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문학에 나타난 ‘미국’ 표상의 시대별 고찰

        오태호(Oh, Tae-ho) 한국근대문학회 2014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5 No.1

        본고는 북한문학 속에 나타난 ‘미국’의 표상을 시대별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3대 세습체제를 완비한 김정은 시대에도 ‘미국’은 여전히 김일성, 김정일 시대를 계승하는 관점에서 ‘미제국주의’로 인식되어, 극복과 거부, 분노와 적개심의 대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김정은 시대’는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후계자인 김정은이 실질적인 최고지도자가 된 2012년 이후를 말한다. ‘미제’는 북한의 고립과 폐쇄를 강제하는 악의 화신이고 억압적 침략자의 표상으로 그려진다. 선군 담론 속에 ‘경제개발과 핵개발’ 병진 노선을 표방하고 있는 북한에서 해방기 이래로 ‘미국’은 ‘식인종, 야만인, 승냥이’ 등의 야수성을 지닌 표상에서 ‘악마’에 이르기까지 절대악의 이미지로 표상되고 있다. ‘해방기’에는 ‘제2차 세계대전 전승(戰勝) 연합국의 일원’에서 ‘반동적 미제’로 ‘미국’의 표상이 변모된다. ‘김일성 시대’에는 한국전쟁을 거치며 ‘야만적 침략자 미제’로, ‘김정일 시대’에는 ‘백년숙적 학살자 미제’로, ‘김정은 시대’에는 다시 ‘격멸과 멸망의 대상으로서의 미제’로 그려진다. ‘경제건설과 핵무력 건설’이라는 ‘병진 노선’을 걷고 있는 2013년 현재 북한사회의 핵심 기치는 ‘백두 혈통’을 앞세운 “위대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강조된다. 특히 김정은의 행보가 곧 ‘김일성=김정일’이 지닌 ‘최고 존엄’의 동일한 현실태임을 그대로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2013년 6월호에 이르기까지 북한문학은 미제 본토와의 대결전을 앞둔 것마냥 전쟁 논리를 강조한다. 1950년 “조국해방전쟁”에서처럼 ‘전쟁’을 선동하는 듯한 분위기의 표현들이 전면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극히 다행히도 2014년 현재 북한문학 속 ‘미국’의 표상은 2013년 상반기 이전의 평시의 태도를 회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재의 전쟁 불사가 한반도의 공멸을 초래할 수도 있음을 알면서도 전쟁 불안과 위기를 강조하는 북한문학은 끊임 없이 ‘침략과 학살과 제재의 상징인 미제’의 표상을 호전적이고 노골적으로 공격한다. 그것은 체제 유지의 수단으로서의 문학의 도구적 기능을 들여다보게 한다. 북한의 고립과 유엔의 제재가 상대에 대한 악화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안정과 민족의 공생을 위해 평화적 해결 방안의 길로 들어서야 한다. 그것만이 전쟁을 막는 유일한 대안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purposes "American" representation’ appeared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Kim Jong-un era was evaluated from the "Kim Il Sung - Kim Jong-il era’ that inherited the hereditary system completely with 3 being. Since the days of Kim Il Sung "USA" recognized in the "U.S. imperialism". Thus, in the North korea "America" was drawn to the target of the anger and hostility. ‘The U.S. imperialists" forced closure and isolation of North Korea. and they were drawn by the "evil incarnate" and "oppressive invaders" of the representation. North Korean ‘military first discourse’ advocates "economic development and nuclear development" together in the current. during liberation period(1945~1950)’ ‘America" recognized in the "victory in World War II a member of the UN" in first. but after ‘America" was drawn a "cannibal, savage, fox, the devil" figure with such brutality. ’American" is transformed into a representation of "the U.S. imperialists". ‘Kim Il Sung era’ to undergo the Korea War "barbaric invaders, the U.S. imperialists" is drawn. "Kim Jong-il era’ is drawn by ‘the U.S. imperialists as the enemy one hundred years’. "Kim Jong-un era" again is drawn by counter of destruction as the U.S. imperialists Now the heart of North Korea emphasized "Baekdu bloodline" for the "Great Kim Il Sung-Kim Jong Ilism". In particular, Kim Jong-un by ‘Kim Il Sung=Kim Jong Il’ implied ‘the best dignity" in the same situation exists in the present. June 2013 North Korean Literature emphasizes war logic. North Korean literature is constantly highlighting War anxiety and the crisis. ’the U.S. imperialists as the symbol of aggression and genocide and sanctions" was attacked aggressive representation of outright. Literature as a means of maintaining this system exists. United Nation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isolation hostile to each other. rather than phase through dialogue should be to seek a peaceful resolution. It is to prevent war. And it is only a way to go to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harmony and prosperity for the nation.

      • KCI등재

        기획논문 : 이국합전군기를 둘러싸고: < 살류군기(薩琉軍記) >와 < 조선군기(朝鮮軍記) >

        메구로마사시 ( Meguro Masashi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4 No.-

        근세 중기 이후 다수의 이국합전군기가 생산되고 향수되어 왔다. 이 군기들이 묘사한 이야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으로부터 시마즈씨의 류큐 침공, 도쿠가와 막부와 기리시탄(キリシタン)과의 전쟁에 이르기까지 일본 내의 소란으로 부터 대외 전쟁으로 변용해 가는 ``역사``를 묘사하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제작·향수되어, 근세 일본에 있어서의 환일본해(環日本海, 동해)를 둘러싼 이국합전담을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이국합전군기는 에도시대에 널리 전파된, 이국과의 합전을 알기 위한 ``역사``이면서, 더 나아가서는 당시 대외 시책이 어떻게 이해되고 향수되어왔는가를 알기 위해 빠트려서는 안 되는 것이다. < 살류군기(薩琉軍記) >는 역사서로서 읽히고 향수되어 왔다. 이것은 에도 중기 대외 정세가 시시각각 변화해가는 시대 상황에 응한 것이다. 이 시대 상황이 침략 언설의 유포와도 연결되어 있고, 근세 중기 무렵부터 이국을 의식한 언설이 움터가며, 막부 말기에 다시 이러한 언설이 산출된다. 현재 동아시아에 있어서 일본의 시각이 질문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텍스트는 동아시아 문학권으로부터 다시 읽혀야만 하는 작품군이며, 기존 연구의 틀을 해체하기 위해서도 더욱 종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살류군기 >·< 조선군기 >에 묘사된 류큐 침략, 조선 침략 이외의 역사인식도 또한 다양하게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고대부터 근대까지 전쟁에 관한 언설을 종합적·학제적으로 살피지 않아서는 안 된다. ``군기(軍記)``·``군서(軍書)`` 등의 범주 속에서는 이미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장르나 시대구분을 넘은 역사 서술로서 통시대사적인 연구 대상을 다룰 필요성이 있다. 이국합전군기는 다양한 역사서술을 고찰하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Many accounts of joint foreign wars were produced and enjoyed after the medieval period. The narratives described in these war accounts start from the Toyotomi Hideoyoshi`s Invasion of Choson and the Satsuma Clan`s invasion of Ryukyu to the war between Kirishitans (Christian) and Tokugawa Bakufu, describing the "history" of internal turmoil in Japan changing to that of foreign wars. These were produced and enjoyed in a similar period, modern Japan, where a discourse on the foreign joint wars in the Sea of Japan (Yellow Sea) was created. Accounts of joint foreign wars were widely circulated in the Edo period as ``histories`` for knowing foreign countries and joint wars, and therefore should not be neglected for knowing how foreign policy at the time was understood. Satsu-Ryu Gunki (Account of the Satsuma-Ryukyu War) was read and enjoyed as a historical text. This was in response to changing times in the mid-Edo period`s foreign policy situation. The situation of this period was linked to the spread of the rhetoric of invasion with the growth of awareness of foreign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mid-modern period, and this rhetoric was again produced in the late bakufu period. Currently in East Asia, as the Japanese perspective is being questioned, these texts need to be read again as a corpus of the East Asian literary sphere, and can be said to demand more comprehensive studies in order to break the existing paradigm in the extant literature. Aside from the invasions of Ryukyu and Choson described in Satsu-Ryu Gunki and Chosen Gunki (Account of the Choson War), since historical perception is changing in diverse ways, rhetoric on war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period must be examined in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methods. They cannot be explained within the category of military accounts and military writings. There is a need to treat them as diachronic histories, historiographies that transcend genre and time period divisions. Investigating accounts of foreign joint wars as diverse historiographies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식민지 사회주의 문학인의 현해탄 체험과 회상

        허정(Heo Jung) 동남어문학회 2006 동남어문논집 Vol.22 No.-

          Target of this research is Hyeonhaetan works poems that Lim, hwa writes until 1936~1939 year. Hyeonhaetan was passageway to connect colony Choson and empire Japan. For one side, there was passageway that modern civilization and modernism are imported. An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passageway that empire Japan invades for colony administration.<BR>  Lim-hwa"s works are reflecting well such two representations of Hyeonhaetan. And Lim-hwa"s work is split seriously on this account. If speak concretely, it is polarization that occur in discord between modernity and plunder, class and nation. Lim-hwa tries to solve this discord by method to materialize image of "Young man who go to Japan for the nation". This is branch that touch within historic condition that tough suffering of socialism literary mans which tried to accommodate modern age through Japan is the late 1930s at that time. And this time, Lim-hwa awakes nation actual specific real condition. It acts as bud of nation theory of literature that Lim-hwa advocates actively since release.<BR>  This research is sense that confirm concretely colony socialists" discord through im-hwa"s work. And there is sense that understand more concretely phase of life of Japan-made colony latter term that provoke this discord through Lim-hwa"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