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의 취업과 용모차별

        임인숙(In-Sook Lim)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1

        기업의 용모차별적 채용 관행은 한국사회에 만연한 외모차별주의와 과도한 몸 가꾸기 열풍의 주범이라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한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서울의 한 여자실업계 고등학교에 접수된 취업추천의뢰서 3,152건을 대상으로 기업의 용모차별 채용 추세와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8년 약 40%에 이르던 기업의 용모차별은 2002년 12.4%로 대폭 감소했다. 취업난이 가장 심각했던 해에 기업의 용모차별율은 가장 높았다. 둘째, 취업의뢰서 공문에 직접 용모조건을 명시하는 방식과, 전화를 통한 비공식적 방식과 인력채용대행회사를 통한 우회적 방식 등 다양한 통로를 통해서 용모차별이 관철되고 있다. 비공식적이거나 우회적인 방식의 용모차별 수위는 직접적, 공식적 차별 방식보다 높다. 셋째, 동일 직종과 동일 업무에서 각양각색의 용모 기준을 두는 실태는 그런 조건들이 선발기관의 주관적인 기호임을 입증한다. 용모제한을 둔 690건의 사례 중 「남녀고용평등법」에서 예외로 간주할 수 있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불가피한 용모차별로 보이는 사례는 전혀 없었다. 넷째, 남성과 여생 모두에게 용모제한을 둔 경우에도 여성에게 제시된 기준은 남성에게 제시된 기준보다 느슨하다. 따라서 용모차별이 양성에 발생하더라도 여성에게 설정된 용모차별의 벽이 더 높다. 마지막으로, 공식적ㆍ비공식적으로 관철되는 기업의 용모차별 관행은 각종 몸 관리산업의 고속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논의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companies' look-discriminatory selection custom is one of major causes of pervasive Lookism in Korea and overheated body-management fashion. 3,152 official letters, which companies sent to a women's industrial high school from 1998 to 2002, were analyzed to find any change in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look-discriminatory selection custo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harp decline in the discriminatory rate from about 40% in 1998 to 12.4% in 2002. In the year in which the employment rate of girls' high school graduates was the lowest, the discriminatory rate was the highest. Second, companies have sustained the custom through diverse ways in which they openly express specific bodily requirement in official letters, or(and) unofficially ask the requirements by telephone, or indirectly ask selection substitute companies to find the candidates that meet the requirements. The degree of appearance restriction through unofficial and indirect ways was higher than that through direct/official way. Third, the fact that same occupation and work require different conditions for the applicants indicates that these requirements reflect just subjective preference of companies rather than necessary conditions for work. Fourth, though bodily requirements apply not only to women but also to men, the restrictions for women are generally tougher than those for men.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is discussed, namely that the discriminatory custom has contributed to the rapid expansion of body industries in Korea.

      • KCI등재

        2017년 노동법 중요 판례

        박수근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3

        This article reviews 12 major decisions of the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n labor law in 2017. They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employment law or labor relation law. The main issues of above case study are a dress code in airline company and discrimination of nationality, working hours and rest time of apartment guard, liability of business owners about victim and helper in sexual harassment, discriminatory treatment about temporary agency workers and exemplary damages, rehire of retirement age and renewal expectation right of fixed-term work, procedure and work rules for annual salary system of performance, restrict about basic labor rights of security policemen and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limit of application workers in major defense industrial companies that strike action is restricted, government employees union and o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mobile voting and yeas or nays about strike action, scope of fair representation in bargaining representative union and burden of proof. 이 글에서는 법원과 헌법재판소가 2017년 선고한 노동판례 중 12개 판결을 선정하고, 이를 개별적 근로관계법과 집단적 노사관계법 영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위 판결들의 중요한 쟁점은, 항공회사에서 용모규정과 국적차별 여부, 아파트경비원의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성희롱 피해자 및 조력자에 대한 사업주의 책임, 용역업체의 교체와 묵시적 영업양도계약, 파견근로자 차별적 처우와 징벌적 손해배상, 고령자의 재고용과 기간제 근로에서 갱신기대권, 성과연봉제의 확대에서 절차와 취업규칙, 청원경찰의 근로3권 제한과 헌법 위반, 쟁의행위가 제한되는 주요방위산업체 종사근로자의 범위, 공무원노조와 단체교섭의 대상, 모바일투표와 쟁의행위 찬반투표, 공정대표의무의 범위와 차별의 증명책임 등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