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 지눌과 소태산 박중빈의 선사상 비교

        김방룡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3 No.-

        본고는 보조 지눌과 소태산 박중빈의 선사상을 비교한 논문이다. 모두 여섯 가지의 문제의식에 대한 해명을 통하여 지눌과 박중빈 선사상의 동이점을 밝히고 있다. 첫째,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 박중빈은 지눌의 선(禪)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 ‘지눌과 소태산은 선(禪)을 어떠한 방식으로 설명하여 접근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셋째, ‘깨침의 대상으로서 ‘마음’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넷째, ‘마음을 깨치고 닦아 나아가는 방법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돈오점수와 소태산의 견성ㆍ솔성ㆍ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다섯째, ‘구체적인 선수행의 내용으로 지눌과 소태산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정혜쌍수와 소태산의 무시선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여 설명하였다. 여섯째, ‘화두를 통하여 깨달음에 들어가는 방법에 대하여 지눌과 소태산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고, 이러한 수행법을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이에 대하여 지눌의 간화선과 소태산의 의두연마로 나누어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Seon of Bojo-Jinul with that of Sotaesan-Pakjungbin. I made the sameness and the difference clear within their Seon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following six problems. First, how does Sotaesan-Pakjungbi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accept Bojo-Jinul's Seon? Secondly, how do Bojo and Sotaesan approach and explain Seon? Thirdly, how do they understand 'the mind', the object of enlightenment? Fourthly, what do they present about the method to practice and enlighten 'the mind'? I explained comparatively about the method with Donojeomsu(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of Bojo and the Enlightenment to the Nature, Fostering the Nature, and Utilization the Nature of Sotaesan. Fifthly, what do they present as the concrete contents of practicing Seon? I divided into two parts of Bojo's Jeong-hyea-ssang-su(practice of both meditation and wisdom) and Sotaesan's Mu-si-seon(practice meditation continually). Sixthly, how do they understand the method to enlighten through Hwadu and why do they present these practicing ways? About those problems, I compared Bojo's Kanhwa Seon(Meditation) with Sotaesan's Euduyeonma(Training in Abstruse Questions).

      • KCI등재

        융합학문논문 : 단전주선과 간화선의 경험적 연구 : 원불교 정전 좌선법을 중심으로

        김성장 ( Sung Jang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2

        이 발표는 필자가 경험한 단전주선과 간화선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먼 저 단전주선과 간화선 프로그램 수행과정의 원리와 방법을 서술하고, 프로 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단 전주선과 간화선의 공통점과 특징에 대해서는 두 선법의 공통점을 정리하고 난 후에 단전주선의 특징과 간화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 발표를 통하여 제기하려는 교학적 과제로, 정전 좌선법에 나타난 단전 주선과 간화선에 대한 수행상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단전주선 호흡의 문제로 내쉬는 숨을 ‘짧고’ 약하게 하라고 한 것을 ‘가늘고’ 약하게 하는 것으로 바꾸어서 했더니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견해를 밝혔다. 둘째, 단전 주선의 방법에서 몇 가지 해석의 문제를 지적했고 셋째, 간화선에 관계된 표 현과 수행상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간화선을 의두 연마와 같이 연구 과목으로 본 것이나, 이러한 오해로 비롯되어 좌선 말미에 의두 연마를 하는 것은 좌선삼매에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견해를 피력하는 등 현실적 인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Dan-Jeon-Ju-Seon (Dan-Jeon-Ju meditation, 丹田住禪) and Gan-Hwa-Seon (Gan-Hwa meditation, 看話禪). First, this study describe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he meditation practices of Dan-Jeon-Ju-Seon and Gan-Hwa-Seon programs and consists of possible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he two meditation practices. Additionally,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Dan-Jeon-Ju-Seon and Gan-Hwa-Seon are explained. The shared characteristics of two meditation practices are summarized first and then the features of each practice will be discussed. The tasks of won-buddhism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are about the issues regarding the practice of the two meditations indicated in Zen meditation of Jeongjeon (正典). The first issue is about the breathing type of Dan-Jeon-Ju-Seon. When the breathing method was changed from that of ``short`` and gentle to ``shallow`` and gentle, it turned out that all problems were solved. Secondly,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al problems in the Dan-Jeon-Ju-Seon pratice are pointed out. Thirdly, the problemsregarding the expressions and the practices of Gan-Hwa-Seon are pointed out. The realistic issues are also raised. Gan-Hwa-Seon is regarded as a research subject like Uiduyeonma (Training in cases for questioning, 疑頭鍊 磨), however; this misunderstanding might lead to the opinion that Uiduyeonma at the end of Zen meditation rather interrupts Zen meditation Samad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