여한 양상을 살핀 후, 문학문화 중 현대시, 예술문화 중 대중가요에서 밀양아리랑이 어떻게 수용, 변용되어 새로운 텍스트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집중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현대시 작품들을 검토한 결과, 밀양아리랑의 소리 권역 출신 시인들이 쓴 시 작품들이 대체로 밀양아리랑과의 사설과 리듬의 효과적으로 반영하면서 비교적 성공적인 시적 형상화를 이룬 작품들인 반면, 길손의 입장에서 밀양을 다녀와서 쓴 시 작품들은 섬세한 감각적 묘사에도 불구하고 밀양의 겉모습만 형상화함으로써 관찰자적 입장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밀양의 인물과 역사를 새로운 안목에서 형상화하는 등 다각적인 방향에서 시 창작의 노력을 지속해야 하는 것이 과제로 부여되어 있다. 밀양아리랑을 수용한 대중가요로 총 4종의 음반을 찾을 수 있었다. 패티김의 <신밀양아리랑>(1968),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1973), 한규철의 <밀양머슴아리랑>(1983), 송창식의 <밀양머슴아리랑>(1988) 등이 그것이다. 길옥윤 작곡, 패티김 노래의 <신밀양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경쾌한 가락을 바탕으로 노래의 흥을 적절하게 되살리는 한편, 남여의 연정을 기초로 임을 그리는 마음을 비교적 잘 표현했다는 점에서 다시 많은 인기를 얻었던 대중가요였으며, 뷰티걸즈의 <신밀양아리랑>은 사설의 내용에서 새로움이 없고 일부 가사만 개사된 형태이면서 노래가 비교적 짧고 단순하게 끝남에 따라 대중의 관심을 새롭게 끌기에 한계가 있었다. 한규철과 송창식이 부른 <밀양머슴아리랑>은 밀양아리랑의 흥겨운 가락이 갖는 특징을 잘 살렸을 뿐만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속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말을 하지 못하고 망설이는 여성의 심리를 잘 포착하되 이를 반복적 언어표현으로 시설로 엮음으로써 대중적 호소력을 지닌 대중가요가 되었다. 앞으로 밀양아리랑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K-pop의 탄생 등을 위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folk song Milyang Arirang that have been accepted in contemporary literary culture, art culture, fusion and industrial culture an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ew culture. It is aimed to concentrate on whether or not new text has been transformed and transform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works of modern poets embracing Miryang Arirang, the poetry poems written by the poets of Miryang Arirang’s works have been relatively successful poetical works, while effective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ditorial and rhythm with Miriang Arirang. The works of Myeongyang in the standpoint of Myeongyang showed the limitation of being able to escape from the observer position by only visualizing the outer appearance of Miryang despite delicate sensual depiction. In the future, it is based on Miriang Arirang, but the task is to continue the effort of city creation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symboliz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of Miryang in a new perspective. I could find 4 kinds of recordings by mass popular song with Miriang Arirang. “New Miryang Arirang”(1968) of Petit Kim, “New Miryang Arirang”(1973) of Beauty Girls, “Miryang Meosum Arirang”(1983, 1988) of Han Kyu Cheol and Song Sik. Keel Ok-yoon’s composition and Petit Kim’s song, “New Miryang Arirang”, which is a song of defamatory songs, is based on the light melody of Miryang Arirang, while reviving the song appropriately, while expressing the spirit of drawing on the basis of the union of men and women relatively well. It was a popular song, and the Beauty Girls’ “New Miryang Arirang” was not new in the editorial content and only a few lyrics were available, but the song was relatively short and simply ended, which led to a renewed interest in the public. Hwang Kyu Chul and Song Chang Sik’s “Miryang Mesoum Arirang” not only k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ghtful melody of Miryang Arirang well but also captured the psychology of a woman who hesitated to speak out boldly despite the desire to reveal herself. As a repetitive language expression, it became and popular song with public appeal.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new K-pop based on Milyang Arir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