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37Cs Concentrations in Cultivated Soils of Korea

        Park,Hyo-Guk,Lee,Myung-Ho,Choi,Yong-Ho,Lim,Kwang-Muk,Lee,Won-Yun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99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4 No.2

        우리 국토의 방사선환경을 이해하고 사고에 대비한 베이스라인 데이타를 축적하기 위하여 전국 33 지역의 논과 밭에서 15 cm 깊이로 토양을 채취하고 γ-스펙트로메트리법으로 Cs 농도를 측정하였다. 토양증 ??Cs의 농도는 논에서는 0.7∼17.7 ㏃/㎏-dry, 밭에서는 1.2∼27.8 ㏃/㎏-dry의 범위로 평균은 각각 6.9 ㏃/㎏-dry 및 9.9 ㏃/㎏-dry였다. 토양중 Cs의 농도는 논에서는 유기물 함량과 정의 상관이, 점토 함량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고 밭에서는 양이온치환용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토양 유기물이 경작지 토양중 Cs의 농도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For understanding the radiation environment in the land of Korea and acquiring baseline data to be referred to at the time of a nuclear accident, cultivated soils in the 0∼15 cm layer were sampled at 33 site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and Cs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γ-spectrometry. The soil Cs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7∼17.7 ㏃/㎏-dry in the paddy field and 1.2∼27.8 ㏃/㎏ in the upland field. The means were 6.9 ㏃/㎏-dry and 9.9 ㏃/㎏-dry, respectively. In the paddy field, the soil ?/Cs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organic matter content and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clay content. In the upland field,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It was revealed that soil organic mat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of soil Cs concentration.

      • KCI등재

        산불이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관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 지하수토양환경 Vol.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effect of forest fire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The forest fire was in April 1995 at Kongju of Chungnam.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0~5cm, 5~10cm, and 10~20cm soil depths in September 1998 from the burned and unburned sites. Soil organic matter concentrations at 0~5cm and 5~10cm soil depth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unburned site than in burned site. Soil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unburned site than in burned site at all soil depths. Cation exchange capac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nburned site than in burned site at 0~5cm soil dep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vailable soil P, exchangeable soil K, Ca, and Mg, and pH of soil between burned and unburned sites. Soil water content at 0~5cm soil depth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unburned site than in burned site. Bulk density at 0~5cm soil dep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urned site than in unburned site. Forest fire had an adverse effect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this study, Burning of vegetation and forest 리oor organic matter in burned site may reduce organic matter supply to soil and increase soil erosion. Consequently, forest fire may have adverse influence on long-term site produ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생물 및 비생물적 요인이 쥐방울덩굴의 생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박현준,박혜경,손가연,남보은,김재근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2

        For the conservation of both Sericinus montela (vulnerable species by red book of Korea) and A. contorta,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Aristolochia contorta. We selected four A. contorta habitats at Gapyeong, Pyeongtaek, Cheongju, and Yeoju in Korea and surveyed community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species, herbivore appearance, support types,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July and October, 2018. Habitat environments and the growth and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A. contort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four habitats of different regions. In particular, the fastest growth speed and earliest flowering and fruiting were observed in Pyeongtaek. Growth of A. contorta in Cheongju and Yeoju were interrupted by aboveground damage from human disturbance. In this study, support types seemed to be important for growth speed of A. contorta. Flowering and fruiting timing were likely to be related to combined effects of soil cation contents and competitive and herbivore stresses. Therefore, providing effective support and reducing biological stress should be necessary for stable growth and proper flowering and fruiting timing of A. contorta. In addition, experimental evidence would be need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oil cation and biological stress on flowering and fruiting of A. contorta in detail.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색목록 취약종(VU)인 꼬리명주나비와 그것의 유일한 먹이 식물인 쥐방울덩굴의 보전을 위하여, 수변 지역에 서식하는 쥐방울덩굴의 서식지 환경과 이들 중 생육과 생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네 개의 국내 쥐방울덩굴 서식지(가평, 평택, 청주, 여주)에서 2018년 7월과 10월에 방형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주요 동반종, 초식 곤충의 출현 여부, 지지대의 유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쥐방울덩굴 개체군의 서식지 환경과 생육 및 생식 양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평택 개체군에서가장 빠른 생육 속도와 개화 및 결실 시기를 나타냈으며, 청주와 여주 개체군에서는 인간의 교란으로 인한 지상부 손상이 원활한 생육을 방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 쥐방울덩굴의 생육 속도는 쥐방울덩굴의 초기 생육 시기부터 제공된 지지대의 유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쥐방울덩굴의 개화 및 결실 시기에는 경쟁과 섭식 스트레스의 생물적 요인과 높은 토양 양이온 함량의 비생물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쥐방울덩굴개체군의 빠른 생육과 적절한 시기의 개화와 결실을 위해서 안정적인 지지대의 제공과 경쟁과 섭식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