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 모색 - 경기도 청소년을 중심으로

        권일남 ( Kwon Il Nam ),전명순 ( Jeon Myong Sun ),서재범 ( Seo Jae Bu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 215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활동참여정도와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청소년시설을 알게 된 경로는 친구와 선후배를 통해서가 많았고, 청소년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일반적활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시설의 아쉬운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족, 홍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 참여가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활동에는 심리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활동, 편안한 쉼과 여가를 즐기는 활동, 사회적 약자지원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청소년시설에서 제공하는 활동영역에 대한 만족 기대가 달랐다. 여섯째,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로는 진로체험중심의 시설과 스포츠특성화시설에 대한 필요를 가장 크게 요구하였다. 일곱째, 비대면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지만, 필요 장비를 다루는 법, 비대면활동 개발방법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청소년은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경기북부-스포츠 특성화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 경기남부-녹음, 제작이 가능한 활동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에서 차이를 보였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로 경기도 청소년들의 활동 참여와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ased on a survey on youth activities in Gyeonggi Province.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3 adolescents about the degree and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the level of youth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channels to know youth facilities were through friends and seniors and juniors, and youth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general activities were highly engaged. Second, the regrets of youth facilities were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lack of programs that can represent the region, and lack of publicity. Thir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was recogniz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Fourth, the activities that the region wanted to provide were highly demanding for activities that enhance psychological self-esteem, activities that enjoy comfortable rest and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fth, satisfaction expectations for the activity areas provided by youth facil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Sixth, as facilities that were desired to be built in the region, the need for career experience-oriented facilities and sports specialized facilities was most demanded. Seventh, it wa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non-face-to-face, but showed difficulties in how to handle necessary equipment and develop non-face-to-face activities. In addition, youths in northern Gyeonggi and southern Gyeonggi showed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they wanted to be built in the region.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Gyeonggi-do youth'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 만족도 분석: 경기도 권역별 구분을 중심으로

        박선혜(Park, Seon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1

        청소년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이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참여 학생 선발 및 프로그램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된다. 2019년 경기도의회 청소년의회교실 참여학생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교육단계에 따른 청소년의회교실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습경험요인에서 모의의회 역할유무와 경기도 지역 권역별 구분에 따라 만족도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부권역은 동부권역과 비교하여, 북서부권역은 동부권역과 비교하여 긍정적인 만족도가 제시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구성요인에서 참여학교 수와 참여학생 수에 따라서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넷째, 평가요인에서 자기보고식 학습이해도 수준인 의사결정과정이해도 및 지방의회이해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교육단계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권역별 구분에 따른 만족도 수준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초등학생은 지역 권역별 구분에서 경기도 남부권역과 동부권역 그리고 남부권역과 북동부권역의 만족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경우 농촌지역과 제한된 경제발전 권역 등 참고하여 참여학생을 모집하고 선발하여야 한다. 또한 유사 권역 안에서 학교조합시 참여학생에 맞춘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이 필요하다. 경기도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고른 학습 기회 제공을 위한 참여 학생 선발기준과 학습 만족도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설계에 대한 함의점이 제시되었다. The results of my research into the Gyeonggido Youth Council Learning Program suggests that it should be expanded in line with its importance in youth civic programs, and especially so when considering the neighborhood effect. First, the statistical comparisons of gender and schooling levels have not checked. Second, the specific roles and regions provide satisfactory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s. Third, both the number of school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have a direct statistical relationship and impact upon with satisfaction levels. Fourth,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regional assembly operates allows us further information on how and why results on satisfaction levels differ. Lastly, the neighborhood effect was regionally influenced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 amongst both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type of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which derive from differing level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naturally lead to differentiated results when it comes to program satisfaction levels. A key implication is student recruitment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youth programs, and these need to give due consideration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Some disputed issues remain to be discussed for youth program approaches and the neighborhoods of Gyeonggido.

      • KCI등재

        청소년이 바라는 활동요구 실태조사 분석 - 경기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권일남 ( Kwon Il Na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인식과 참여수준을 파악하며 향후 청소년들이 바라는 활동을 조사함에 있다. 방법: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 백분비, χ²-검증 등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시설을 알게 된 경로는 친구나 선후배를 통해서였다. 청소년시설 이용 시 지역 대표 프로그램 부족, 기관 프로그램의 홍보 부족, 타 지역에 비해 프로그램 다양성 부족 등이 문제점이라고 생각하였다. 둘째, 청소년활동의 효과는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워주고, 강점을 살려주며, 자신의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점을 들었다. 또한 공동체활동이나 새롭게 친구를 사귀는 데, 리더십을 키우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은 활동 단순한 참여보다는 자신들이 주도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를 원했다. 시사점: 청소년활동의 새로운 변혁과 지원, 향후 더 나은 청소년활동추진에 필요한 현장중심 요구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정책을 구현해 나가는 방향을 얻고자 한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level of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desired by youth. The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olescents, and the SPSS 21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and frequency, percentage, and χ²-test were applied. Findings: First, the path to learning youth facilities was through friends or seniors and juniors. When using youth facilities, the lack of regional representative programs, lack of publicity of institutional programs, and lack of program diversity compared to other regions were considered problems. Second, the effect of youth activities is that they can fill in their shortcomings, revive their strengths, and express their thought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I thought it would help develop leadership in community activities or making new friends Third, teenagers wanted to be able to demonstrate their leading capabilities rather than simply participate in activities. Conclusions: The aim is to get directions for implementing youth activity policies based on new transformation and support for youth activities, and field-oriented demands necessary for better youth activ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경기지역 중학생 비행행동 잠재집단분석

        임미령,김지훈,김미희,이현,정애경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7

        This research utilized a two-year panel data of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We have focused on classifying juvenile delinquency to provide the prevention and policy alternatives. There were 4,051 people who responded to all the delinquent questions from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LCA) are as follows. First, when viewed by looking at the type of latent class, the ratio of the model population in two years increased more than the primary period. The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of serious delinquent action was found to have decreased. However, it has shown a tendency to increase the proportion performing status delinquency in the serious delinquent class. Second, analysis of the latent class of delinquency in consideration of the sex is that the delinquent level of males was higher than females. In additions, male students when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model class was lower for males. It showed a tendency that kind of latent class of delinquent behavior is further differenti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type of latent class of delinquency in the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of delinquent behavior. 이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1-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기지역 중학생들의 비행행동을 잠재집단분석(LCA)을 통해 유형화함으로써 청소년 비행행동의 예방 및 대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교육종단연구 비행행동 관련 문항에 모두 응답한 4,051명으로, 연도별·성별에 따른 잠재집단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비행행동 잠재집단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1차 년도에 비해 2차 년도에 모범집단의 비율은 늘어나고, 심각한 비행행동을 하는 집단의 비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각한 비행행동을 하는 집단의 속성에서 지위비행을 행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성별을 고려한 비행행동 잠재집단분석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행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모범 집단 소속확률이 낮았으며 비행행동 잠재집단 유형이 더욱 분화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청소년 비행행동 예방 대책 수립에 있어 비행행동 잠재집단 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