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i(CsITl) 영상시스템에서 부가필터, SID에 따른 X선 스펙트럼변화와 해상력에 대한 고찰

        안현(Hyeon An),김정훈(Jung-Hoon Kim),이동연(Dongyeon Lee),고성진(Sungjin Ko),김창수(Cha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논문은 IEC 61267에서 제시하는 RQA3, 5, 7, 9의 선질 조건과 임상검사 조건을 조합한 선질들을 사용하여 공간분해능과 선예도를 평가하고 선질들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첫째, 부가필터와 SID에 따른 공간해상력 평가에 사용된 영상은 IEC 62220-1 에 제시된 edge method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Matlab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상에 대한 해상력 평가는 MTF 측정값 10%(0.1)에서, 선예도 평가는 MTF 측정값 50%(0.5)에서 평가하였다. 둘째, MCNPX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선질들의 입자플루언스율과 에너지대별 스펙트럼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부가필터 사용과 SID에 따른 영상품질평가에서는 RQA3 선질 조합조건에서 공간분해능과 선예도는 부가필터 미사용과 SID 100 cm에서 높게 나타났다. RQA5 선질 조합조건에서 공간분해능과 선예도는 부가필터를 사용하고 SID 100 cm에서 높게 나타났다. RQA7 선질 조합조건에서 공간분해능은 부가필터 미사용과 SID 150 cm에서 높게 나타났다. 선예도는 부가필터를 사용하고 SID 150 cm에서 높게 나타났다. RQA9 선질 조합조건에서는 공간분해능과 선예도는 부가필터 사용하고 SID 180 cm에서 높게 나타났다. 선질들의 스펙트럼 분석은 X선관의 재현성에 따른 오차, 검출기의 보정에 따른 오차 등 실험에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오차를 줄여 가장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는 MCNPX 시뮬레이션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선질들에 대한 공간분해능과 선예도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임상에서 사용 중인 검출기의 평가에 있어 선질조건과 검사실 환경에 맞는 정량적인 평가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ssess their quality of radiation on analysis of the spectrum of resolution suggesting IEC 61267 in radiation quality that RQA3, RQA5 ,RQA7, RQA9 and combination of clinical condition using several quality of radiation. In experiments edge method first, the spatial resolution assessment used image of the additional filter and SID is obtained the IEC 62220-1, spatial resolution and sharpness of the obtained image was evaluated in the MTF value 10%(0.1), MTF value 50%(0.5) using a Matlab program. Second, MCNPX simulation used spatial resolution analysis was radiation quality particle fluence and spectrum analysis in energy. As a result, make use of additional filter, image quality evaluation of SID that RQA3 radiation quality combination qualification is higher spatial resolution and sharpness make unused of additional filter and SID 100cm. RQA7 radiation quality combination qualification is higher that spatial resolution make unused of additional filter and SID 150cm. RQA9 radiation quality combination qualification is higher that spatial resolution and sharpness make used of additional filter and SID 180cm. spectrum analysis of radiation quality by reducing consequent errors occurring in the experiment that error due to the reproducibility of the X -ray tube, occur in an error of correction the detector suggest ideal conditions from spectrum analysis through MCNPX simulation. In conclusion, by suggesting spatial resolution and sharpness of result for various radiation quality, It provide basic data that radiation quality condition and quantitative assessment method for laboratory in clinical using detector evaluation.

      • Comparison of Quantitative Image Quality of Brain CT between Head-first and Feet-first Position with an Emphasis on Image Sharpness

        윤희석(Hee-Seok Yoon),이기백(Ki Baek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1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3 No.1

        두부 CT검사는 Head first 자세로 진행하고 있다. 응급 중환자는 두부 CT검사 시 여러 부위의 처방을 동시에 진행하기도 하며 검사 테이블의 이동범위가 길어져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고위험 의료기기들이 탈락될 수 있다. 이럴 경우 검사 자세 방향을 Feet first 자세로 진행하기도 하는데 선속경화현상의 발생 가능성 때문에 지양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로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씩을 대상으로 영상의 노이즈와 Plot profile을 이용한 선예도 평가를 하여 두 자세 방향에서의 영상 화질을 비교하였다. 후향적 환자 연구 시 기저핵(basal ganglia) 부위와 추체골(petrous bone) 중앙의 소뇌 (cerebellum) 두 부위의 노이즈 결과는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 순서로 sequence mode에서는 3.64±0.35 vs 3.89±0.44, 4.79±0.58 vs 4.96±0.51 이고, Helical mode에서는 3.51±0.24 vs 3.89±0.43, 4.79±0.58 vs 4.99±0.48 이었다. Line density profile을 기반으로 수치화하여 최소값에서 최대값으로 증가하는 X축 구간의 반치폭(FWHM) 길이는 sequence mode에서 1.47±0.39 mm vs 1.56±0.38 mm 이고 Helical mode에서는 2.02±0.53 mm vs 2.16±0.55 mm이었다. 자세의 차이(Head first vs Feet First)에 따라서 Sequence와 Helical mode 모두 노이즈 측면에서는 Sequence mode에서 수치가 조금 낮았지만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선예도 측면을 봐도 자세에 따른 차이는 수치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Head first 자세와 Feet first 자세에서 영상의 노이즈와 반치폭의 길이 차이는 크지 않았고, 따라서 응급 중환자 및 임상적 상황에서 필요 시 Feet first 자세는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Brain CT scans are usually run in the head first position(HFP). Critical emergency patients may be prescribed for several areas at the same time during a CT scan of the head. And as the moving range of the examination table is extended, high-risk medical devices that are applied to patients may be eliminated. In this case, the examination posture direction is sometimes in the feet first position(FFP), which has been avoided due to the possibility of beam hardening artifac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sharpness using image noise and plot profile for each of 20 patients who underwent the examination in the HFP and the FFP to compare the image quality in two posture directions. In retrospective study, the noise results of the basal ganglia and the cerebellum 2 ROI in the center of the petrous bone were presented in the order of the HFP and the FFP. And they were 3.64±0.35 vs 3.89±0.44, 4.79±0.58 vs 4.96±0.51 in sequence mode, and 3.51±0.24 vs 3.89±0.43, 4.79±0.58 vs 4.99±0.48 in helical mode. The length of half-width(FWHM) of the X-axis section increasing from the minimum value to the maximum value by quantifying based on the line density profile was 1.47±0.39 mm vs 1.56±0.38 mm in sequence mode and 2.02±0.53 mm vs 2.16±0.55 mm in helical mode. As a result, In the HFP and the FFP image, the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the noise and the half-width was not significan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posture of the FFP is possible when necessary in emergency critical patients and clinical situation.

      • KCI등재

        ‘선문화・선예술’ 구축에 있어서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 전사(前史) - 무로마치 문화에 대한 근대일본의 이해(일본사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

        허은주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2 No.-

        The seemingly self-evident concept of Zen culture and art is a modern product devised in the social situations faced by modern Japan. The Zen culture and art have developed as cultural nationalism in the magnetic field of modern Japanese Buddhist nationalism rather than a universal concept as the traditional Oriental heritage. In an effort to clearly trace the process of the Zen art theory being established,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before Daisetsu in the literature about the Japanese history to figure out how the Muromachi culture was understood before Suzuki and others established the concept of Zen culture and art. There is extreme rarity in the understanding of Muromachi culture in relation with the religiosity of Zen in the literature before 1910. Muromachi culture is summarized as ① the extravagance of Yoshimasa and resulting development of various arts and crafts and ② the prosperity of Zen Buddhism by the support of shoguns and warriors including Yoshimasa and its influences on various types of culture. In the 1910s, Higashiyama culture attracted huge attention as the origin of modern culture thanks to the evaluation of Sasakawa Rinpu, thus exerting influences. Rinpu mentioned the tea ceremony and ink-and- wash paintings in relation to Zen and did not understand them as the expressions of realization, but his works offered a literature base for the concept of Zen culture and art later. During the similar period, Tsuda Sokichi regarded Zen's influence on Muromachi culture as the Chinese interest and argued that its essence lied in the classical interest of old times. While Rinpu placed some importance on the expressive patterns of culture and considered Higashiyama culture as a new culture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times, Tsuda found the essence penetrating different appearances in the classical interest and understood Muromachi culture in the continuity with the previous times. In short, the interest in Muromachi culture was established as a general trend even though the literature about the Japanese history until the 1920s did not understand the culture as the expression of Zen realization.

      • KCI등재

        ‘선문화・선예술’ 구축에 있어서 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 전사(前史)(2) -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을 중심으로 -

        허은주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6

        The seemingly self-evident concept of Zen culture and art is a modern product devised in the social situations faced by modern Japan. The Zen culture and art have developed as cultural nationalism in the magnetic field of modern Japanese Buddhist nationalism rather than a universal concept as the traditional Oriental heritage. In an effort to clearly trace the process of the Zen art theory being established,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before Daisetsu about the Japanese history to figure out how the Muromachi culture was understood before Suzuki and others established the concept of Zen culture and art. There was a foundation of understanding being formed in Zen's close relations to art or Japanese culture, despite Zen culture and Zen art was not in use then. It happened mainly in the field of Japanese art and was led by Okakura Tenshin. Relations between Zen and art began in his conception of "history of Japanese art". He had views on ink-and-wash paintings with a focus on paintings as high art according to the Western criteria. He introduced Zen that was considered to be in line with modern Western philosophy to explain them. As a result, he was able to claim for the superiority of ink paintings or Japanese art as a form even more loyal to Hegel's esthetics by emphasizing his views for sketching from nature. However, his claim was close to imagination without substance. He later contradicted himself the relations between Zen and art, but nobody paid attention to his personal view. The understanding of the arts of the Muromachi Era in relation to Zen was spread in the field of art relatively early in the middle 1900s. 헤겔미학에 근거한 덴신의 일본미술사는 작위적이고 구축적인 점이 특징이다. 덴신의 일본미술사는 서양의 기준에 따른 고급예술로서 회화를 중시해 수묵화에 착안했으며 이를 설명하는 데 역시 서양의 근대철학과 통한다고 여겼던 선을 도입했다. 여기에서 이른바 선종화가 탄생되었다. 그 결과 사생에 대한 사의가 강조되어 헤겔미학에 한층 충실한 형태로 수묵화 혹은 일본미술의 우위를 주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실체가 없는 상상에 가까운 것이다. 선과 예술의 관련에 대해서 나중에 스스로 부정했지만, 관견의 범위에서는 아무도 이에 주목하지 않았다. 무로마치 시대의 제예술을 선과 관련짓는 이해는 미술분야에서는 1900년대 중반경에 비교적 이른 시기에 보급되어 갔으며 예컨대, 오무라 세이가이[大村西崖, 1868-1927]의 『동양미술소사(東洋美術小史)』(審美書院, 1906)를 꼽을 수 있다. 일본사 분야에도 서서히 도입되어 1920년대에 이르면 무로마치 시대의 예술과 문화는 선과 깊이 관련지어진다. 선과 예술, 선과 무로마치 시대에 대한 덴신의 설이 일본사 분야에 도입되어 가는 과정에 관해서는 졸고(앞의 논문, 2014)를 참조해 주시길 바란다. ‘선과 일본문화’에 대한 스즈키 다이세쓰의 출현은 이러한 토대 위에 있었다. 본고는 선예술론의 근간을 이루게 되는 덴신의 선과 예술의 관련에 대해 다루었지만 여기에 덴신의 다도가 충분히 포함되지 못하고 수묵화에 집중되었다. 수묵화에서 다도로 이어지는 추이를 포함해서 덴신이 전개한 선과 예술의 관련이 헤겔미학뿐 아니라 헤겔철학 전반과 어떻게 연동되는지 검토될 필요가 있다.

      • C-Spine CT 검사 시 Reference mAs 변화에 따른 화질평가와 선량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유나리(Na Ry Ryu),권성옥(Seoung Ohk Kwon) 대한전산화단층기술학회 201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8 No.1

        목적 : C-Spine 검사는 mAs의 영향보다는 kVp에 영향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reference mAs를 줄임에 따라서 화질의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적정 reference mAs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장비는 128채널 Somatom Definition AS(Siemens, Germany)를 사용하였다. 화질 평가를 위해 Rando phantom과 AAPM phantom을 사용하였다. 본원의 C-Spine 검사 조건에서 reference mAs만을 10부터 330까지 20 mAs 단위로 조절하며 rando phantom을 촬영한 후 kernel B30과 B60으로 영상을 재구성하여 vertebral body와 spinal cord에서 noise와 HU를 측정하였고, 같은 조건으로 AAPM phantom을 촬영 한 후 GE workstation으로 전송하여 선예도와 공간분해능을 측정하였다. reference mAs 변화에 따라 변하는 CTDIvol과 DLP는 dose report를 참조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해서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버전을 이용하였다. 결과 : B30과 B60으로 재구성 한 영상에서 B60 영상의 spinal cord에서 측정한 noise만을 제외하고는 reference mAs가 330에서 130으로 줄어들었을 때까지는 mAs 변화에 따라 noise, HU, 선예도, 공간분해능 모두 차이가 없었다. 화질 차이가 없던 330 mAs에서 130 mAs 간에는 CTDIvol이 11.32 mGy 차이가 났으며, DLP는 226 mGy · cm 차이가 났다. 즉, 59.8%의 선량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론 : C-Spine CT 검사와 같이 뼈의 구조물의 중요성을 높이 보는 검사의 경우 높은 mAs를 사용 할 필요가 없다. 민감한 방사선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 갑상선이 포함된 검사이니만큼 C-Spine의 영상의 질은 유지하면서 선량 측면에서 큰 이득이 따르리라 사료된다. Purpose : C-Spine CT is not required high mAs. besides, Radiation-sensitive organs, including the thyroid gland is decreased because the dose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in order to see if there are any changes of the image quality according to reference mAs adjustment. We want to find out proper reference mAs in C-Spine CT.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used Somatom Definition AS 128 channel(Siemens, Germany) and rando phantom to measure the noise, HU at a Siemens workstation. And we used an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AAPM) phantom to measure the sharpness and spatial resolution. All images obtained by changing from 10 to 330 mAs at intervals of 20 mAs. and then images reconstructed B30 and B60. Then, setting a region of interest in the vertebral body and the spinal cord was measured by noise and HU, AAPM phantom images was transferred to the GE workstation by measuring the sharpness and spatial resolution. CTDIvol and DLP were reference to the dose repor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verifi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 Results : Noises measured in the vertebral body and the spinal cord in images reconstructed with B30 and B60 did not differ when the reference mAs is lowered by 130 mAs. Only the noise but the difference was measured in the spinal cord in image reconstructed with B60.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U, sharpness, spatial resolution too.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TDIvol about 11.32 mGy and DLP about 226 mGy · cm. Conclusion : C-Spine CT to see the bone structure relates to kVp rather than mAs. therefore, if reduce the reference mAs properly, can expect a reduction of the exposure dose while maintaining the same image quality.

      • Edge Method를 이용한 Channel과 Convolution Algorithm에 따른 CT 장치의 MTF 분석

        홍선숙(Sun Suk Hong),허재(Jae Huh)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1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3 No.1

        목 적 MTF는 영상의 형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응답 함수를 결정하는 것으로 정현파의 입력과 정현파의 출력과의 진폭의 비를 공간주파수의 함수로 표현한 것으로 X선 검출시스템 정보전달 능력과 기록 능력을 평가하는 데 상당한 정확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channel과 algorithm 에 따른 CT장치의 MTF를 측정, 분석하여 적절한 의료영상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GE사의 성능평가용 팬텀을 장비의 Center에 일치시키고 각도 가장자리가 1.5~3° 기울어지게 팬텀을 회전시켰다. Edge영상에서 ESF을 구해 미분하여 LSF곡선을 구한 다음 FFT하여 MTF 곡선을 구하였다. 계산은 Mathworks사에서 제공하는 Matlab을 이용하여 CT 장비 channel별, convolution algorithm별로 50%, 10% MTF를 구하였다. 결 과 G사 channel별 50%, 10% MTF는 0.73, 1.13 으로 single channel이 가장 높고, S사 channel별 50%, 10% MTF는 0.8, 1.22로 128 channe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lgorithm별로는 edge enhancement algorithm으로 갈수록 높아졌으며 G사의 경우 edge algoritm의 50%, 10% MTF가 1, 1.73으로 가장 높고, S사의 경우 B60f algorithm의 50%, 10% MTF가 1.35, 1.8로 가장 높았다. 결 론 channel 수의 증가는 cone beam artifact를 증가시켜 공간 분해능의 감소를 가져온다. 또한 새로운 재구성 방법의 도입은 cone beam artifact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다. Algorithm은 edge enhancement algorithm 일수록 G사와 S사의 CT장치 모두 영상의 선예도와 공간 분해능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미세한 질환 판독을 요구하는 CT 검사의 경우 channel 수가 적은 장비 혹은 새로운 재구성 방법이 도입된 장비가 유리하고 edge enhancement algorithm을 사용하여 검사를 한다면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Ⅰ. Purpose MTF offers fairs accuracy to estimate X-ray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ability and recording ability that express comparison of amplitude with input of sine wave and output of sine wave by function of spatial frequency that decide response function to measure clean bright atmosphere image formation ability. In this study, wish to compare and estimate suitable medical treatment image measuring and analyzes MTF of CT equipment by channel and algorithm. Ⅱ. Materials and Method The phantom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GE the equipment was centered with an angled of 1.5-3 differentiate ESF in edge image then FFT obtain LSF curved line then obtain MTF cured line. Calculation got 50%, 10% MTF by CT equipment channel, by convolution algorithm using matlab that offer in mathworks company. Ⅲ. Result 50% and 10% MTF by G company channel are the highest single channel by 0.73 and 1.13. 50% and 10% MTF by S company channel appeared 128channels highest by 0.8 and 1.22. As edge algorithm changes, for G company 50% of edge algorithm, 10% MTF were 1, 1.73, there were highest, and for S company also 50% B60f algorithm, 10% MTF were highest, scores are 1.35, 1.8. Ⅳ. Conclusion Increase of channel number brings decrease of spatial resolution increasing cone beam artifact. Also, induction of new reconstruction method may become way that reduce beam artifact. As algorithm is edge enhancement algorithm, sharpness and resolution of CT equipment total reflex of the G company and S company were increased. Therefore, may agument more the effect if examine equipment that channel number is few in occasion of CT examination who require microscopic disease interpretation or equipment that new algorithm is introduced is profitable and uses edge enhancement algorithm.

      • KCI등재

        분기 선예측과 개선된 BTB 구조를 사용한 분기 예측 지연시간 은폐 기법

        김주환(Ju-Hwan Kim),곽종욱(Jong-Wook Kwak),전주식(Chu-Shik Jh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0

        현대의 프로세서 아키텍처에서 정확한 분기 예측은 시스템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최근의 연구들은 예측 정확도뿐만 아니라, 예측 지연시간 또한 성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예측 지연시간은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기 예측지연시간을 극복하기 위한 분기 선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분기장치를 인출 단계에서 분리함으로써, 분기 예측기가 명령어 인출 장치로부터의 아무런 정보도 없이 스스로 분기 예측을 진행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 BTB의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기법이 동일한수준의 분기 예측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대부분의 예측지연시간을 은폐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제안된 기법은 항상 1 싸이클의 예측 지연시간을 가지는 이상적인 분기 예측기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최대 11.92% 평균 5.15%의 IPC 향상을 가져온다. Precise branch predictor has a profound impact on system performance in modern processor architectures. Recent works show that prediction latency as well as prediction accuracy has a critical impact on overall system performance as well. However, prediction latency tends to be overlooked. In this paper, we propose Branch Pre-Prediction policy to tolerate branch prediction latency. The proposed solution allows that branch predictor can proceed its prediction without any information from the fetch engine, separating the prediction engine from fetch stage. In addition, we propose newly modified BTE structure to support our solution.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proposed solution can hide most prediction latency with still providing the same level of prediction accuracy. Furthermore, the proposed solution shows even better performance than the ideal case, that is the predictor which always takes a single cycle prediction latency. In our experiments, IPC improvement is up to 11.92% and 5.15% in average, compared to conventional predictor system.

      • KCI등재

        디지털 의료영상에서 슬릿법에 의한 Modulation Transfer Function의 보정방법

        김정민(Jung-Min Kim),정회원(Hoi-Woun Jung),민정환(Jung-Whan Min),임은경(Eon-Kyung 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3

          디지털 X선영상으로 출력한 화상데이터를 Personal Computer로 가져와서 디지털 특성곡선, MTF, 위너스펙 트럼을 계산할 수가 있다. 여기서는 디지털화상의 선예도를 후지타(藤田) 등의 이론에 의한 프리샘플링(presampling) Modualtion Transfer Function(MTF)을 산출하고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사용한 프로그램은 엑셀이며 슬릿의 촬영, 디지털 특성곡선, 합성 LSF법, 이산 퓨리어 변환, 고속 퓨리어 변환 등의 순서로 기술하였다.<BR>  이 방법의 커다란 장점은 퓨리어트랜스폼의 공식과 MTF 산출과정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는 점과, 별도로 값비싼 프로그램이나 컴퓨터언어를 배우지 않았어도 MTF 결과를 산출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워크시트 표시되는 엑셀의 장점을 그대로 살려 X선 영상계의 오류나 산출결과의 부적합성을 발견하기 쉽다는 점이다.   By using CR image pixel data, We examined the way how to calculate the MTF and digital characteristic curve. It can be changed to the text-file(Excel) from a pixel data which was printed with a digital x-ray equipment.<BR>  In this place, We described the way how to figure out and correct the sharpness of a digital images of the MTF from FUJITA.<BR>  Excel program was utilized to calculate from radiography of slit.<BR>  Digital characteristic curve, Line Spread Function, Discrete Fourier Transform, Fast Fourier Transform digital specification curve, were indicated in regular sequence.<BR>  A big advantage of this method, It can be understood easily and you can get results without costly program and without full knowledge of computer language.<BR>  It shows many different values by using different correction methods.<BR>  Therefore we need to be handy with appropriate correction method and we should try many experiments to get a precise MTF figures.

      • KCI등재후보

        디지털 X선영상 평가에서 연속확신도법 ROC의 적용

        김학성(Hark-Sung Kim),이인자(In-Ja Lee),김성철(Sung-Chul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2

        ROC에 의한 의료영상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지금까지는 5단계로 평가하는 평정확신도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평정확신도법에서는 TPF나 FPF의 산출을 쉽게 구하는 것이 가능하나, 실험에 있어서 부드럽게 ROC곡선의 추정을 하기 위해서 관찰자에 대해 적당한 카테고리 배분이 요구되거나 또 짜여진 카테고리 배분을 위해 그 데이터가 무효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관찰실험 이외의 데이터에도 ROC해석의 응용이 가능해지도록 카테고리 분류가 되어 있지 않은 연속적으로 분포된 실험결과를 이용 ROC 해석을 행하는 방법인 연속확신도법이 보고 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의료영상의 평가에 연속확신도법을 적용한 예가 거의 없어서 흉부 디지털영상의 평가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상용화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부드러운 ROC곡선을 그릴 수 있었으며, 특성값을 쉽게 측정할 수 있어 디지털 의료영상의 평가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In general, the discrete confidence judgments that use five-step assessment method have been used to assess the medical images by ROC. TPF or FPF can be computed easily with this independent reading test. However, during experiments, it happens frequently that adequate distribution for observers is required to smoothly estimate the ROC curve. In addition, data becomes invalid for distribution of the created categories. To solve such problems or to apply the ROC interpretation to data that is not obtained from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the continuous confidence judgements (CCJ) has been proposed, which implements ROC interpretation using continuously-distributed experimental results without category classification has been used. As the use of CCJ to assess medical images was barely reported in Korea, we applied it to the assessment of chest digital images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a smooth ROC curve was obtained conveniently by the commercialized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 value was measured easi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assessment of digital medical i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