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선옥,강진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3

        This study compares and verifies the effects of group cinematherapy programs for stress reduction among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Live Zoo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sist of 12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as an experimental group. From the last week of October to the third week of November 2020, it was hel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a total of 4 times for 480 minut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In conclusion the non-face-to-face cinematherapy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way university students deal with stress and reduce stres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se effects between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is is as meaningful result of performing cinematherapy using general cinema for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It has been shown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need to have a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take care of the difficult psychological state faced by non-Christian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Christian Cinematherapists’ activities can reach non-Christians outside churche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대학생과 비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영화치료 프로그램을 라이브 Zoom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B도시에 소재한 A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2020년 10월 마지막 주부터 11월 셋째 주까지 주 1회 120분, 총 4회 480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반응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비대면 실시간 라이브 Zoom을 활용한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비기독교 대학생 집단과 기독교 대학생 집단 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전-사후 효과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대면으로 진행한 영화치료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기독교 대학생과 비기독교 대학생 간에는 이러한 효과들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를 대상으로 일반영화를 활용한 영화치료를 실행했을 때 거둔 의미있는 결과이다. 기독교 영화치료사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비기독교인이 처한 어려운 심리상태를 돌보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기독교 영화치료사의 활동영역이 교회를 벗어나 비기독교인들에게까지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선옥 ( Ko Sun Ok ),강연정 ( Kang Yeon Jeo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0 복음과 상담 Vol.28 No.1

        본 연구는 영화치료를 통하여 기독교 가정의 자녀를 성경적 가치관을 가진 기독교인으로 양육할 수 있도록 기독교인 부모들을 교육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독교인 부모를 대상으로 Horace Bushnell(2004)의 기독교적 양육 이론과 Birgit Woltz(2006)의 영화치료 이론 그리고 John Gottman(2007)의 감정코칭 이론을 기틀로 영화 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C/D교회에 출석 중인 9-12세 학령기 자녀가 있는 기독교인 부모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15명씩을 무선 배치하여 주 2회, 각 120분, 총 12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를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인 부 모의 양육행동, 부모 자녀의 의사소통 및 부모의 영적 안녕감에 있어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영화치료를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기독교 부모의 양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중심으로 자녀와 의사소통을 통한 영적 안녕감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회 내 활용 가능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 therapy based on Birgit Wolfz (2006)’s Cinema Therapy theory, Horace Bushnell (2004)’s Christian Nurture theory and John Gottman (2007)’s Emotional Coaching theory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is program were conducted expert validity investig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Christian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9 to 12 at the C/D church in C cit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of 15 people each that were alloted randomly. One is a test group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onducted two sessions a week, 120 minutes per session and total 12 sess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 program, In conclusion,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f Christian parents. Therefore,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program using cinematherapy suggests that it is an in-church viable program that can help improve spiritual well-being through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parenting of Christian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