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중고령 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지원

        최희정(Heejeong Choi),남보람(Boram Nam),유수빈(Soo-Bin You)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2

        본 연구는 세대 간 거주근접성이 성인자녀가 중고령부모에게 제공하는 경제적 자원이전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세대간 거주근접성과 경제적 자원이전의 관계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자녀 본인 뿐 아니라 형제자매의 거주근접성 역시 고려되었다. 미국 등 국외 선행연구는 근거리에 거주하는 형제자매가 제공하는 도구적 지원을 보완하기 위해 원거리에 거주하는 자녀의 경제적 지원수준이 높을 것으로 보았다. 데이터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2014)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부모의 연령이 60세 이상이고 자녀의 연령은 35세에서 55세 사이로 부모가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부모의 경우 부부가구이거나 배우자와 사별한 독거가구로 구분하였다.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으로 가족내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 30분 이내 거리에 거주하거나 혹은 1시간 이상 2시간 이내 거리에 거주하는 경우 아들의 경제적 지원액이 딸보다 많았다. 둘째, 선행연구 결과와 달리, 형제자매를 포함하여 모든 자녀가 부모와 1시간 이상 거리에 거주할 때 아들과 딸 성별의 구분 없이 경제적 지원액이 높았다. 세대간 거주근접성과 경제적 자원이전의 관련성은 배우자와 사별한 1인가구 부모가 경제적 지원의 수혜자인 경우 나타나지 않았다. We examined if intergenerational proximity might be associated with upstream financial transfer from adult children to older parents, and whether adult child gender might moderate the association. We considered siblings’ proximity to parents, as well as that of the adult child. Prior work conducted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has suggested that children living further from parents might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compensate for instrumental support provided more by siblings living closer to parent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14). Our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older adults 60+ and their children aged 35 and 55. None of the children co-resided with parents. Parental households consisted of either widowed individuals or married couples. For within-family analyses,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 first, sons living within a 30-minute distance, or within an hour to two-hour distance provided more monetary support to married parents compared to daughters. Second, contrary to existing findings, greater financial assistance was provided by sons and daughters when no children lived within an hour distance from their parents. For widowed parents living alone, intergenerational proximit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financial transfer from adult children.

      • KCI등재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성지미,차은영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勞動經濟論集 Vol.24 No.1

        자녀양육에 수반되는 시간적·금전적 비용부담이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한 선행 연구들은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였다. 사희복지정책이 발달한 국가에서 세대간 동거(co-residence)는 고령층의 의료 및 부양과 관련된 공적 비용을 사적 비용으로 전환하고, 공식적인 부양을 비공식적인 것으로 대체하는 동시에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을 증가시킨다는 관점에서 정책 설정에서 주요한 개선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2차년도(1999)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세대와의 동거상태, 부모 및 기흔여성 본인의 건강상태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Tobit모형의 추정 결과, 동거 여부, 여성노인과의 동거, 노동시장 근로를 하지 않는 여성노인과의 동거는 동거하는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계 없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량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동거는 세대간 사적 자원이전(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 of resources)을 통하여 기흔여성 의 노동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세대간 사적 자원이전이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시간자원의 이전이라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Co-residence is a type of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of resources: money, time and space. Adult daughters and their elderly parents decide to co-reside, depending on their utility levels before and after co-residence that mainly depend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Therefore, co-residence implies positive net benefits to both parties in the sense that, when they co-reside, elderly parents share childcare and adult daughter provide elderly care. In other words, formal (paid) care can be substituted with informal (unpaid) one. Both marriage and giving births are considered as the major obstacles to labor market attachment of women who bear burdens of home production and childcare. Co-residence can be a solution for married women to avoid career interruption by sharing burdens with their elderly parents.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using the U.S. data on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focused on elderly care and have concluded that they reduce government expenditures associated with public subsidies to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adult daughters and it examines effects of co-residence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in Korea, who face limited formal childcare program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applies the Tobit model of married women's labor supply to the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1999),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co-residence and the work and health status of the co-residing elderly as well as their own health status. Four specifications of the empirical model are tested that each includes co-residence with elderly parents, their gender, or their work and health status. Estimation results show mat co-residence, co-residence with female elderly, and co-residence with not-working female elderly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while poor health status of co-residing female elderly does not bring about any negative effects. However, co-residence with male elderly, regardless of their work and health status, has no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s indicate that co-residence is closely related to sharing of home production among female elderly and adult daughters who are married and, through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s of resources in terms of time, it helps women avoid career interruption.

      • KCI등재

        연령그룹별 가계부채 리스크의 변화: 자산기반 세대 간 자원이전 관점의 분석

        하준경 한국경제의 분석패널 2023 한국경제의 분석 Vol.29 No.2

        This paper analyzes the rapid increase of young adults’ household debt since mid-2010s, focusing on its relationship with the unbalanced demographic structure and financial conditions in Korea. In particular, the household debt problem of near-retirees in mid-2010s and that of young adults in early-2020s may be systematically related with each other. Korea’s young adults are smaller in size compared with baby boomers. This imbalance,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 of asset (real estate)-based old-age preparation, could be an important reason why young people’s debt has increased so drastically.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transfer accounts, imbalances in demographic structure caused by population aging could raise young adults’ household debt risks as long as asset prices do not sufficiently adjust. This paper tries to empirically see this possibility by constructing indexes for support-burden and easiness of getting support for each age group an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exes and variables such as household debt and debt-income ratios using the KLIPS data. Panel analyses for 2000-2020 show that the support-burden index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bt levels, debt-income ratios,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debt. This results hold for panels of both 5-year age groups and individual households. Particularly in the years after 2014 when the financial environment turned loose, the effect of support-burden index becomes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is asset-based support-burden effect shows the possibility that, when the size of young adults is shrinking, the elderly’s debt burden and risks tend to be transferred to the young through real estate and related financial markets by means of home sales, onerous gifts, and loan principal and interests. 본 논문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청년층 가계부채의 급증이 인구구조 불균형, 그리고 그에 따른 세대 간 금융 여건 불균형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특히 2010년대 중후반에 두드러졌던 고령층의 부채 문제와 2020년대 초의 청년층 부채 문제가 상호 체계적 관계를 가질 가능성에 주목한다. 한국의 청년층은 베이비부머 등 중노년 세대보다 규모가 작다. 이 불균형이 한국의 자산-특히 부동산-기반 노후대비 관행과 결합하여 청년층의 빚이 늘어나는 중요한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세대 간 자원배분의 원리를 보여주는 국민이전계정의 틀을 통해 보면,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불균형은 자산가격이 하락하지 않는 한 청년층에게 가계부채 리스크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인구구조 불균형에 따른 세대 간 자원이전 부담 정도를 수량적으로 보여주는 연령그룹별 부양부담 지수와 피부양 용이성 지수를 구축하고, 이 지수들이 가계부채 수준과 부채-소득 비율, 부채 보유 여부 등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2000-2020년 자료를 활용한 패널분석 결과, 5세 단위 연령그룹별 분석 및 가구별 분석에서 부양부담 지수가 가계의 부채 수준 및 소득 대비 부채 비율, 부채 보유 여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금융환경이 완화적으로 변한 2014년 이후에는 부양부담 지수의 효과가 더욱 크고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자산기반 부양부담 효과는 고령층 규모가 늘고 청년층 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고령층의 부채 부담과 리스크가 부동산 및 관련 금융시장에서 주택 매매, 부담부 증여, 대출 원리금 등을 매개로 청년층에게 이전되는 메커니즘이 작동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신혼가구의 주거 입지에 나타나는 세대간 시간 자원의 이전과 성별 효과

        이길제(Lee Gil Jae),최막중(Choi, Mack Joong)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7 國土計劃 Vol.52 No.2

        The recent study empirically confirms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asset and its gender effect in Korea, as parents’ wealth affects their child’s housing asset prepared for marriage while bridegroom’s parents take a leading role. In compariso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time resource takes place in association with the needs of newly married households for housework and childrearing as well as the parents’ needs for caring for the elderly,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role between bride’s and bridegroom’s parents. Since the transfer of time requires a geographical proximity, the probability is approximated by that of parents’ and child’s residences located 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The estimation results of logit and panel logit models based on the survey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emon Strate that the child’s needs make their residence close to that of bride’s parents and the probability of co-location increases during the childrearing period compared to the time of child’s moving out. The transfer of child’s time to bride’s parents also takes place as parents become older and unhealthier. While these results verify that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time occurs centering around bride’s parents, only the wealth of bridegroom’s parents make child’s residence close to their residence at the time of moving out, which might be related to the transfer of asset.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조부모역할 유형과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

        홍승우(Hong, Seung Woo),최혜경(Choi, Hye Kyong)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4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의 조부모역할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며, 각 유형별로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은 어떻게 다른지를 세대 간 자원이전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손자녀를 둔 60대 이상의 노인 461명을 대상으로 손자녀와의 관계, 손자녀를 위한 지출명목, 지출형태 및 지출액, 제품과 서비스의 구매 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노인들은 밀착형, 공식형, 소극형의 세 가지 조부모역할 유형으로 구분되며, 조부모역할 유형에 따라 손자녀를 위한 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착형 조부모들은 손자녀와의 관계에서 양육자이자 친구로서 손자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자원이전의 측면에서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였다. 공식형 조부모들은 양육에 크게 관여하지 않지만 밀착형 다음으로 적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였고 주로 현금을 주는 식으로 경제적 지원역할을 수행하였다. 소극형 조부모들은 밀착형보다 양육자나 친구로서의 관계가 약하고 세 유형 중에서 가장 소극적인 소비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물리적 자원이전 견지에서 조부모역할 유형에 따라 손자녀를 위한 소비가 각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pending tendency of elderly consumers for their grandchildren. To this end, a detailed survey was carried out for two months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1. The respondents consist of 461 elderly consumers over 60s who have grandchildren in elementary grades. Among the gathered data, relevant information was sorted out, coded, and then turned into statistical figures through SPSS 18.0 program.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explained in the following three respects. First of all, based upon factor and cluster analysis, the role of grandparents has be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a babysitter, a friend and a visitor. Depending on their role, the surveyed elderly have been split into three groups-'Friend Group', 'Formal Visitor Group', 'Attached Group'. Second, to give you an overview of the consumption trend of the three group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expenditure items, spending amount and consumption patterns, and made a list of products and services they purchased for the past one year for their grandchildren. Third, given the probability of wealth transfer to the next generation, there is a compelling need to figure out the purchase pattern of financial products. The elderly have been categorized into those with bank deposits only and those with a mixture of bank deposits and other financial products (insurance, fund, stocks, gold, dollar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