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교회 초기 사경회와 신앙교육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6

        한국교회의 초기 사경회의 모습 속에는 성도들이 열심히 참석하며, 한국인 교사가 가르치고, 사경회에서 얻은 확신으로 전도하고 교회를 설립하는 등 한국교회의 열심 있는 특징들이 드러나고 있다. 사경회의 기간 동안은 매일 조직적인 성경공부와 기도와 개인전도를 할 수 있는 기간이었다. 사경회는 집중적으로, 그리고 조직적으로 성경을 공부하는 모임이었다. 사경회는 일정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하고, 정기적으로 반복해서 계속한다는 면에서 훈련의 좋은 방법이었다. 교인들은 이 사경회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훈련을 받을 수 있었고, 부단히 자랄 수 있었다. 그러기에 그들의 신앙을 유지시킬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영적인 힘을 얻을 수 있었다. 사경회를 통한 훈련으로 교회는 훈련된 사람을 얻을 수 있었고, 생명력을 갖추게 되었고, 교회는 부흥과 성장을 이루어 나갈 수 있었다. 사경회는 교회의 지도자를 발굴해 내고 육성하는, 초기에 있어 중요하고도 거의 유일한 산실이 되었다. 교회의 각 부문의 지도자들은 대부분 사경회의 학생들이었다. 목사도 장로도 교사도 사경회의 학생으로부터 출발했다. 한국교회의 초기 역사는 세례교육과 사경회를 통한 계속적인 성경교육을 통하여 교회의 질적 성장과 정비례하는 양적 부흥을 가져왔다. 사경회는 교회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 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건실한 성장을 가져왔다. 사경회를 통한 성장은 건전한 신앙 성장이 되었다. 철저한 성경교육과 해마다 반복되는 정기적인 성경공부를 통해 성도들은 체계 있고 균형 잡힌 신앙생활을 하게 되었다. 초기 교인들의 훈련된 올바른 신앙의 자세는 사경회에 힘입은 바 크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교회 성장은 평신도의 개인전도에 힘입었고, 사경회는 교인들에게 전도에 임할 수 있도록 확신과 열정을 제공해 주었다.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in a 'Bible class' of the early period of Korean churches. First of all, every layman eagerly participated in the class taught by Korean instructor. With confidence acquired through a Bible class, they could evangelize local community and establish churches. During the period of a Bible class, church members were able to focus on studying the Word systematically and spreading the Gospel. It was one of the strengths of a Bible class that members were trained certain period of time regularly and extensively. Thus, it is natural that their faith and comprehension of the Gospel grew significantly, and also believers equipped with spiritual strength. Churches holding a Bible class could gain well-trained members and substantial vitality. Consequently, churches experienced a revival and growth. A Bible class was a very important and only way to train leaders in the church including even pastors and elders. Also the majority of teachers in various fields of church education were from a Bible class. It is found that in the early period Korean Church continued to hold a Bible class and baptism. As a result, Korean Church went through an unprecedented revival in number that is proportional to the qualitative growth. These church revival and growth by a Bible class were truly healthy and stout development. Participating in a comprehensive Bible class every year, believers could attain systematical and well-balanced faith. The sincere attitude of early christians toward the Word was the outcome of a Bible class. The impressive growth of Korean Church owed personal evangelism of church members, and truly it was the Bible class which enabled them to do so. In this paper I systematically examine the size and form of the early Bible Class, characteristics of a Bible Class, the effect of a Bible class which influenced Christian education and church organization, and how the Bible Class brought the church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