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말 崛山門 梵日과 金周元系 관련설의 비판적 검토

        金興三(Kim Heung-Sam)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0

        기왕의 연구에서는 김주원이 ① 원성왕에게 받은 거대한 식읍이 명주에 있었으며, ② 명주로 오기 이전에 이미 혈연적 연고를 두었고, ③ 명주로 퇴거할 때 추종세력이 함께 이주했다는 것을 근거로 범일과 김주원계가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먼저 주장하는 바는 김주원계를 매우 큰 세력으로 상정하고 이들과 범일이 신라말 명주라는 시간과 공간의 동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연적으로 논의한 것이었다. 김주원이 받았다는 식읍이 기록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인물조는 조선전기 명족의식에 의해 족보가 만들어지던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각 지방의 거족들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였다. 강릉 읍사의 주축을 이루고 있던 거족인 강릉김씨는 자신들의 시조인 김주원을 현창하고자 임금에 버금가게 명주군왕으로 칭하고 많은 지역의 식읍을 받았다고 인물조에 기재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즉 통일신라 때 봉호의 방식으로 식읍이 주어졌으나 김주원에게는 봉토로 지급되었고, 나라를 들어 항복해 온 견훤과 경순왕의 식읍이 1군에 지나지 않은데 비해 반란을 일으킬 소지가 있던 김주원의 식읍은 5군에 걸쳐 있었다. 또 사망한 정의태후가 교지를 내렸다고 등재하였고, 신라시대 관등으로 잘 알려진 상대등을 상대장등으로 잘못서술하였으며, 통일신라시대 때에 없는 지명인 근을어를 기록하였다. ②와 ③의 주장은 사료적 가치가 적은 족보와 최근에 만든 비문에 근거하였다. 여기에는 김주원의 부친인 김유정이 강릉에 벼슬하러 갔다가 그곳에서 박씨를 만나 결혼하였다고 실려 있다. 그러나 골품제사회에서 신라 최고위층인 경주 진골과 지방 토착세력 간의 결혼이 이루어졌는지 의심스럽다. 김주원의 휘하세력으로 경주에서 명주로 퇴거할 때 함께 했다고 거론한 최ㆍ함ㆍ박씨는 모두 고려 건국 이후에 명주에서 활동한 성이다. 또 열거한 성씨는 『세종실록』 지리지와 『승람』의 기록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이 내용을 족보와 비문에 옮겨 적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강릉김씨가 강릉에 제대로 정착한 것은 김주원대가 아니라 『강릉김씨세보』에 삼한공신이라 나오는 김식희대에 이르러서였다. 이와 같이 범일이 살았던 시기인 신라 하대에 그가 주로 활동하였던 명주지역에서 김주원계는 큰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범일과 김주원계의 관계는 미약할 수밖에 없다. 이 취약한 관계는 범일의 가족과 김주원계와의 관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범일의 조부로 명주도독을 지냈던 김술원은 신라말에 반란 등 정치적 목적에 의해 김주원계가 명주에 관리로 파견되지 않은 점으로 보아 이 계통의 사람이 아니다. 김주원과 김술원이 ‘원’자를 돌림으로 썼고 동시대에 살았다고 하나, 족보에 기록된 것처럼 신라말 김주원계는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살았던 시기도 한 세대 이상 차이가 난다. 또 범일의 어머니인 문씨는 累葉豪門이었으므로 명주에 거주한지 얼마 안되는 김주원계와는 다른 집안이다. Past studies urged that Bumil and Kim Chuwon lineage be closely connected on the basis of ① that Kim Chuwon owned a huge sigup in Myungju area bestowed by Wonsong Wang, ② that he had blood relations prior to his arrival to Myungju, and ③ that he arrived at Myungju with his followers. This urge, however, was a conjecture that Bumil and Kim Chuwon shared with time and space, late Silla period and Myungju area, respectively, on the premise that Kim Chuwon was supposed to be a huge power in the era. Character articles of Sinchungtonggukyojisungnam describing Kim Chuwon' sigup was written in the former Chosun period in which huge families made chokpo with familial sense of interest and under their influences. Kangung Kim clan, a huge family dominating Kangung Eupsa, wrote that their ancestor Kim Chuwon received sigup encompassing many areas comparable to a king, as referring him to a Myungju kunwang with intent to distinguish him. Therefore, Character articles are discrepant with historical facts. It was written that Kim Chuwon was given bongto rather than bongho which was a common manner of bestowing sigup in the Unified Silla period; he had sigup over 5 kuns compared to the fact that surrendering former kings Kyonhwon and Kyongsun wang had sigup over only 1 kun area; many subjects were given doctrine by Jeongeui Taehu, who already dead at the time; sangdaedung, a well-known offical rank in Silla, was wrongly written as sangdeajangdung; and the article recorded Keuneuleo which never existed in the era of Unified Silla. Arguments ② and ③ are grounded on the chokpo lacking historical material value and lately made epitaph on which Kim Yujeong, Kim Chuwon's father, had been in Kangung for a government service and met a Park clan and married her. It, however, is doubtful that Kyongju chingol, a highest rank aristocrat, could marry a local gentry in the bone-rank system. Choi clan, Ham clan, and Park clan who were urged to move with Kim Chuwon from Kyongju to Myungju were in fact family names which lived since the founding of Koryo. These family names also rewrote recording of Sejongsillok chirichi and Sungnam, which are believed to be quoted in the chokpo and epitaph. Finally, the time when Kangung Kim clan settled down at Kangung was Kim Sikhee generation, as known as Samhankongsin in the Kangung kimssi sebo, not Kim Chuwon generation. In sum, Kim Chuwon lineage did not form an influential family at Myungju in the late period of Silla when Bumil lived, which only weakly connects Bumil and Kim Chuwon lineage. Also, this weak connection was confi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Bumil's family and Kim Chuwon lineage. Kim Soolwon, Bumil's grandfather and Myungju Dodok, was not a man of this lineage on the basis of that Kim Chuwon lineage was not sent to Myungju with political agenda for treason control in the late Silla. Although Kim Chuwon and Kim Soolwon owned 'won' in their names in turn and lived in the same age, Kim Chuwon lineage did not use their generation name, as written on chokpo. Kim Chuwon and Kim Soolwon lived, in fact, at the eras separated by more than one generations. Moon clan, Bumil's mother, also belonging to homun of many generations, is a family different to Kim Chuwon lineage who arrived at Myungju not long ago.

      • KCI등재

        고려전기의 麗宋 교통로와 교역

        신안식 한국중세사학회 2012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33

        In the first half of Goryeo Dynasty, the traffic route of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also was a traffic route of the diplomatic corps. This point could serve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case of trade in Goryeo Dynasty wer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olitical contacts with envoys. On the other hand, Song Dynasty, by separating the political and commercial exchanges had led traders to trade. In this paper, the diplomatic corps of Goryeo Dynasty were followed up traffic from Deungju or Myungju to capital of Byeongyeong of Song Dynasty. To travel from Deungju to Byeongyeong would have passed ‘Yuju→ Jeju→ Seoju’ due to the main road and the big cities, to travel from Myungju to Byeongyeong also could have been come across to the center of canal connected ‘Hangju→ Soju→ Choju→ Namgyeong’ such a huge commercial city.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iplomatic corps of Goryeo Dynasty stayed nine months in Song Dynasty, assuming that the various trade were more likely to have been made. Eventually, the replacement of transportation route to Myungju from Deungju was replacement was a consensus between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If the diplomatic corps of Goryeo Dynasty went from Deungju to the capital of Byeongyeong, it was inconveniences that they used the land route. But if they used Myungju, it would be possible to larger trade through the canal. Goryeo Dynasty as the country took advantage tribute, by combining diplomacy and trade would have many advantage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goods. Meanwhile, the diplomatic corps of Song Dynasty stayed one month and merchants of Song Dynasty was able to stay 3-5 months on the mainland of Goryeo Dynasty. In the first half of Goryeo Dynasty, the traffic route of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also was a traffic route of the diplomatic corps. This point could serve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case of trade in Goryeo Dynasty wer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political contacts with envoys. On the other hand, Song Dynasty, by separating the political and commercial exchanges had led traders to trade. In this paper, the diplomatic corps of Goryeo Dynasty were followed up traffic from Deungju or Myungju to capital of Byeongyeong of Song Dynasty. To travel from Deungju to Byeongyeong would have passed ‘Yuju→ Jeju→ Seoju’ due to the main road and the big cities, to travel from Myungju to Byeongyeong also could have been come across to the center of canal connected ‘Hangju→ Soju→ Choju→ Namgyeong’ such a huge commercial city.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iplomatic corps of Goryeo Dynasty stayed nine months in Song Dynasty, assuming that the various trade were more likely to have been made. Eventually, the replacement of transportation route to Myungju from Deungju was replacement was a consensus between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If the diplomatic corps of Goryeo Dynasty went from Deungju to the capital of Byeongyeong, it was inconveniences that they used the land route. But if they used Myungju, it would be possible to larger trade through the canal. Goryeo Dynasty as the country took advantage tribute, by combining diplomacy and trade would have many advantages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goods. Meanwhile, the diplomatic corps of Song Dynasty stayed one month and merchants of Song Dynasty was able to stay 3-5 months on the mainland of Goryeo Dynasty.

      • KCI등재

        양양 낙산사 이대성(二大聖)의 정취보살상 고찰

        주수완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삼국유사 ‘낙산이대성관음정취조신’조에 의하면 낙산사는 관음보살의 주처이면서 정취보살상도 봉안되어 두 보살이 양대 신앙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는 낙산사에 봉안되었던 정취보살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전혀 전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일본 센소지 소장 혜허 필 <양류관음도>가 정취보살을 표현한 것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는 낙산사 정취보살신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촉발하였다. 본고에서는 삼국유사 의 기록을 통하여 낙산사에 봉안되었던 석상으로서의 정취보살이 어떤 모습이었을지 추정해보았다. 우선 정취보살상이 어린아이와 놀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 모습이 어린아이를 닮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북제·주 양식을 반영한 삼화령 미륵삼존의 협시보살상 계통의 양식이었을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이러한 양식은 범일국사가 활동했던 통일신라 후기와는 시대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삼국유사 의 기록은 범일국사가 불상을 조성한 것이 아니라 발견한 것이므로 정취보살상이 실제 만들어진 시기는 범일국사보다 충분히 앞설 수 있다. 더불어 경주의 삼화령 불상 양식은 경북지역, 예를 들어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협시보살과 같은 어린아이형 양식으로 확산되었고, 고려초기에는 강릉지역으로까지 퍼져나가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이나 신복사지 석탑 앞의 석조공양보살좌상 등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강릉에서의 유행은 범일국사의 정취보살상 설화와도 어떤 연관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더불어 낙산사 정취보살상은 왼쪽 귀가 없는 점이 특징이었는데, 그 원인으로는 범일국사에 의해 보살상이 발견되었을 당시 실제로 왼쪽 귀가 손상된 상태였기 때문에 이러한 설화가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특히 범일국사가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배경에는 회창 폐불이라는 중대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유학 막바지에 수많은 불상들이 훼손되는 것을 보고 참담한 심정으로 귀국했을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한쪽 귀가 없는 보살상을 발견한 범일은 그 보살상이 마치 폐불을 피해 신라로 건너온 불상처럼 애틋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감정이 낙산사의 정취보살 설화를 탄생시킨 것이 아닐까. 더불어 정취보살의 도상이 관음보살의 도상을 차용하게 된 것은 보타산에 두 구의 관음보살상이 봉안된 것에서 비롯된 혼동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한 구는 오대산에서 옮겨와 보타산에 봉안한 소위 불긍거관음상이었고, 이 관음상을 영파의 개원사로 옮긴 후 새롭게 보타산에 봉안한 관음보살상이 두 번째 관음보살상인 바, 이 두 관음보살상 중의 한 구가 정취보살로 인식되면서 비록 서로 다른 보살이면서도 기본적으로는 관음보살의 도상을 공유하게 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According to the ‘Naksan's two bodhisattva and Josin’ story on Samgukyusa(三國遺事), it can be seen that Naksansa(洛山寺) Temple was not only the main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but also of Ananyagamin Bodhisattva(正趣菩薩)'s. However, currently, it is very hard to find the trace Ananyagamin Bodhisattva in Naksansa. Accordingly, previous research of <Willow brach Avalokiteshvara(楊柳觀音)> painted by Hyeheo(慧虛) owned by Japan's Senso-ji Temple, suggests that this painting can be a representation of this Bodhisattva who is disappear from Naksan temple. In this essay, I estimated what the stone statue of Ananyagamin Bodhisattva enshrined in Naksansa would have looked like through the records of Samgukyusa. First of all, it is written that the statue was played with child, so it must be resembled a child. From this state, we guess the image belonged to the style of Maitreya Triad statue lineage from the Samhwaryeong(三花嶺), reflecting the Northern Je and Zhou(北齊·周) styles. Although this style is discordance with the period of monk Beomil(梵日), according to the records of Samgukyusa, Beomil did not create the Buddha statue but rather discovered it, so its actual date of produced may be more earlier then his time. In addition, this style in Gyeongju was inherited in the Gyeongbuk(慶北) region, such as the flanking Bodhisattva in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Gaheung-ri(可興里), Yeongju. And later in the early Goryeo period, it spread until Gangneung(江陵), such as the stone seated Bodhisattva statue at Hansongsa(寒松寺) temple site and the stone sitting Bodhisattva statue in front of stone pagoda at Sinboksa(神福寺) temple site. It can be assumed that this trend is probably related to the story of the Ananyagamin Bodhisattva statue of monk Beomil.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Ananyagamin Bodhisattva statue at Naksansa was absence of left ear. It can be presumed that this story was created because the left ear was actually already damaged when the Bodhisattva statue was discovered by monk Beomil. In particular, when Beomil tried to returned to Silla after his studies abroad, there was a major incident called the Buddhist persecution of the Hoechang era(會昌廢佛), so he must have returned home with a devastated feeling after seeing numerous Buddhist statues being damaged in China. In such a situation, Beomil, who discovered the Bodhisattva statue without one ear, must have felt fondly of the Bodhisattva statue, as if it were a statue that came to Silla from China to escape the persecution. Perhaps this feeling is what gave birth to the story of Ananyagamin Bodhisattva at Naksansa.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why the iconography of Ananyagamin Bodhisattva was adopted from that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was a confusion resulting from the fact that two Bodhisattva Avalokitesvara were enshrined on Mt. Putuo(普陀山) in China. One was the so-called ‘Do not move Avalokitesvara(不肯去觀音)’ statue that was moved from Mt. Wutai(五臺山) and enshrined on Mt. Putuo, and the other was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hich was moved to Gaewonsa Temple and enshrined on Mt. Putuo in Ningbo. As one of the two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as recognized as Ananyagamin Bodhisattva, I assumed that it begun to distinguished even both of them had shared the basically same iconography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

      • KCI등재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배경 설화를 지닌 실전(失傳)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8 No.-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하였던 기존의 고전시가 교육에서 나아가 고전시가 쓰기 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실전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를 위한 교육 내용과 그 의의를 살폈다. 고전시가 쓰기 교육은 학습자들이 현대시 쓰기와는 다른, 서정 갈래 쓰기를 경험함으로써 서정 갈래 쓰기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본 논문은 실전고전시가 중 ≪고려사악지≫에 수록된 <명주> 노래 재구하여 쓰기에 집중하였다.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쓰기 과제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수행’의 내용을 요구하며, 학습자가 배경 설화를 꼼꼼하게 독해하며 겪는 상호 작용, 즉 배경 설화 읽기 경험은 <명주> 노래 쓰기의 출발점이 된다. 중층적 이야기 구조를 고려할 때, <명주> 배경 설화는 남녀 결연 이야기가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의 입을 통해 구전되면서 결연 과정을 보다 극적으로 만들기 위한 장치로 전기적(傳奇的) 성격의 동물 보은 모티프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적층성은 <명주> 노래 쓰기를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지식의 핵심 요소이다. <명주> 노래의 표현 방식을 결정짓는 것은 보다 어려운 문제이다. 적층성을 특징으로 하는 <명주>의 경우, <명주> 노래의 상위 갈래를 무제한으로 열어두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처음 학습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범위는 열려 있되, 학습자는 <명주> 노래를 쓰는 단계로 진입하면서 <명주> 노래의 상위 갈래를 결정해야만 한다. 발상과 표현 방식 이외에 <명주> 노래 쓰기 활동에서 짚어야 하는 교육 내용은 노래가 소통되는 맥락에 대한 고려이다. 노래가 소통되는 맥락을 고려하자면, 노래를 부르는 주체가 누구인지, 노래의 청자는 누구인지를 살펴야 한다.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 활동의 의의는 고전문학교육 차원의 의의와 쓰기 교육 차원의 의의로 나눌 수 있다. 고전문학교육의 차원에서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고전시가가 통용되던 바로 그 시대의 문학적 상상력과 문학적 형식을 적극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학습자들이 지닌 기존의 지식을 ‘종합화’하는 의의를 지닌다. 쓰기 교육의 차원에서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글쓰기를 비롯한 표현 맥락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전시가 재구하여 쓰기는 서정 갈래 쓰기의 하위 교육 내용으로 ‘자기표현’을 주로 하는 현대시 쓰기와는 달리, ‘서사 맥락 속에서 서사 정보를 활용한 서정 갈래 쓰기’ 활동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쓰기 활동은 서사 맥락에 대한 이해 능력과 그것을 서정 갈래로 쓰는 능력을 동시적으로 요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n writing the classical poem and to search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a classical poem.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reading a classical poem in the previous study on the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but there are a few studies about writing a classical poem. So, this study is focused on reconstructing and writing a non-inherited classical poem, for example <명주> in ≪고려사악지≫. Some informations, such as a title of the poem, the range of the inter-textual world and the range of the real world, is necessary for a learner to write a non-inherited classical poem. This paper is showed educational contents for writing a classical poem by frame of knowledge, experi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Because writing a classical poem is a writing task, it is a performance. Writing performance is divided into idea and expression. The idea and expression on writing a classical poem depends on a background story. So, Modern learners use a method of expanding and showing the background story to write a classical poem. There are classical poems and modern poems in the lyric poetry. Writing a modern poem is focused on expressing oneself, but writing a classical poem is to write a lyric poem using the narrative information in the narrative context.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 to achiev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narrative context and writing a lyric po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