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영미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e two prominent universities and junior colleges form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This means that almost sam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junior college every year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also means the level of contribution at national development is almost same. In spite of considerable numbers of junior colleges, they have been neglected as they are in Korean education system, by being interested in only universities. Meanwhile, if we take a look the debates surrounding junior colleges and junior college students,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s is going on the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and the main issue related to junior college students is going on th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Now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s education on college basis, it causes lots of debates over centrally ‘The Effect of school’ - ‘Is junior college effective?’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means the result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it causes lots of discussions over centrally ‘The Success of junior college students’ - ‘Do junior college students succeed?’Therefore,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the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s basis totally different opinions from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s’ o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d as follows. First, I examined present condi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status of junior college through the feature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junior college. Second, I partitively suggest conditions on main issue related to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with junior college basis and student basis. Finally, to critically review on the debate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on student basis, I suggest conditions on a standard of judgment of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and then indicated problems on debates over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education. 한국의 고등교육 체제는 크게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 양대 축을 이루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고등교육 체제에서 전문대학이 양성하는 인력이 4년제 대학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국가발전에 대한 기여도도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현실은 4년제 대학에만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전문대학이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동안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을 둘러싸고 어떠한 논쟁이 있었는지 살펴보면, 먼저 전문대학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 효과’를 중심으로, 전문대학생 관련 주요 쟁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을 중심으로 논의가 펼쳐졌다. 여기서 ‘전문대학 효과’는 대학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은 효과가 있는가’ 즉 ‘학교의 효과(effect)’에 대한 논쟁이 주류를 이루었고, ‘전문대학생의 성공’은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문대학생은 성공하고 있는가’ 즉 ‘학생의 성공(success)’을 중심으로 열띤 논의가 이루어졌다. ‘전문대학 효과’ 논쟁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대학은 산업계의 요구와 4년제 대학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옹호자와 비판자 모두 같은 입장을 취하지만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이 글은 ‘전문대학 효과’ 또는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의에서, 의견을 전혀 달리하고 있는,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다음의 순서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한국의 고등교육 현황과 전문대학의 위상을 한국 고등교육의 특징과 전문대학의 비중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전문대학교육 효과 관련 주요 쟁점을 대학 차원과 학생 차원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되, 대학 차원은 ‘전문대학 효과’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학생 차원은 ‘전문대학생의 성공’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차원의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들을 제시한 후 이러한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