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적 상담설교를 위한 통전적 설교신학의 이해 : 포스딕(Harry E. Fosdick)과 바르트(Karl Barth)의 설교신학을 중심으로

        조성현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코로라 팬데믹을 거치면서 한국교회 안에 대단히 각광받고 있는 설교의 장르가 있 다. 바로 상담설교(counseling preaching) 이다. 상담설교란 깊은 상처를 가진 현대인 들을 영적으로, 감정적으로 치유하여 하나님 앞에 나오게 하는 설교의 형태이다. 그러 나 심리적인 면이 강조된 상담설교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담설교는 심리학적인 접근이 성경의 권위보다 앞서므로 비성경적인 설교, 적용위주의 도덕적 설교, 설교의 편식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청중의 삶의 상황을 무시하지 않으면 서, 성경적 기반을 든든히 지켜서 본문에 대한 깊이 있는 주석과 해석이 병행되는 ‘성 경적인 상담설교’ 이해가 필요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해 리 에머슨 포스딕(Harry E. Fosdick)의 ‘상담설교’를 연구했다. 그는 청중의 중요성을 강조한 ‘청중의 해석자’였다. 그리고 청중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설교가 청중의 삶의 정황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삶의 상황설교’(life-situation preaching)를 주창 했다. 그러나 청중과 상황을 매우 강조하다보니 인본주의적으로 흐르고, 성경저자의 의도를 상황과 상담의 이슈에 꿰어 맞출 가능성이 있는 비성경적인 설교가 될 위험성 이 농후했다. 이에 본 연구는 둘째, 포스딕의 설교신학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학의 주 요 임무를 설교로 자리매김하고, ‘성경본문의 해석자’로 알려진 칼 바르트(Karl Barth) 의 설교신학을 연구했다. 그는 그 당시 자유주의 설교신학에 반대하여 “설교란 하나 님 자신이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다.”라는 ‘본문 중심적 설교’와 ‘성경적 설교’를 주창했다. 그러나 바르트는 본문에 대한 집요함과 철저함 때문에 서론부터 결론까지 성경본문만 주석하는 ‘주석설교’만을 고집했다. 즉 현대 설교 커뮤니케이션을 무시한 ‘설교학적 근본주의자’였다. 셋째, 본 연구의 대안으로 ‘청중의 지평’을 강조한 포스딕 과 ‘본문의 지평’을 주창한 바르트의 설교신학이 균형감각을 갖는, ‘통전적이고 성경적 인 상담설교신학’이 현시대 상담설교의 방향성이라고 본다. 포스딕의 장점인 청중의 상황분석과 바르트의 강점인 성경본문에 대한 주석과 석의를 통합한 ‘본문 접맥식 설 교’(Textbezogene Themapredigt)를 성경적인 상담설교의 모델로 제시한다. 상담설교 가 청중의 삶의 상황에서 출발하여, 성경본문을 깊이 주석하고 해석해서, 구체적인 삶 의 실천과 방법까지 전한다면 건강한 상담설교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상황’과 ‘본 문’이 함께 깊이 동행하면서 균형감각을 가지고, 통전적이고 성경적인 상담설교로 청 중에게 선포한다면, 위기의 한국교회 강단은 더욱 건강해질 것이다.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very popular, appealing,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preachings are predominant in Korean churches. However, this preaching exposes a number of serious problems. Counseling preaching starts with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situation and life of the audience. This counseling preaching is at risk of degenerating into non-Biblical preaching because the circumstances of life precede the authority of the Bible.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at includes in-depth exege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by firmly maintaining the Biblical foundation without ignoring the life circumstances of the audience.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counseling preaching of Harry Emerson Fosdick, who is called the 'interpreter of the audience' and the advocate of 'life-situation preaching'. Next, this study explores Karl Barth's 'Biblical preaching', which not only understands preaching as the Word of God but also as the 'interpreter of the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rmonize Fosdick's preaching and Barth's preaching as a whole. This study asserts that 'Holistic 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which has a sense of balance between Fosdick and Barth's theology of preaching, can be an alternative to counseling preaching these days. In particular, ‘Textual Connection Preaching’(Textbezogene Themapredigt), which integrates Fosdick's strength, situation analysis, and Barth's strength, exegesis on the text of the Bible, is presented as a model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Korean church preachers to proclaim the Word of God to the audience through holistic 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s with a sense of balance while deeply accompanying 'context' and 'Text'. Through holistic and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is study insists that the Korean church pulpit living in the era of crisis can be renewed more healthily.

      • KCI등재

        성경적 상담과 설교의 통합 방안: 성경적 상담설교의 구조를 중심으로

        전형준 ( Hyung Joon Ju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1 No.-

        본 논문의 목적은 성경적 상담이론이 무엇인가를 명확히 밝히는 것과 성경적 상담 이론을 설교에 적용하는 것 그리고 성경적 상담과 설교의 통합 형태인 성경적 상담설교의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적 상담의 신학적 기초가 되는 원리가 일곱 가지가 있다; 1.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다. 2. 인간은 죄로 인하여 타락한 존재이다. 3. 인간의 문제는 마음의 문제이다. 4. 성경적 상담의 도구는 성경이다. 5. 성경적 상담의 모델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6. 인간은 고통 당하는 존재이다. 7. 인간의 변화는 성령의 역사로 이루어진다. 또한, 성경적 상담의 역동적 과정이 있다; 1. 열 2. 나쁜 열매 3. 나쁜 뿌리 4. 결과 5.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 6. 좋은 뿌리 7. 좋은 열매 8. 새로운 결과. 둘째, 성경적 상담설교의 구조는 무엇인가; 1. 상황 속에서 진입구를 발견하라. 2. 마음의 동기를 살피라. 3.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하며 하나님의 성품과 예수 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추라 4. 말씀과 성령을 통해 새로워진 마음의 변화를 인식하라. 5. 변화된 마음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계획하라. 성경적 상담설교를 교회 목회현장에 적용하여 건강한 교회를 이루고 하나님나라 확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what the biblical theory of counseling is; to clarify the theory and concepts of biblical counseling as applied to preaching; and to suggest the structure of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The result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uggest the biblical counseling theory, the theological basis, the seven principles: 1. A human being is created in form of the God; 2. A human being is a degraded existence from committing a sin; 3. A human being`s problem is that of a mind; 4. A main counseling tool is a bible; 5. A model of counseling is Jesus Christ; 6. A human being is a suffering creature; 7. A true transformation of a human being can be done by Holy Spirit`s work. Dynamics of biblical counseling: 1. Heat; 2. Bad Fruit; 3. Bad Root; 4. Reap; 5. Sovereign Speaker; 6. Good Root; 7. Good Fruit; 8. New Reap. Second, how can actual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in terms of structure? Donald Capps` sermon is analyzed for a structural analysis of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and a new structure for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is suggested as follows: 1. find the entrance amid the circumstances; 2. look for the motives of the heart; 3. interpret biblical passages and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God and Jesus Christ; 4. recognize the changes in heart renewed through the Scriptures and the Holy Spirit; and 5. plan for the future with the renewed heart. Biblical counseling preaching shall be employed in church ministry so as to contribute to the well-rounded treatment of Christians, and to the expansion of God`s kingdom.

      • KCI등재

        Abraham Kuruvilla의 설교 방법론에 관한 비평적 평가

        김대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1 복음과 실천신학 Vol.60 No.-

        성경적 설교에 대한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은 결코 쉬 운 일이 아니다. 많은 설교자에게 익숙한 설교 철학이자 그동안 꾸준히 추구하며 수행해왔던 설교 방법이기 때문이다. 최근 성경적 설교에 관 한 Abraham Kuruvilla의 새로운 설교 이론과 방법론이 북미 복음주의 설교학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기본적으로 성경의 영감성과 무 오성의 기초 위에, 본문에 충실하고도 청중에게 적실한 적용이 있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강해 설교의 철학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기존의 전 통적 강해 설교의 방법론과는 다른 이론과 실천 방법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성경 본문을 존중하여 강해적 설교 를 선호하는 한국교회 설교자들과 목회자들에게 그의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은 이처럼 전통적이면서도 도전적이기에 관심을 가지고 주목해 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이 논문은 최근 주목받는 설교학자인 Abraham Kuruvilla의 성경적 설교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을 살펴보면서 그 핵심 내용과 방법을 평가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먼저 그에 대한 간단한 이력을 제공 하고, 그가 주장하는 설교 이론과 방법론이 나오게 된 배경과 더불어 기존 강해 설교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이론과 실천의 특징들을 그가 강조하는 핵심 용어들인 문단 신학(pericopal theology), 본문 앞의 세계 (the World in front of the Text), 그리스도 형상적 설교(Christoiconic preaching) 등을 중심으로 차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그의 설교 방법론이 현대 성경적 설교의 이해와 실천에 가져다주는 공헌들과 약 점들을 평가 제시해 보고자 한다. It is by no means easy to propose a new theory and methodology for biblical preaching, because it’s philosophy and methodologies are familiar to many preachers and thus have been consistently pursued and practiced. Recently, Abraham Kuruvilla’s new preaching theory and methodology on biblical preaching are receiving attention in North American evangelical preaching academia. Basically, Kuruvilla shares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expository preaching that, on the basis of the inspiration and infallibility of the Bible, there should be a faithful explan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xt to the audience. However, he suggests a different theory and practice method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expository preaching method. For Korean church preachers who respect the Bible text as the Word of God and prefer expository preaching, Kuruvilla’s new preaching method can be botth traditional and challenging, and thus is worthy of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ore content and method by examining the preaching theory and methodology of Abraham Kuruvilla.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provides a brief history of him, and the background of the preaching theory and methodology he advocates. This study examines the key terms for his preaching methodology in turn, such as Pericopal theology, the World in front of the Text, and Christoiconic preaching, which are somewhat different from expository preaching.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e contributions and weaknesses of his preaching methodology.

      • KCI등재

        Eugene Lowry의 설교신학과 평가

        류응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9 복음과 실천신학 Vol.20 No.-

        본 논문은 이야기설교를 통해 강단에 새로운 바람을 불게 만들고자 한 Eugene Lowry의 설교신학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청중의 체험을 강조하는 그의 설교기법과 내러티브 설교 이론을 다루고 그의 설교 이론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설교의 플롯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그의 설교신학을 성경신학적 배경 속에서 비판적으로 장단점을 중심으로 살폈다. Lowry의 설교 이론은 기존의 설교 전달에 혁명을 일으킨 것으로 전달부분에서는 그 공헌점이 인정된다. 설교란 본문을 바르게 해석하는 것뿐만아니라 청중의 가슴에 내려앉도록 들려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경 본문의 진실한 해석보다 청중의 경험을 더욱 강조하는 그의 설교 이론은 성경적인 설교를 지향하는 사람들에게는 경계의 대상이다. 성경은 개인의 경험적 차원에 머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진리를 전제하고 개인에게 적용되어야 할 말씀이기 때문이다. 결론을 정확하게 내리지 말고 청중에게 맡겨버리라고 주장하는 그의 가르침 역시 피해야 할 요소이다. 성경적인 설교란 진리의 말씀을 바르게 해석하고 청중의 삶으로 적실하게 적용할 때 영혼을 움직이는 설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the preaching theology of Eugene Lowry, oneof the leading preachers of the contemporary homiletic movement. Lowry’s emphasis upon the experience of the audience and his narrative preach-ing theology will be addressed in detail, especially the crucial role ofthe homiletic plot within Lowry’s preaching. Finally, in order to addressLowry’s preaching theology in a more objective light, this paper willassess Eugene Lowry’s contributions to homiletics as well as the criti-cisms that should be pointed out.Lowry’s preaching theology derives itself from criticisms against tra-ditional preaching methodologies. The main argument that forms thebasis of Lowry’s homiletic view is that traditional preaching, which dependsso heavily upon logic and propositions, cannot demand the attention oftoday’s audience. As a result, Lowry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expos-itory method of preaching and offers tension through unfolding a storywhich relates with the experience of the audience. such as his focusupon the experience of the listener rather than the correct interpretationof the Word. Objective truth cannot be confined to subjective under-standing. Also, Lowry argues that the preacher must not make any con-clusions for his audience, but that the listener must discover how toapply the Scriptures to his own life. True biblical preaching must beable to apply the truth to the listener’s life so that it is transformed.

      • KCI등재후보

        다시 보는 랜슬롯 앤드루즈의 형이상학적 설교: 현대 성경적 설교학을 위한 비평적 고찰

        임도균 ( Do Kyun Lim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8 No.-

        강해설교는 종종 부정적으로 표현이 될 때 무미건조한 교훈들로 이루어진 설교라는 평가를 받게 된다. 하지만 현대 강해설교는 성경본문의 원저자의 의도를 무시하지 않으면서도 형이상학(고급 문학적 표현)적인 단어나 수사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설교역사는 유능한 설교자들과 그의 설교기술을 담고 있는 귀중품을 보관하는 방과도 같다. 랜슬롯 앤드루즈(1555-1626)는“설교스타”라는 별명을 들을 정도로 영향력 있는 설교자였다. 그는 엘리자배스 1세때부터 킹제임스 1세때까지 왕궁을 중심으로 설교사역을 감당하였다. 그의 형이상학(고급 문학적 표현)적인 설교스타일로, 랜슬롯 앤드루즈는 지적이고, 예술적이고, 또한 시각적으로 자신의 설교를 작성하고 전달하였다. 본 소논문에서는 랜슬롯 앤드루즈의 형이상학(고급 문학적 표현)적인 설교스타일이 풍부한 어휘와 수사학과 설교구성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실제설교에서 실현하는데 좋은 예라고 제안한다. 본 소논문에서는 랜슬롯 앤드루즈의 간약하게 삶을 소개한 후 그의 설교의 상황과 형이상학(고급 문학적 표현)적인 설교에 대하여 설명하려 한다. 그리고, 비평적인 평가와 함께 현대 성경적 설교에도 유효한 설교기술을 소개하려 한다. Frequently, expository preaching is labeled negatively as dried exegetical lessons. Contemporary expository sermon, however, might employ metaphysical use of words and rhetoric without ignoring authorial intents in biblical texts. The history of preaching is a treasure storeroom that contains eminent preachers and their sermon arts. Lancelot Andrewes (1555-1626) is worthy of appealing designation, “Stella Praedicantium (Star of Preaching).” His preaching career started during the reign of Queen Elizabeth I, and reached its heyday during that of King James I. Through a metaphysical sermon style, Andrewes attempted to create his sermon intellectually, artistically, and visually. This paper asserts that Andrewes`s Metaphysical Sermons are epitomized in the areas of how to utilize copious word expressions, rhetoric and sermon arrangement. This presentation will provide a brief biographical study and probe the homiletical context and metaphysical homiletics of Lancelot via critical assessments, and then it will spell out perennial peculiarities that contemporary biblical homiletics may employ.

      • KCI등재후보

        청지기적 삶을 위한 헌금설교의 바람직한 방향성 연구

        문병하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20

        인류 역사가운데서 물질이나 돈은 언제나 필요하며 삶의 중요한 수단으로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많은 부분에서 그것들은 인간의 행복을 가져다주기 보다는 가정이나 사회에 불행이나 환난을 불러일으켜 왔다. 심지어는 오늘날 하나님을 섬기는 교회 공동체내에서도 물질 문제로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어 사회에 덕이 되지 못하고 비난을 받는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의 청지기적인 삶을 논하고 그것을 위해 교회의 목회자들이 어떻게 성도들에게 헌금에 관한 설교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방향성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그리스도인은 위탁받은 청지기로서 어떻게 돈과 물질을 관리하며 또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배우기 위해서 성경적인 물질관을 정립하고 헌금의 분명한 의미를 깨닫게 한다. 또한 물질적 부에 대한 유혹과 위험을 가르치고 성도들로 하여금 자족하는 생활을 하게 한다. 더 나아가서는 영원한 곳에 보물을 쌓아가게 한다.헌금에 대한 설교를 위하여 성경 전체를 골고루 강해 설교하도록 하며, 인내심을 가지고 청지기 훈련을 하고 교회가 헌금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투명하게 제시하여 헌금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목회자가 성도들에게 본이 되는 삶을 살도록 한다.마지막으로 헌금에 대한 효과적인 설교를 위해서는 헌금이 예배의 한 필수 요소임을 깨닫게 하고 성도로 하여금 헌금을 드리는 태도가 중요함을 일깨워야 한다. 그래서 헌금을 의무감이나 죄책감에서 드리지 않도록 하되 피하지 말고 담대하게 설교하라. 또한 성도들로 하여금 헌금을 통해 하나님의 사역에 동참하게 하고 하나님의 약속과 성격적 보상에 대하여 분명하게 전달하도록 하라. 그러기 위하여 목회자가 누구보다도 성경적인 물질관을 통한 청지기적 삶의 원리를 깨달아 스스로 실천하고 그것을 성도들에게 어떻게 훈련해야 할 것인가를 분명하게 가르치고 설교해야 할 것이다. Throughout the history of mankind, material or money has always been an indispensible and important means for living. However it has not brought happiness but caused misery or distress, both in home and society. As it has created much trouble in even a God-serving church community, and spoiled credibility, there are often criticisms from society. Recognizing this viewpoint, this study discusses the life of stewardship and trie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church preaching about material things and money.The study views the matter from a Biblical standpoint and clarifies the meaning of collection, so as to let Christians learn how to treat and use possessions as trusted stewards. It also leads saints to live a self-sufficient life and teach them about the temptation and danger of material wealth. Furthermore, it guides them to lay up their treasure in Heaven. It helps preachers to give an expository sermon on materialism through the whole biblical text, to undergo stewardship training with patience, to present clearly the method of using how church collection, and to give a motivation for offering. Also, it persuades ministers to live as an example for the saints.Lastly, for an effective sermon on collection, saints are supposed to know that offering is an essential part of worship and offering attitude is very important. Therefore, preachers need to give a sermon on the collection without hesitation and encourage members not to give their offering with a sense of duty and guilty conscience. Always church visitors and non-believers have the freewill to give their offering as they wish.Preachers should deliver definitely the message of God's promise and the biblical reward and lead the saints to participate in godly ministry through their offering. To accomplish this, ministers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stewardship life through biblical viewpoint of material thing, to practice this view himself, and to teach and preach clearly how the saints are to train themselves.

      • KCI등재

        강해설교에 대한 오해와 이해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설교자들은 종종 성경본문이 전하는 메시지가 아닌 그들 스스로 고민하는 문제들 즉 정치적인 이슈들이나 윤리적인 행동의 촉구, 혹은 경제적인 풍요등과 같은 주제들을 전하고 싶은 유혹이 빠지곤 한다. 그러나 만약 설교자들이 성경본문이 전하는 메시지를 설교하는데 실패한다면, 그들은 그들의 청중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실패하게 될 것이다. 또한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데 실패했을 때 결극 그들은 그들이 가진 설교자로서의 권위를 상실하게 될 것이다. 강해설교는 설교자가 전하고자 하는 성경 본문의 배경과 관련하여, 역사적이고 문법적으로, 그리고 문자적이고 신학적으로 그 본문을 연구하여 알아낸 성경의 중심개념을 우선 설교자의 인격과 경험에 적용하고, 또한 설교자를 통하여 다시 회중에게 적용하는 신학을 가진 설교이다. 현재 한국의 설교자들은 설교본문으로써의 성서가 전하고 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하고자 부단히 씨름하고 있다. 아마 강해설교는 많은 한국교회의 강단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집중하도록 하는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 한국에서 강해설교의 역사는 그렇게 길지 않다. 따라서 강해설교를 하고자 노력하는 한국의 설교자들은 강해설교에 대해 더 공부해야할 필요가 있다. 실제적으로, 그들에게는 강해설교에 대한 오해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논문은 그렇게 길지 않은 논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에서 한국 설교자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강해설교에 대한 생각에 도전을 주며 강해설교의 본질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탐구하고자 한다. Preachers used to face the pressing temptation to deliver their own message other than that of the Scriptures such as political issue, ethical demand, economical abundance, and etc. However, if they fail to preach the Scriptures, they also fail to deliver God’s message to their hearer. In addition, when they do it, they abandon their authority as a preacher. Expository preaching is the communication of a biblical concept, derived from and transmitted through a historical, grammatical, and literary study of a passage in its context, which the Holy Spirit first applies to the personality and experience of the preacher, then through the preacher, applies to the hearers. Now Korean preachers are struggle to preach God’s message which is delivered in the Scriptures. It is hard to deny that Expository preaching is contributing to many Korean church's pulpits in terms of concentrating on God's Word. However, the history of expository preaching in Korea is not long. Thus, Korean preachers who pursue expository preaching need more study on it. In fact,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 of it. Even this article is just a short one, it is written to clarify the nature of expository preaching, challenging Korean preacher’s established understanding of it.

      • KCI등재

        한국교회 청소년 설교내용의 문제점과 그 대안에 대한 한 연구

        김금용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최근 한국 청소년설교는 내용상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직면해 있다. 청소년설교자들은 특별한 기준없이 설교 내용을 전개한다. 또 설교 내용을 자신의 주장만으로 채우기도 하고, 설교 내용을 흥미위주로만 구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심지어 다른 사람의 설교를 도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들은 한국교회 청소년설교자들이 걸어가야 할 길이 아니다. 이것들은 고쳐지고 극복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본 소고는 이러한 내용상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제안한다. 첫째는 청소년설교 내용이 성서적인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청소년설교 내용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뜻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청소년의 눈높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Recently the Korean preachers' preaching for youth has been faced with several problems in its content. Preachers for youth have preached without a fixed criterion. Some of them fill the content of preaching only with his or her own opinion, or place great emphasis only on its interest. Even its content is plagiarized from the preaching of other preachers. However these problems must be corrected and overcome. Therefore three important criteria that seem to be absolutely necessary to overcome these problems are discussed throughout this study. The first is that the content of preaching for youth must be biblical. The second is that it has to be in accord with the will of the triune God. The third is that the level of youth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content of preaching is composed.

      • KCI등재

        설교자의 올바른 감정 사용에 대한 제언 : 본문의 감정을 살리는 설교

        김대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5 복음과 실천신학 Vol.36 No.-

        20세기 후반부터 지금까지 전통적인 강해설교는 설교의 이성적 내용에 대 한 강조에 비해 설교자의 감정 사용에 대해서는 무관심하거나 등한시하는 경 향을 보여 왔다. 반면 1970년대 이후에 전통적 강해설교의 반동으로 태동한 신설교학은 설교를 통한 청중의 경험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경험주의/감정주 의적인 설교를 조장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실제 설교자의 올바른 감정 사용의 문제는 오래된 설교학적 숙제일 뿐 아니라, 설교자에게는 매주 돌아오 는 반복적인 문제이다. 이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하여 설교학적 하나의 교정적 잣대와 대안으로서 성경 본문의 감정을 설교에 담아내는 이론적 정당성과 그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설교에 있어서 성경 본문이 지닌 감정 실제 설교에 반영해야 할 이론적 근거들을 신학적, 윤리적, 해석학적, 설교학적 관점에서 조망해 본다. 이를 바탕으로 본문의 감정을 설교에 반영하는 구체적인 설교방 법론으로 해석화의 과정 속에서 본문의 저자가 의도한 감정을 찾기 위한 거시 적 정황적/문학적 분석에서 미시적 언어적 분석에까지 이르는 분석 방법을 제 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해석화 과정에서 발견한 본문의 감정이 설교의 목적, 형식, 기능적 구성요소들, 그리고 설교의 스타일 등 다양한 영역에 영향을 주 는 설교화 과정을 제시하며 설명한다.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a tendency of neglect or indifference to the issue of the preacher’s use of emotion in expository preaching compared with it’s emphasis upon the rational content of the sermon. Whereas the New Homiletic, which emerged in 1970’s in reacting against the rationalistic approach of traditional expository preaching, has been criticised for its undue emphasis of experiential/ emotional elements in preaching. In fact, the legitimate use of emotion has been a long-lasting issue in the history of preaching and is a recurring task for the preacher in every wee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us to provide a corrective measure and an alternative for the preacher’s legitimate use of emotion―that is honoring the textual emotion in preaching. Accordingly, this paper first provides a rationale for the necessity of honoring the textual emotion in preaching from the theological, ethical, hermeneutical, and homiletical perspectives. Based up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this paper offers a preaching methodology that can help the preacher discover the author’s intended emotion in the hermeneutical process and reflect it into the sermon in the homiletical process.

      • KCI등재후보

        존 브로더스의 설교 방법론과 그 영향력

        권호 ( Ho Kwon )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3 No.-

        존 브로더스 (1827-1895)는 19세기 말 미국 설교자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남긴 설교학자다. 그의 책 ``설교 준비와 전달에 관한 연구``는 백 년 이상 교단을 초월해 미국내 주요 신학교에서 설교학 교과서로 사용되었다. 브로더스는 예일 대학의 권위있는 설교학 강좌인 라이먼 비처 렉처에 초대받아 탁월한 신약학자요, 최고의 설교자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는 이미 1870년대에 해외에서 저명한 설교학자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브로더스의 책은 아직도 설교학의 고전으로 꼽히며, 여러 책들과 논문에 계속 인용되고 있다. 우리는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는 브로더스의 영향력을 보면서, 과연 어떤 요소들이 그의 설교를 탁월한 것으로 만들었는지를 묻게 된다. 브로더스의 명 설교들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사용하는 그의 독특한 방법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1) 성경 진리에 대한 강한 확신. 2) ``설교정원``이라고 불렸던 설교준비 방법. 3) 쉽고 명확한 언어 스타일. 4) 충실한 강해. 5) 청중과의 공감. 브로더스의 이러한 설교 방법들은 여러 기반 위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는 먼저 아리스토텔레스, 씨세로와 같은 고대 수사학자들과 18세기 수사학자인 훼틀리, 켐벨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설교의 배열과 논증법을 발전시켰다. 또한 비넷, 알렉산더, 쉐드와 같은 설교학자들의 다양한 이론을 수용 및 조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론을 만들었다. 브로더스의 이런 시도는 성경적 진리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설교학적 방법들을 사용하여 설교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 John Albert Broadus (1827-1895) profoundly influenced American preachers in the la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His book A Treatise on the Preparation and Delivery of Sermons has been used as a homiletic textbook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regardless of denomination. Yale University invited Broadus to give the Lyman Beecher Lecture on Preaching and applauded him not just as an admirable preacher but also a distinguished New Testament scholar. In the early 1870s, he was already known abroad as a prominent homiletician. Throughout his books and sermons, one can recognize certain elements which ranked him as the most outstanding preacher, From the preparation of the sermons to their delivery, several factors-strong conviction of biblical truths, a process of sermon preparation called homiletical garden, clear language style, faithful exposition, sympathy with his audience-created unusual pulpit effectiveness. Broadus built his own homiletical methods on diverse foundations. Broadus adopted rhetorical tools from classical rhetoricains (Aristotle, Quintilian, and Cicero) and Enlightenment rhetoricians (Whately and Campbell). He applied his rhetorical insights to the arrangement and argument of his preaching. Numerous homileticians such as Vinet, Alexander, Shedd were another main influence of his homiletical idea on expository preaching and its practical tools. He put various theories, fused them in his homiletical melting pot, and cast his own preaching methods to proclaim God`s message. Thus, Broadus delivered biblical truths with new homiletical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