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교육과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포: 교육 불평등에 대한 사교육의 함의

        강창희 ( Changhui Kang ),박윤수 ( Yoonsoo Park ) 한국경제학회 2021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7 No.2

        사교육이 세계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사교육의 확대가 교육 불평등을 악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세대 간 이동성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본 연구는 사교육이 한국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평균 및 분포 효과를 추정하여 이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중차분모형에서 분포를 복구하는 반모수적 모형을 적용한 결과, 사교육은 성취도 분포의 상단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분포의 하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교육의 확대가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정도가 사교육의 평균 효과가 미미하다는 실증연구들이 시사하는 수준보다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private tutoring becomes globally widespread, many worry that an expansion of private tutoring aggravates educational inequality and ultimately intergenerational mobility. We address the issues by estimating the average and distributional effects of private tutoring on academic outcom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pplying a semiparametric model recovering distributions in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s, we discover that the presence of private tutoring shifts the upper half of the outcome distribution rightward, but it exert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effects on the lower half of the distribution.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private tutoring in an education system is expected to aggravate educational inequality more than an empirical method reporting modest average effects sugg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