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과 인지 및 노출저감화행동

        전은영,엄지연 한국모자보건학회 2017 한국모자보건학회 학술대회 연제집 Vol.2017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각종 화학제품의 발달로 현대인의 생활이 편리하여 졌지만, 일상생활에서의 유해 화학물질의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인체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는 것이 상당이 어렵기 때문에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노출 감소를 위한 생활 수칙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 특히 발달이 빠른 태아기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가장 취약한 시기이다. 그러므로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임부는 일반 성인보다 더욱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민감하여야 하고 노출을 최대한 감소시켜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유해성은 학문적으로 명확하지만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과 인지 및 노출저감화행동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지식, 인지 및 노출저감화행동 수준을 파악하고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의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과 청주 지역의 여성병원과 보건소에 등록된 임부 중, 본 연구의 취지를 듣고 참여에 동의한 239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 8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평균 지식 점수는 24점 만점에 15.79±4.94 (100점 만점에 65.8점), 평균 정답률은 65.8%였다. 정답률이 낮은 지식 항목은 주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영향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지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준 일반적 특성은 교육수준(F=6.73, p=.001), 가족의 월 평균 수입(F=5.85, p=.003), 직업 유무(t=-2.79, p= .006)였다.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평균 인지 점수는 16점 만점에 10.42±2.72 (100점 만점에 65.5점)이었다.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준 일반적 특성은 나이(F=6.03, p=.003), 가족의 월 평균 수입(F=4.52, p=.012)이었다.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 평균 점수는 85점 만점에 57.14±8.50 (100점 만점에 66.9 점)이었다.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준 일반적 특성은 임신 횟수(t=-2.38, p=.018), 산전교육 참여 경험(t=-2.57, p=.011)이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은 지식(r=.18, p=.002)과 인지(r=.21,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지식, 인지 수준이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 실천을 촉구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지식을 제공하고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대한 인지 수준을 높여 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야 한다. 또한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임부의 내분비계 장애물질 노출저감화행동의 영향요인

        엄지연,전은영 한국가정간호학회 2023 가정간호학회지 Vol.30 No.2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behaviors of reducing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BRE to EDCs) in pregnancy, based on the PRECEDE model.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N=239) who met the medical records and eligibility criteria from the Women's Hospital and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pecially-design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PRECEDE model and included BRE to EDCs predisposing factors, reinforcing factors, and enabling facto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Model Ⅰ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prenatal education influenced the BRE to EDCs significantly; and a regression showed that the determinant variables accounted for 3.4%. In Model Ⅱ, the predisposing factors of perceived barriers of BRE to EDCs and environmental self-efficacy were added. It was shown that they significantly influenced BRE to EDCs in the order named, and a regression revealed that increases in the determinant variables accounted for 22.5%. In Model Ⅲ, to which enabling factors were added, the information acquisition experience of BRE to EDCs interacted significantly with BRE to EDCs and a regression showed an increase in the determinant variables accounting for 25.3%.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 of endocrine disruptors must be included in the prenat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pregnant women, and i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can reduce the perceived obstacle to BRE to EDCs, enhance the environmental self-efficacy, and provide the information in regard to reducing exposure to EDC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