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시대 예술에서 보이는 (비)물질성과 재물질화에 관한 연구

        김주옥(Joo-ok Kim)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1985년 퐁피두센터에서 열린 《비물질(Les Immatériaux)》 전시와 이후 비물질과 재물질 예술에 대해 다룬 최근 전시 《비물질/재물질: 컴퓨팅 아트의 역사 요약(Immaterial/Re-material: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Art)》(2020-2021)을 분석하여 동시대 예술에서 보이는 물질과 비물질에 대한 특징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물질과 비물질의 구분을 넘어 재물질화를 이룬 예술을 새로운 물질적 전환의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비물질》 전시는 비물질의 근원은 물질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텔레커뮤니케이션의 기술과 같은 새로운 물질성에 대한 인식뿐만이 아니라 그 물질의 주인이 되려는 인간과 그의 욕망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비물질/재물질》 전시에서는 시각 예술에서 물질적 형태로 존재하는 것의 기원을 비물질 정보를 통해 해석해보고자‘ 비물질’이 표현되는 과정을‘ 재물질화’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비)물질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케이시 리아스(Casey Reas, 1972~) 작업을 분석하여 컴퓨팅 아트에서 다루는 비물질성이 어떻게 물질적 형식으로 재물질화 되는지를 살펴본다. This study analyzes the exhibition Les Immatériaux , held at the Pompidou Center in 1985, and the recent exhibition Immaterial/Re-material: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Art (2020-2021), dealing with immaterial and material art. The study explores whether we can interpret rematerialized art beyond the usual distinction of material vs. immaterial, but rather in terms of a new material transformation. Les Immatériaux tried not only to recognize the new materiality, lik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but also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ir desire to become masters of material in order to prove that a material originates from an immaterial. The later exhibition Immaterial/Re-material: A Brief History of Computing Art adopted the word “re-material” to describe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immaterial” in order to interpret the origin of what exists in material form in visual art through immaterial information. In order to make a more in-depth analysis of this (im)materiality, this paper analyzes the work of Casey Reas(1972~) to explore how the immateriality used in computing art is rematerialized into material form.

      • KCI등재

        Toward 21st-Century Media: Critical Spatial Practices in Art History

        최정은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9

        This paper off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 variety of critical spatial practic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in art history that help us understand more fully the potential of 21st-century media. Since the passing of the 1980s and 1990s when the intertwined themes of occularcentrism and immaterialism were central to new media studies, there has been a dramatic return to materialism and digital embodiment which I see as a moment of the reevaluation of the human body and its relation to technology. With the later emergence of ubiquitous computing that is seamlessly integrated into our environment, the focus given to the human body has been further extended to the technological milieu that grounds bodily implication. Media no longer serve to record, store, and transmit past experiences but instead operate as platforms for instantaneous action-facilitating interconnection with and feedback from the environment. These operations of 21st-century media were anticipated in a range of late 20th-century artistic practices in which the body underwent a certain level of exteriorization through technological medi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artistic practices that experimented with the shif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human body, technology, and space, playing with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interrelations and making their dimensions sensible. In so doing, it attends to major contemporary philosophical and aesthetic challenges by reframing the body as the locus of subjectivity that is always implicated in, thus interdependent upon, broader technological environments.

      • KCI등재

        정보와 정보이론에 관한 비판적 검토

        백욱인(Paik, Wook In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1

        한국에서는 정보사회에 관한 많은 논의가 진행되었다. 인터넷을 비롯한 새로운 미디어가 가져오는 사회경제적 변화나 정책 연구를 비롯하여 문화 현상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데이터나 정보 자체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나 정보와 정보사회의 관련성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진하였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의 결합으로 데이터와 정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질적 변환을 보이는 현재의 시점에서 정보와 정보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를 사물, 미디어, 인간의 세가지 관계 속에서 데이터-정보-지식의 층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통해 정보 개념의 위상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정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제기는 그간 인간중심주의로 진행된 미디어와 메시지의 해석,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변화, 사회운동과 정책 등 가시적 현상에 치중된 연구경향에 대한 반성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물과 정보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정보가 물질로부터 분리되어 인간중심적인 정보관이 형성된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고, 정보와 데이터가 인간을 넘어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도 있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정보 개념을 검토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cept and theory of information critical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information society since 1990s but most of them were centered on the socioeconomic changes and cultural phenomena. The ontological study about information itself were very rare. We need critical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in the age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ritical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needed to broaden the concept of information and to explain current rapid changes. This paper would review the process of dematerialization of information and rematerialization of it following the history of cybernetics. This critical review would provide some ground to overcome the shortage of anthropocentric concept of information.

      • KCI등재

        Toward 21st-Century Media

        Jung Choi(최정은) 현대미술사학회 2016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21세기 미디어의 가능성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이끌어내는 미술사 내에서의 공간에 대한 비평적 실천들과 이론을 분석한다. 미디어는 더 이상 과거의 경험을 기록, 저장,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으로부터의 피드백과 행동을 야기하는 즉각적 상호연결을 위한 기반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21세기 미디어의 기능은 신체가 기술적 매개를 통해 외재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20세기 후반의 예술적 작업들에서 이미 예측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상호관계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가능성과 측면들을 감각적으로 지각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신체, 기술 그리고 공간의 변화하는 관계들을 실험하는 예술적 실천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연구는 신체를 언제나 보다 넓은 기술적 환경에 포함되어 있는 상호의존적인 주체성의 조건으로서 재구성함으로써 동시대의 주요한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도전들과 연계시켜 고려하게 된다. This paper off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 variety of critical spatial practic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in art history that help us understand more fully the potential of 21st-century media. Since the passing of the 1980s and 1990s when the intertwined themes of occularcentrism and immaterialism were central to new media studies, there has been a dramatic return to materialism and digital embodiment which I see as a moment of the reevaluation of the human body and its relation to technology. With the later emergence of ubiquitous computing that is seamlessly integrated into our environment, the focus given to the human body has been further extended to the technological milieu that grounds bodily implication. Media no longer serve to record, store, and transmit past experiences but instead operate as platforms for instantaneous action-facilitating interconnection with and feedback from the environment. These operations of 21st-century media were anticipated in a range of late 20th-century artistic practices in which the body underwent a certain level of exteriorization through technological medi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artistic practices that experimented with the shift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human body, technology, and space, playing with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interrelations and making their dimensions sensible. In so doing, it attends to major contemporary philosophical and aesthetic challenges by reframing the body as the locus of subjectivity that is always implicated in, thus interdependent upon, broader technological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