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하 미국 유학생으로서의 오천석: 유학생회 활동과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이윤미 ( Lee Yoonmi ) 한국교육사학회 2017 한국교육사학 Vol.39 No.3

        이 논문은 해방후 미군정시기의 대표적 교육주도인물이자 이후 남한 교육계 및 교육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오천석(1901-1987)의 교육사상을 미국유학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오천석이 교육계에서 주도적 활동을 시작한 것이 미군정기 이후였기 때문에 그의 교육관에 대한 분석은 해방이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특히 그의 주요 저서들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1960-70년대에 집중적으로 출간되었기 때문에 그의 교육사상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해방이전 시기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천석의 박사학위논문이 최근 재영인·재인쇄됨에 따라 이를 기초로 그의 교육사상의 주요 형성기인 1921-31년까지의 활동을 분석한다. 그간 자료적 제한으로 인해 충분히 밝혀지지 못했던 오천석의 초기 사상을 확인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가 20대와 30대초라는 청년기를 보냈던 미국 유학생사회의 공유된 의식과의 관련 속에서 규명한다. 이 연구는 오천석의 사상을 보다 복합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뿐 아니라 식민지시기라는 조건속에서 미국유학이 지니는 의미가 무엇이고, 이러한 미국유학세력이 해방후 파워엘리트로 부각되는 맥락을 재조명하는 데에도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work of Auh Chun Suk (or Paul C. Auh, 1901-1987), a protagonist for educational reform during the reign of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ho grew up with a strong Christian background and received his hig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from 1921 to 1931. I examine the formative years of Auh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mmunity of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his doctoral dissertation at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in 1931. Regarding the formation of his thoughts and ideas, Auh`s stay in the United State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should not be dismissed. The period between 1921 and 1931 was crucial, as he completed both hi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es during this ten-year period, when the political atmosphere in Korea was most liberal after the nation-wid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The liberalism of the 1920s provided momentum for many intellectuals, including Auh and other Korean students, to boost their underlying motivations for serving their nation. The Korean students organized themselves into associations and were often involved in political activism with those who were in the United States in exile or as immigrants. Auh was not only an active member of the Federation but was responsible for the publication of the organizations` newsletters, both in Korean and in English, as an editor. The students actively shared their ideas and political views through the publications. His dissertation, where Auh assertively presented himself as an opponent of Japanese educational policies on the assimilation of Koreans, defining the time as an age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and criticized the policies employed by the Japanese as anachronic, was also a product of this shared commun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 비교

        오성철 ( Oh Seong Cheo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논문은 1945년 8월 15일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교육개혁을 주도한 두 인물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두 인물은 민주주의 이념에 근거하여 해방 이후 한국과 전후 일본의 교육개혁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두 인물이 남긴 저작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에 이념적 기반으로 작용한 민주주의 및 민주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그것이 두 인물의 개혁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먼저 공통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은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국가나 민족에 대한 개인의 우위에 입각한 민주주의 이해를 공통된 전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민주주의 이해는 전체주의 및 배타적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부정을 개념적 요소로 하고 있었다. 이에 기반하여 1945년 이전까지의 전체주의적, 중앙집권적 교육체제에 대한 비판, 교육행정의 민주적 개혁과 인간의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념 및 방법의 실현을 추구한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그들의 민주교육론에서 중요한 차이점도 확인될 수 있다. 오천석은 민주교육을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교육방법론의 차원에서 구체화하려 시도하였다. 반면에 난바라 시게루는 민주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교양을 통한 비판적 정신의 함양에 두고 있었다. 따라서 오천석의 민주교육론은 주로 초중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가는 반면, 난바라 시게루의 그것은 후기중등 및 고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간다고 하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1945년 이후 교육개혁 과정에서 교원조직이 지니는 의의와 역할에 대한 인식에도 두 인물 사이에 흥미로운 차이가 보인다. 이상과 같은 사상내적 요인 외에도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은 근대 이후 두 사회의 역사적 경험 및 1945년 이후의 정치적 요인, 그리고 두 인물을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 등 사상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of two major figures who have led the transformation of post-war educational systems in Korea and Japan after 1945 are analysed in terms of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Auh Chun Suk(吳天錫) and Nambara Shigeru(南原繁) pursued the democratic ideals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national educational system in common. They believed that liberal democracy should be the dominant ideology of national transformation of their society, and the ideal of freedom and individuality of mankind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They also pursued the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Yet, some different points in their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could be found. Firstly, Auh stresse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or interests` in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individualities of learners, while Nambara stressed the importance of so-called `Bildung`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learners. As a result, the ideals of democratic education of Auh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pedagogy or curriculum transformation in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whereas the ideals of Nambara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system or institution transformations of post-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Secondly, Auh had relatively cautious attitudes toward the teacher`s union, whereas Nambara were positively supportive to i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