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에 대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전재은(Jon, Jae-E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과 관련된 대학기관 수준의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난 10여년 간 국내 외국인 유학생 인구는 대폭 증가하였지만, 외국인 유학생의 이탈과 불법체류 및 취업 등 사회적 문제도 대두되었다. 정부는 이를 관리하기 위해 2011년부터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를 실시하였지만, 아직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2012년도 에듀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67개교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소재지와 규모가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ing factors at the institutional level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For more than the last decade, the international student population in Korea has drastically expanded, and the social issues such as their drop-out, illegal stay or employment have em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implement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and management’ from 2011.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in Korean higher education has not received proper attention yet. Accordingly,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on institutional-level factors rel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in Korean higher education. Using 2012 data from the EDSS(EduData Service System) of the KERIS(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 total of 167 four-year institutions were included in analysis. Findings showed that the location and the size of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drop-out rat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provided.

      • KCI등재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가 전문대학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정현,안병훈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introduced to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main competency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along with the increase in foreign students. To this e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ducational internationalization competency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were analyzed using the university notification provided by the Edu Data Service System (EDSS) of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KER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variable factor, scholarships and the rate of securing full-time teachers per studen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case where the school location wa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the major item sector. Through the certification system, it was possible to empirically confirm the virtuous cycle structure of university competenc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use of it as basic data for internationalization research o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measur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icy effects should be continuously reviewed by establishing information on schools and information on foreign students in a time series.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직업교육 입학자원의 감소 속에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더불어 이에 관한 교육의 질관리 차원에서 도입된 교육국제화 역량인증제와 대학의 주요 역량 특성과의 연계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ERIS)의 에듀데이터서비스시스템(EDSS)에서 제공하는 대학 알리미, 교육부의 고등교육 통계, 한국유학종합시스템의 전문대학 외국인 유학생 데이터의 통합데이터 세트를 활용하여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와 전문대학의 특성 사이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인 요소에서 지역 부문이 학교 위치가 수도권인 경우와 주요 항목 부문에서 재학생 1인당 장학금과 전임 교원 확보율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제를 통해 대학역량의 선순환 구조를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고등직업교육 국제화 연구의 기초자료로서의 활용 뿐 아니라 지원방안 수립 및 외국인 유학생의 교육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보았다. 학교의 정보와 외국인 학생의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구축하여 정책효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해야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