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어 일섭의 대구에서 행적 연구

        최은령 ( Choi Eun-ryung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7 文物硏究 Vol.- No.32

        금용 일섭(金容 日燮)스님은 한국 근현대기 불교미술사에서 크나큰 족적을 남긴 입지적인 인물이다. 일섭은 불상(佛像), 불화(佛畵), 단청(丹靑) 등 불교미술 전반에서 수많은 작품을 제작하며 제자 양성에도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일섭은 자신의 기록이자 작업일지인 『연보』를 오랜 기간 작성하여 남겼다. 『연보』는 그의 작품 활동과 생애, 가족 및 교우,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작품의 소재지와 활동사항을 파악하여 일섭의 작품 연구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일섭의 『연보』에 기록된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대구에서 행적을 연대별로 정리하여, 일섭이 대구에서 행한 불사내용을 파악하였다. 일섭의 대구지역 행적을 통해 당시 불사의 성격, 작품 제작기간 및 제작과정, 화주, 화원의 구성 등 전반적인 불사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금어 일섭(金魚 日燮)은 1938년부터 1950년대 이전까지 김제 부용사를 거점으로 전라도와 제주도, 경기도, 강원도의 여러 불사를 도맡아 작업하였고. 1950년대부터 말년까지 대구 장수사에 거점을 두고 대구와 부산, 경상도 일대의 불사를 적극적으로 주도하였다. 1950년대 이후 대구 중심의 활동은 일섭이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전국적인 활동을 가능하도록 작업영역을 확장시켰다는 데에서 의미가 크다. 일섭의 대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여러 불사 중에는 점집, 무당집, 수도원, 도덕협회(道德協會)의 신상(神像)제작에 참여한 일이 적지 않았고 또한 석고와 시멘트와 같은 새로운 재료를 불상 제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것은 근현대기 화승들이 종교성과 창의성의 경계에서 고민했듯이, 화승 일섭이 1950년대 이후 힘들고 피폐해진 사회상황에서 대중에게 다가가기 위한 또 다른 고민의 결과물로 이해할 수 있겠다. Monk Keumyong Ilseob is self-made man who left big footprints in Korean modern Buddhist art history. Ilseob made many Buddhist art works including Buddhist statures, Buddhist paintings, and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nd did not spare effort to train his followers. He left "Chronology", a work journal recording his works. His "Chronology"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study on Ilseob as it helps us to understand his works, life, family, friendship, art world, the location and his activities related to his works. In this study, his activities from 1950 to 1970s in his “Chronology” were chronologically summarized to identify what he did in Daegu. Through his activities in Daegu, overall processes of Buddhist servic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ituals at that time, period of production, production process, treasurer of the project and composition of painters could be identified. Keumeo Ilseob worked at various Buddhist services in Jeolla Province, Jeju Island,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based in Gimje Buyong Temple from 1938 before the 1950s. From the 1950s to the end of his life, he led Buddhist services in Busan and Gyeongsang provinces based in Daegu JangsuTemple. Activities after 1950s based in Daegu are meaningful in that he did not limit his activities to a certain region but to expand it to cover the whole country. Among the Buddhist services Ilseob was involved in, there were statues for shaman’s house, monastery and the Moral Association. He utilized new materials such as plaster and cement to make Buddhist statues. Just as many contemporary and early modern monk painters wondered on the boundaries between religion and creativity, Monk Painter Ilseob had same agony. It seems that those works were result of his agony to come closer to the people in 1950s when life was hard and the neighborhood was war-to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