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양식석탑과 모전석탑에 관한 비교 고찰

        전지혜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0

        In the history of Korean stone pagodas, Goryo period was the golden age and it began around the end of the 8th century and over the 9th century. At that time, the Buddhism was spread to regions out of central area with the import of the Zen buddhism in the Korean peninsula, stone pagodas which are monumental architecture of the Buddhism were also constructed in earnest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bout 1500 of stone pagodas is numbered at present, they were develop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the form and the style. However, stone pagodas out of the standard form have been thought of as non-mainstreamed ones which were in the retrogressed form, due to a monistic approach that says standard stone pagodas in Silla style are the symbol of Korean stone pagodas. "Non-mainstream" means "branches out of the mainstream" or "minority groups" in the dictionary. Therefore, various stone pagodas in minority forms and styles out of the mainstream have built the diversity of the culture of Korean stone pagodas. In result, stone pagodas constructed over Goryo period are classified to Goguryo style, Baekje style, Silla style and special ones as well as Goryo style ones which were the general forms. The special type composes of four-lion stone pagodas, blue stone pagodas, polygonal and multi-story stone pagodas, Stone brick pagodas and so on. Among the ones mentioned before, Baekje style stone pagodas and Stone brick pagodas are the most unique ones compared to stone pagodas in general type of Silla style which have a wide distribution and Goryo style stone pagodas which were built based on Silla style ones. Baekje style stone pagodas and Stone brick pagodas have, in terms of their locations, the regional bias, since the stone pagodas in one group are located in Chungchung and Julla province which were the old territory of Baekje, and the ones in the other group are distributed in Gyeongbuk area which has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Hence, we need to focus on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in relation with the form and style of stone pagodas constructed in Korea by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ose two stone pagoda groups. 한국 석탑사에서 고려시대는 ‘석탑의 황금기’로, 그 태동은 8세기말~9세기경에 시작되었으며, 이들은 형식과 양식에 있어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갔다. 그러나 신라의 일반형 석탑이 한국 석탑의 表象이라는 일원론적 접근으로 인하여, 정형양식을 벗어난 석탑은 퇴화된 양식의 비주류로 소개되기도 하였다. ‘비주류’의 사전적 의미는 ‘중심에서 벗어난 갈래’ 또는 ‘소수파’를 의미한다. 즉, 중심에서 벗어난 다양한 소수의 석탑이 모여 한국 석탑 문화의 다양성을 형성한 것이다. 그 결과 고려시대의 석탑은 일반형인 고려식석탑을 비롯하여, 과거 삼국의 양식을 계승한 고구려, 백제, 신라양식석탑, 그리고 특수형으로 분류되는 사사자석탑, 청석탑, 다각다층석탑, 모전석탑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신라의 일반형 석탑과 이를 토대로 성립된 고려식석탑을 기준으로 할 때, 백제양식석탑과 모전석탑은 가장 이색적인 석탑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건립 배경을 ‘복고적 문화현상’, 분포 환경을 ‘지역적 편재성’이라는 특징으로 주목하게 되면서, 오히려 두 석탑군의 연구 범위를 한정시킨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건립 배경의 재검토와 조영 방식의 교류가 확인되는 사례의 비교를 통해 두 석탑군이 한국 석탑사에서 갖는 의의를 고찰하겠다.

      • KCI등재후보

        新羅石塔의 始源考察

        남시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2

        우리나라는 석탑의 나라라고 하지만 석탑이 발생하기 전에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모두 목탑을 먼저 조영하였다. 석탑은 이후 삼국시대 후반인 7세기 초반에 이르러 석재로써 목탑을 모방한 미륵사석탑이 건립되었다. 우리나라 석탑은 목탑을 모방하여 발전되었다는 데는 아무런 제론이 없다. 또 석탑의 시원을 미륵사석탑이라는 데도 어느 누구도 이론이 없다. 600년대 백제와 신라 양국의 사찰창건과 조탑은 동일한 기술자들에 의해서 조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제에서는 석 탑의 시원은 목탑에 두면서 신라에서는 석탑의 시원은 목탑에 두지 않고 전탑에 둔다는 것도 이해 할 수 없는 부분으로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의 견해는 신라석탑의 시원은 두 계보로 보고자 한다. 그 하나는 목탑에서 미륵사석탑과 정림사석탑을 거 쳐서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으로 이어지는 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전탑에서 분황사모전석탑 · 의성탑리오층석탑 · 선산죽 장동오층석탑 · 선산낙산동삼층석탑으로 이어지는 계보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석탑의 시원을 목탑에 두면서도 석탑옥개석 층급받침은 전탑 또는 고구려고분 천정에서 그 시원을 두기도 하여, 목조 공포의 약화된 표현이라는 의견과 논란이 가끔 있는데, 전탑의 층급은 같은 길이로 내밀고 있지만, 석탑 옥개받침은 처마부분을 더 많이 내미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목조건물 공포에서 변형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Korea is famous for a number of stone pagodas.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the stone pagodas came after wooden pagodas in all the Kingdom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Since the advent of wooden pagodas, it was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ree Kingdoms(especially,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that the first stone pagoda appeared at Mireuksa Temple site in imitation of the wooden ones. Now that no one can deny that Korean stone pagodas have developed, imitating the wooden pagodas. It is also obvious that the Stone Pagoda at Mireuksa site is the prototype of Korean stone pagodas. However, this study casts doubt on the theory that the stone pagodas in the Silla Kingdom originated not from the wooden pagodas, but from the brick pagodas, whereas the stone pagodas in Baekje Kingdom which has been said to come from the wooden ones. The fact that the temples and pagodas in both Baekje and Silla were erected by the same builders and technicians is one of the evidences supporting the assertion of the study. This study, accordingly, examines on the origin of the Silla pagodas by supposing the two genealogies. The first one can be summarized in chronological order as follows: starting from wooden pagodas, Stone Pagoda at Mireuksa site, Stone Pagoda at Jungrimsa site, Stone Pagoda at Gameunsa site, and Stone Pagoda at Goseonsa site. The second one, on the other hand, runs as follows: starting from bick pagodas, Stone Pagoda at Bunhwangsa, Uiseong Tapri five-storied Stone Pagoda, Seonsan Jukjang-ri five-storied Stone Pagoda, and Seonsan Naksan-ri three-storied Stone Pagoda in order. As the above genealogies show, the origin of the stone pagodas has been an controversy, especially because of the two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one is that the roof-supporting strata(Okgaesuk-Bachim) originated from the brick structure and the ancient tomb ceiling of Goguryeo Kingdom, and the other is that the strata is a sort of the simplified design of the wooden roof structure. This study, however, takes note of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strata between the brick pagodas and the stone pagodas; the former stretches out its strata longer than the latter. Consequently,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roof-supporting strata of the stone pagodas is originally a sort of modification of the wooden roof structure.

      • KCI등재

        尙州洛上洞寺址石塔의 樣式과 復元檢討

        이순영(Lee, Soon-Yo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4 No.-

        신라시대 건립된 ‘전축모방형 석탑’은 현재까지 9기가 확인되는데 모두 경북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가운데 경북 상주시 洛上洞寺址에서 확인된 洛上洞石塔은 계단형 옥개석 부재 등으로 전축모방형 석탑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발견 당시부터 폐탑으로 쓰러져 있어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다.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탑지 적심석 규모 및 수습된 23매의 석탑 부재의 양식 특징을 검토한 결과 경북지역에 건립된 전축모방형 석탑의 하나로, 17세기 초 이후 어느 시점에 폐탑되어 인근 도남서원 건립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탑지의 규모, 석탑 부재의 현황 및 양식 특징, 후대의 기록 등을 종합해 볼 때, 낙상동사지 석탑은 미완성 석탑이 아니라 가구식기단의 5층 탑신을 갖춘 전축모방형 석탑이었을 것으로 복원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의성, 선산 등 경북지역에 집중 건립된 전축모방형 석탑의 한 사례로서 재검토되어야 하며,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선산 죽장사지 오층석탑-상주 낙상동사지 석탑-선산 낙산리 삼층석탑-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등으로 전개되는 전축모방형 석탑으로 이러한 양식의 석탑 계보와 전개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미술사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주지역은 낙동강 수계를 따라 내륙 깊숙이까지 교통로의 요충지로서 일찍부터 발달하였고, 신라의 주요 간선로로 중요한 문화전파 통로로 개척되었으며 이를 통해 불교미술도 일찍부터 발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지역 불교미술 중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의 부재의 자유로운 분할 방식은 이 지역 석탑에서 보이는 지역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are total nine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s" from Silla, and all of them are distributed in the Gyeongbuk region. Of them, Naksangdong Stone Pagoda at the temple site of Naksangdong in Sangju, Gyeongbuk Province was confirmed to be an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 based on absence of stepped roof stone. It has, however, not been well-known since it was discovered as a destroyed and fallen pagoda. This study proposed a restoration plan for Stone Pagoda at Naksangdong temple site based on an assumption that it must have been an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 with a stylobate in post-lintel construction and five-story body instead of an incomplete stone pagoda according to the size of pagoda site, the current state and style features of stone pagoda materials, and later records. The study also maintained that the Stone Pagoda should be re-reviewed as a case of imitation brick structure-type stone pagodas whose construction was concentrated on the Gyeongbuk region including Uiseong and Seonsan. The Stone Pagoda holds enough value in the art history, demonstrating the genealogy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tone pagoda style, which runs through the 5-Story Stone Pagoda in Tapriri of Uiseong, 5-Story Stone Pagoda at the Jukjangsa temple site in Seonsan, Stone Pagoda at the Naksangdong temple site in Sangju, 3-Story Stone Pagoda in Naksanri of Seonsan, and 5-Story Stone Pagoda at the Bingsansa temple site in Uiseong. The Sangju region emerged early as a strategic point of transportation deep into the interior along the water system of Nakdong River and was early pioneered as a critical path of cultural spread and one of main lines in Silla, thus being able to Buddhist art at an early stage. The free division method of materials found in the 3-Story Stone Pagoda in Hwadali of Sangju shows one of the local features of stone pagodas in the area as part of local Buddhist art.

      • KCI등재

        김해 婆娑石塔의 原形에 대한 고찰

        전지혜 진단학회 2019 진단학보 Vol.- No.133

        It is said that, in the Geumgwan-sung Pasa stone stupa article of the Samguk-yusa, the Pasa stone stupa was brought by Heo Hwang-Ok to keep her boat safe from a rough storm during her voyage from her home country Ayodhya to Gaya. That stone stupa is currently enshrined in Pasa-gak which is in front of the Royal tomb of the queen Heo Hwang-Ok, but it looks different from a typical stone stupa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composed of stylobate part, body part and upper parts at a glance. Besides it may look like a stone tower which is piled up with any stones which can be generally seen everywhere such as a mountain path or a temple, because of too much worn-out. However, the Pasa stone stupa cannot be excluded when people talk about Heo Hwang-Ok of the Garak-guk, and also it is a weighty and symbolic heritage of the history of Gim-hae region. In spite of that, an individual study of the Pasa stone stupa has not been made at all except for a survey which was executed by a local historian in 1980’s. Of course,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at such as the uncertainty of a location and period of Ayodhya well known for a home country of Heo Hwang-Ok and a tale in the Samguk-yusa, and the biggest problem is that the Pasa stone stupa does not have its original form due to serious worn-out. Hence, the present writer has studied the original form of the Pasa stone stupa observed in the 13th century by Iryeon who wrote the Geumgwan-sung Pasa stone stupa article in the Samguk-yusa, individually focusing on the Pasa stone stupa itself without a consideration of any tales of Heo Hwang-Ok. With the story in the Samguk-yusa the original form of the Pasa stone stupa may be the initial appearance of that stupa when Heo Hwang-Ok shipped it on her boat, but it is hard to infer how the stone stupa exactly looked like at that time from six parts remaining currently, apart from the uncertainty of the tale. Then the present writer believes that a practical plan of a study of the value of Pasa stone stupa which is proven only through tales is to find out answers from more obvious evidences. In this study the present writer has surveyed present state of stone stupas in Gim-hae area, and classified materials for the Pasa stone stupa referring to old maps, old literatures and glass plates from the Empire of Japan government-general of Chosen building, and studied the original form of the Pasa stone stupa at the same time. 『三國遺事』 「金官城婆娑石塔條」에 따르면 婆娑石塔은 기원전 48년 許黃玉이 고향인 阿踰陀國을 떠나 가야로 올 때 바다의 풍파를 잠재우기 위해 싣고 온 것으로 전해진다. 그 실물은 현재 김해 首露王妃陵 앞 婆娑閣에 안치되어 있는데, 한눈에 보아도 한반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가 갖추어진 일반형 석탑의 모습은 아니다. 게다가 훼손의 정도가 너무 심해서 산길이나 절집에 놓여있는 단순히 돌을 쌓은 돌탑으로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락국의 허황옥과 관련하여 파사석탑은 빼놓을 수 없는 주제로 언급되고 있으며, 김해의 지역사에 있어서도 상징성을 갖는 중요한 유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사석탑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1980년대 향토사학자의 조사에 그치고 있다. 물론 그 까닭은 허황옥의 고향으로 알려진 아유타국의 위치 비정과 그 연대를 비롯하여, 『삼국유사』에 나오는 설화의 불확실성, 그리고 가장 큰 까닭은 석탑이 이미 심각한 훼손으로 원형을 잃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허황옥과 관련된 설화를 벗어나 독립적으로 파사석탑 자체에 주목하여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의 찬자인 13세기 당시 일연이 목격한 탑의 원형을 고찰하였다. 『삼국유사』의 설화에 따르자면 아유타국에서 배에 싣고 왔을 당시의 모습이 탑의 애초의 원형이겠으나, 설화의 불확실성을 차치하더라도 남겨진 6매의 부재를 가지고 현재로서는 그 답을 제시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보다 분명한 것에서 답을 찾아나가는 것이 오히려 설화 속에서만 그 가치를 인정받는 파사석탑의 현실적인 연구방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 글에서 지역적인 배경에 따라 우선 김해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석탑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고지도와 고문헌, 그리고 조선총독부 유리건판을 활용하여 파사석탑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는 동시에 그 원형을 고찰했다.

      • 新羅 竹杖寺址 五層石塔의 樣式과 特徵

        이순영(Lee, Soon-yo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한국고대사탐구 Vol.14 No.-

        구미시 선산에 위치한 죽장사지 오층석탑은 옥개석 낙수면이 계단형으로 조성되어 있는 모전석탑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기단은 일반형 석탑과 같이 가구식기단을 갖추고 있어 주목된다. 또한 인근의 낙산동 삼층석탑 역시 죽장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한 동일계열의 모전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두 석탑은 가구식기단 모전석탑이라는 점에서 신라석탑의 양식변화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석탑이라고 생각되나 그동안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죽장사지 석탑의 양식을 검토하고 기단부 양식에 대해 새로운 복원안을 제시하였으며, 기단부 양식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낙산동 석탑과의 양식비교를 통해 두 석탑의 건립시기 및 모방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죽장사지 석탑의 기단부 양식에 대해서는 현재와 달리 우주와 탱주가 없는 상태였을 것으로 추정한 복원안이 이미 제시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연구성과와 죽장사지 석탑 자체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죽장사지 석탑의 기단부는 우주와 탱주가 별석으로 결구된 가구식기단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상층기단의 각형 2단 받침에 원공이 뚫려있어 기단부 바깥으로 별도의 원기둥을 세우는 특수한 양식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단부 양식은 석굴암 본존불 대좌 중대석, 다보탑, 감은사지 석탑 출토 사리기 등에서도 동일한 조형의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대 遮陽間 외부 기둥을 갖춘 목조건축을 충실히 번안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 이는 당시 신라의 다양한 불교미술 간의 양식공유 및 새로운 조형물에 대한 창의성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죽장사지 석탑은 별석으로 결구한 기단부, 귀틀석 사용, 낙수홈, 옥개받침의 결구상태 등에서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고선사지 석탑 등 8세기 이전 석탑들과 유사성을 보이지만 경사진 하층기단 갑석과 우주가 생략된 탑신부 등 부분적으로 시대하강의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석굴암 본존불 대좌 기단부에서 동일한 조형이 처음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8세기 중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낙산동 석탑은 세부적인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죽장사지 석탑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어 8세기 중엽~8세기 말 사이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낙산동 석탑의 기단부 결구방식이 면석에 우주와 탱주가 모각된 방식이면서 상하층 기단 탱주수가 2:3인 점, 1층 탑신받침이 노출되어 있는 점, 1층 탑신부 하부가 갑석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점 등을 통해 기단부가 후대에 보수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였다. 즉, 죽장사지 석탑은 의성 탑리리 석탑에서 경주의 괴체석 기단을 갖춘 모전석탑으로 이어지는 과도기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이 시기 다양한 양식의 출현과 목조건축의 충실한 번안이라는 측면에서 상층기단부의 특수한 의장요소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낙산동 석탑을 통해 석탑 연구에 있어 후대의 보수로 인해 변형이 있었을 가능성은 없는지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The five-story stone stupa standing at the site of Jukjang Buddhist Temple in Seonsan, Gumi is well known as a stone brick stupa in the category of non-typical stone stupas. It is noteworthy for its post-lintel stylobate like common stone stupas.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near Naksan-dong is also known as a stone brick stupa in the same category that mimicked the five-story stone stupa at the site of Jukjang Buddhist Temple. Even though the two stone stupas are important to shed some illuminating light onto the changing styles of stone stupas in Silla, they have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so far. The investigator closely reviewed the research findings on the stone stupa at the site of Jukjang Buddhist Temple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stone stupa and estimated that the stylobate of the stone stupa must have been a post-lintel stylobate with the both corners(隅柱) and central part(撑柱) constructed as separate stone(別石).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stone stupa had a unique style of separate round columns outside the stylobate with the circle holes(圓孔) in the angular two-tier support in the upper stylobate. The stylobate style of the stone stupa had the same formative intention as the sarira reliquaries excavated in the pedestal of the main Buddha statue of Seokguram(石窟庵), Dabotab(多寶塔), and the stone stupa at the site of Gameun Buddhist Temple. Given that a stone stupa was an adaptation of wooden architecture, such a unique style must have been created by fully adapting the wooden architecture with dual columns in and outside the line in the cases and Chayanggan(遮陽間, a sort of stepped penthouse) of ancient wooden architecture. Although the stone stupa at the site of Jukjang Buddhist Temple has similarities with the stone stupas built before the 8th century such as the five-story stone stupa in Tapri-ri, Uiseong and the stone stupa at the site of Goseon Buddhist Temple, it partially shows the elements of periodic descent such as the inclined Gapseok(甲石) in the lower stylobate and the body with the both corners(隅柱) omitted. However, the same formative structure is found in the stylobate of the pedestal of the main Buddha statue of Seokguram(石窟庵), which means that the stone stopa was built in the middle 8th century. The stone stupa of Naksan-dong copied the style of the stone stupa at the site of Jukjang Buddhist Temple in general, but it lacks orderliness and regularity and is different from it in details, which indicates that it might have been built between the middle 8th century and the former the late 8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its stylobate must have been repaired lat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construction style in the upper stylobate.

      • KCI등재후보

        백제양식석탑의 형성과전개의始發點

        전지혜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4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은 한국석탑의 시원인 동시에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백제석탑이다. 따라서 이 둘의 특징 을 살펴보는 작업은, 넓게는 한국석탑, 좁게는 백제양식석탑을 이해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백제의 뛰어난 건축술은 기록 에도 전하듯이 아비지가 신라의 국가적인 사업인 황룡사목탑의 건립에 초청된 것을 통해서 알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석탑 과 관련된 기술과 양식이 신라에 전파되었음도 짐작된다. 그러나 신라통일을 맞이하여 백제석탑의 양식을 공유하는 석탑 들이 일순간에 단절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화와 예술이 계승 발전된다는 측면에서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현재 학계에서는 여타의 백제지역 석탑들을 모두 고려시대 건립된 백제계 석탑이라는 틀로 규정하여, 일률적인 편년 아래 두고 있다. 등장요인으로는 불교의 대중화, 지방 호족의 지원, 문화의 복고적 경향 등을 들고 있는데, 과연 이것만으 로 백제양식석탑이 약 300년간의 공백을 깨고 한 순간에 등장할 수 있었는지는 확신하기 어렵다. 물론 경주지역처럼 활 발하지는 않았지만, 백제양식석탑이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개의 시발점에 초 점을 맞추어, 백제양식석탑이 미륵사지와 정림사지 석탑을 통해서 형성되고, 그후 왕궁리 석탑을 통해서 전개가 시작되었 음을 고찰해 보았다. The stone stupas of the Mireuk Temple Site and Jeongnim Temple Site were the beginning of Korean stone stupa and the unique ones stemming from the Baeje period. Therefore, the work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stone stupas would give us a basis for understanding Korean stone stupas in a large scale and Baekje-style stone stupas in a narrow sense. As shown in some records, the excellent architectural skills of Baekje could be known by the fact that Abiji was invited to the building of Hwangryong Wooden stupa, one of the national undertakings of Shilla and the skills and styles related to stone stupas were thought to be disseminated in this process. However, it has not been very convincing that the stone stupas with Baekje styles were disconnected in an instant with the unification of Shilla, in terms that culture and art would inherited and developed. The current academic circle set a frame and defined all these types of stone stupas as Baekje-system stone stupas built in Goryeo period and put them in a uniformly chronological orde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support of regionally powerful clans and cultural revival were suggested as the factors of their appearance, but it seemed difficult to be assured that these led Baeje-style stone stupas to reappear in a moment by breaking the gap of about 300 years. Of course, it has not been active in Gyeongju area, but they have greatly influenced the stone stupas of Shilla;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consider that they were developed but limited to certain areas.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rting point of such development and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Baeje-style stone stupas through the stone stupas of the Mireuk Temple Site and Jeongnim Temple Site and their subsequent development through Wanggung-ri Stone Stupa.

      • KCI등재

        慶州淨惠寺址十三層石塔의 樣式과 特徵

        李順英 동악미술사학회 2012 東岳美術史學 Vol.0 No.13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이형석탑으로 잘 알려진 정혜사지 석탑은 1층 탑신의 높이를 크게 설정하고 밀첨식으로 13층의 탑신을 올린 양식으로 국내에서는 유일한 양식이다. 이처럼 특이한 조형으로 인해 그동안 주목받아 왔지만, 양식고찰 및 건립시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다. 이에 현재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정혜사지 석탑의 양식 연원과 특징, 건립시기 등을 살펴보고 정혜사지 석탑의 미술사적 의의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정혜사지 석탑의 양식적 특징은 1층 탑신부는 목조건축적 특징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으며 1층이 강조되고 13층의 밀첨식 양식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양식의 연원은 중국의 다층 밀첨식 목탑을 따른 것으로 생각되며 현존하는 밀첨식 고층 목탑인 일본 단잔진자 13층 목탑을 통해서 양식 연원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당과 연관있는 사찰인 신라의 망덕사에도 13층 목탑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미루어 정혜사지 석탑은 밀첨식 다층 목탑을 석탑으로 번안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定慧’의 사명 역시 불교에서 禪定과 智慧를 어우르며 개달음을 얻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중요한 개념임을 통해 정혜사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13층의 층수 역시 단순한 다층의 개념이 아니라 여래를 상징하는 숫자로서 중요한 개념이다. 한편, 정혜사지 석탑이 망덕사지 목탑과 같이 당의 탑파 양식으로 인식되었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며『동경통지』의 기록을 통해 정혜사지 석탑 역시 당에서 건너온 사람들에 의해 당의 탑파 양식이 전해졌으며 자생적으로 신라의 장인에 의해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재 정혜사지 석탑의 기단부는 원형을 알 수 없는 상태이나, 동일 양식을 보이는 중국과 일본의 탑파와 비교하여 옥개석보다 폭이 좁은 단층의 석조기단부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정혜사지석탑의 건립시기는 그동안 8~9세기 무렵으로 알려져 왔으나『, 동경통지』의 정혜사 창건 기록과 1층 탑신부에서 별석으로 결구하는 방식, 목탑을 충실히 번안한 고식을 보이는 점, 귀마루 표현 및 귀마루 끝부분이 생략된 점, 부재의 정연한 치석 상태 등을 통해 8세기 후반 경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혜사지 석탑은 신라의 불교미술이 당의 불교미술과 연관관계가 있었음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현존하는 유일한 석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백제양식석탑으로 알려진 김제 귀신사 삼층석탑과 공통된 양식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때, 백제양식석탑의 건립연대를 재검토해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is a representative deformed stupa of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set the height of the underpinning high and piled up 13-story in density type. This is the unique style in Korea. Though it takes attraction for its unique style, no review on style and foundation period were studied.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style origin, feature and founding perio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peculated the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stone stupa. As to style, it reflects wooden structural character in the underpinning in the 1st story with dense piling style of 13-story. Such looks to be originated from the multi-story wooden stupa in China and the style origin can be found in the 13-story wooden stupa in Danjanjinja of Japan, an existing dense piling type wooden stupa. And Mangdeoksa Temple, a temple related to Tang once had 13-story wooden stupa, which indicates that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was mad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dense piling type multi-story wooden stupa. The character of Jeonghyesa temple was indirectly figured out as ‘Jeonghyesa’ is an important concept to get awareness in Seonjeong and Wisdeom. And the 13-story is not a simple number, but an important concept indicating Sakyamuni. Meanwhile, it is thought that the stone stupa of Jeonghyesa temple site was recognized as the stupa style of Tang like the wooden stupa of Mangdeoksa temple sit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stupa style of Tang seemed to be received by people from Tang according to the record of 『Donggyeongtongji』and the stupa was found by artisans of Silla. Currently, the stylobate of the stone stupa was not recognized for its original form but it is estimated that it must have narrow single-story stone stylobate compared with the stupa in Japan or China. And the founding period was known to be 8~9 centuries but it is estimated to be found in the late 8 century considering the foundation record of Jeonghyesa in 『Donggyeongtongji』, the structural method of 1st story underpinning with separate stone, an ancient style of applying wooden stupa, an abbreviation of Guimaru and edge of Guimaru, tidy pile up of subsidiary material etc. Finally, it is significant that it is the only stone stupa showing direct relation of arts in Silla with arts in Tang. And, considering it has common style with three-story stone stupa in Guisinsa temple in Gimje which is a Baikje style stupa, it gives a clue to review the founding period of Baikje style stone stupa.

      • KCI등재

        신라 香城寺址 3층석탑의 양식 특징과 건립시기

        이순영(Lee, Soon-young)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5

        강원지역에서 신라석탑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석탑 가운데 하나인 香城寺址三層石塔은 樣式과 結構方式에서 9세기 석탑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향성사지 삼층석탑에서 제일 눈에 띄는 특징은 상하층 기단부 탱주의 수이다. 신라 석탑의 탱주 수는 상층기단의 탱주 수가 하층기단의 탱주 수보다 많은 경우를 찾아 볼 수 없으나, 향성사지 삼층석탑이 유일한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기단부 결구방식은 귀틀식 결구방식을 고수하고 있어 황복사지 삼층석탑에 기본을 두고 변화한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탱주 수의 변화는 신라 석탑 기단부 결구방식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 과도기적인 모습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상층기단 갑석 상면에서 別石탑신받침을 놓기 위한 홈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초층 탑신받침은 별석으로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향성사는 『華嚴經』의 曇無竭菩薩信仰의 영향을 받은 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관련 기록을 검토한 결과 800년 이전에 존재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향성사지 삼층석탑의 결구방식 및 양식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향성사지 삼층석탑은 9세기 보다 8세기 후반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향성사지 삼층석탑의 건립시기는 늦어도 8세기 후반까지 올려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향성사지 삼층석탑의 결구방식은 경주 문화권에 속한 지역에 건립된 석탑들과 동일한 현상을 보이고 있어 경주지역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별석 탑신받침 역시 경주 지역에서 가장 많이 조성된 방법이라는 점도 이를 반영해 준다. 이는 신라석탑의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그동안 9세기가 되어서야 신라석탑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문화 현상이 일어나기 이전부터 이미 문화 전파의 움직임이 있었다는 것을 향성사지 삼층석탑을 통해서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석탑의 건립에 지역세력의 경제적 후원이 뒷받침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당시 명주의 강력한 세력을 갖고 있던 경주 출신의 김주원 가계가 유력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in Hyangseongsa temple, a stone stupa that shows the form of Silla stone stupas well in the Gangwon area, shows differences with the stone stupas of the 9th century in terms of sty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 most notable characteristic of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in Hyangseonga temple is the number of stylobate shores. There are not so many cases in which the number of shores on the upper stylobate exceeds the number of shores on the lower stylobate in Silla temples but the case of the three-storied Hyangseongsa temple is the only one. Also, the stylobate construction method is a log-style construction method so we can see that this is a change made based on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wangboksa temple. And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hores occurred from the transitional phase showing the change process of the stylobate construction method of Silla stone stupas. Also seeing that there is a furrow to lay a separate stone stupa support on the surface of the carapace stone of the upper stylobate, the initial stone stupa support may have been composed of a separate stone. Meanwhile, it is assumed that Hyangseongsa temple must have been a temple that has been affect by the Dharmodgata Buddhist satin religion of Hwa-eomgyeong(華嚴經)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relevant records, it is thought to have been existed 800 years ago.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yangseongsa temple along with this,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yangseongsa temple shows characteristics of stone stupas of the late 8th century rather than the 9th century so it is thought the construction period must be late 8th century at the latest. Eventuall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yangseongsa temple shows the same phenomenon as stone stupas that were established in areas included in the cultural area of Gyeongju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direct influence from the Gyeongju area. Also, the fact that separate stone stupa support is a method that was made the most in the Gyeongju area also reflects this. Viewing this in terms of the proliferation of Silla stone stupas, there is a significant meaning in art history in the fact that we are able to see through the three-storied stone stupa of Hyangseongsa temple that there already was a movement towards the cultural spread before the cultural phenomenon that Silla stone stupas only started to spread nationally during the 9th century. Lastly, it is assumed that there must have been economic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stupas from the regional influence. Kim Ju won(金周元), a local from the Gyeongju area that had strong influence in the then, Myeongju, is thought to have been the most influential.

      • KCI등재

        僊鳳寺址七層石塔의 搬出 旅程과 美術史的 考察

        오호석 한국문화사학회 2020 文化史學 Vol.0 No.53

        This study assumed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7-tier Stone Pagoda on the Seonbong Temple Site in Chilgok("Stone Pagoda") and the taking-out process of the Stone Pagoda by tracing its former owners. It reviewed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7-tier Stone Pagoda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art history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Pagoda and the creation period. The first owner of the Stone Pagoda had been known as Jang Taek Sang(1893~1967). However, based on the investigation materials conducted by Ogawa Geigichi(小川敬吉, 1882~1950)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revealed that Wada Tsuneichi(和田常市, 1863~1928) first owned the Stone Pagoda. That is, unlike what has been know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tone Pagoda was not moved by Jang Taek Sang in person from the site of Seonbong Temple but purchased or transferred from one of the Wada’s clan(Tsuneichi, Shunichi, or Minoru) who owned the Stone Pagod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that Jang Taek Sang owned it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on August 15, 1945. As for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7-tier Stone Pagoda, it was assumed that the site of the Seonbong Temple was the original location, based on som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records of Heo Hoon(1836~1907) and Jang Ji Yeon(1864~1921) who visited Seonbong Temple site in the latter of the 19th century and recorded a "damaged pagoda", "Budotap(pagoda where monk's crystals gained from cremated remains)" or "Seokbudo(stone Budotap). It has been said that a 7-tier stone pagoda was excavated in the owner-less temple site in Sungo-r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7-tier Stone Pagoda on the Seonbong Temple Site has very impressive decorations such as ladder-like linkage structure of the pedestal, lotus pattern on the base of the roof stone of the pagoda, the decorative patterns of Cheongae Yumak(天蓋帷幕) which looks like pleat curtains on the eaves of the roof stone in each tier. Among them, the lotus patterns on the base of the roof stone had been tried in diverse forms in the Unified Silla Era and started being used in the Goryeo Kingdom period in the trend that stone pagodas had multiple tiers. The Cheongae Yumak decoration on the eave of the roof stones was the characteristic method intensely shown in the stone relics built in the period ranging from the latter 11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It is the element shown on the pillars of the stupas, which were popular from the latter 10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in the Liao Dynasty. Therefore, we can confirm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country with the Liao Dynasty through the 7-tier Stone Pagoda on the Seonbong Temple Site. The creation period of the Stone Pagoda was assumed to be around the latter 11th century or the early 12th century.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could reveal the new facts by reviewing again the relevant materi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garding the taking out process of the 7-tier Stone Pagoda from the Seonbong Temple Site and its owners. Most of all, through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7-tier Stone Pagoda on the Seonbong Temple Sit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grasped the aspects of artistic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Goryeo Kingdom and the Liao Dynasty and the pattern trends of stone arts of Korea. 이 글은 ‘傳 칠곡 선봉사지 칠층석탑’의 소장자들을 추적하여 석탑의 원위치와 반출 경위를 추정하고, 칠층석탑에 보이는 조형적 특징을 검토하여 석탑의 성격과 건립시기 등 미술사적인 의의를 고찰한 논문이다. 먼저, 석탑 최초 소장자는 장택상(1893~1967)으로 알려져 왔으나 일제강점기 오가와 게이기치(小川敬吉, 1882~1950)의 조사 자료에 따라, 와다 츠네이치(和田常市, 1863~1928)가 처음 소장했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알려진 것처럼 석탑은 장택상이 선봉사지에서 직접 옮겨온 것이 아니며 일제강점기에 석탑을 소유했던 홍엽정의 和田氏 가문의 세사람(常市, 俊一, 稔)중 한사람으로부터 매입, 또는 양도받았거나 8ㆍ15해방 직후에 점유했을 가능성이 높다. 칠층석탑의 원위치와 관련해서는 19세기 후반 선봉사지를 방문하였던 허훈(1836~1907)과 장지연(1864~1921)이 ‘破塔’, ‘浮屠塔’, ‘石浮屠’ 등으로 기록한 점, 일제강점기 주인 없는 숭오리사지에 칠층석탑이 출토되어 있었다는 전언과 선행 연구 결과 등으로 볼 때, 선봉사지가 칠층석탑의 원위치로 추정된다. 선봉사지 칠층석탑은 기단면석의 사다리물림식 구성과 옥개석 받침단의 연화문 장식, 그리고 옥개석 처마부의 天蓋帷幕 장식이 매우 인상적인 탑이다. 이 가운데 옥개석 받침부에 연화문을 장식하는 수법은 통일신라시대 다양한 모습으로 시도되었다가 고려시대에 들어와 석탑이 다층화되는 경향 속에서 채용된 것으로 이해된다. 다음으로 옥개석 처마의 천개유막 장식은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에 건립된 석조유물에서 집중되어 나타나는 특징적인 수법이다. 이는 요나라에서 건립한 탑파의 탑신 기둥 장식 등에서 보이는 요소로서, 시기적으로는 10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초반까지 유행하였다. 따라서 선봉사지 칠층석탑에서 요나라와의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석탑의 건립 시기는 11세기 말엽에서 12세기 초반경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그동안 알려져 왔던 선봉사지칠층석탑의 반출과 소장자에 대해 일제강점기 자료를 토대로 재검토하여 새로운 사실들을 밝혀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선봉사지칠층석탑에서 보이는 조형적 특징을 통해서 고려와 요나라와의 미술 교섭의 양상과 우리나라 석조미술의 樣式史上 하나의 경향을 파악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파사석탑 고찰 - 가락국과 아유타국의 해양문화교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이거룡 ( Lee Geo-ly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4

        본 연구의 목적은 파사석탑(婆娑石塔)을 중심으로 고대 가락국(駕洛國)과 아유타국(阿踰陀國)의 해양문화교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파사석탑은 가야불교 또는 허황옥(許黃玉)의 출자(出自)문제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왜냐하면 파사석탑은 『삼국유사』에 전해질 뿐만 아니라, 그 실물이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파사석탑은 고대 가락국과 야유타국 사이의 직접적인 문화교류를 보여주는 가장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파사석탑의 아유타국 유래를 규명하기 전에, 우선 『삼국유사』에 묘사된 파사석탑과 현재 허왕후릉 앞에 있는 파사석탑의 일치여부를 살펴보았다. 외양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그럼에도 현재 파사석탑의 원형은 『삼국유사』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A.D.48년 전후 인도의 스투파(stupa)와 석굴사원에서 파사석탑의 원형을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파사석탑의 원형을 스투파 상부의 평두(平頭, harmika)와 관련지어서 역피라미드형의 파사석탑을 제시한 기존의 연구결과는 평두의 본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스투파에서 평두의 의미로 볼 때, 그것은 하나의 독자적인 탑이 될 수 없으며, 또한 인도불교사를 통하여 역피라미드형의 불탑이 조성된 예는 없다. 현재 파사석탑 돌(石)의 재질로 판단할 때, 그 돌은 본래 탑(塔)의 조성을 위한 돌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어떤 돌이 탑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으려면, 무엇보다도 그것은 전체적으로 균질(均質)이어야 한다. 석질이 균일하지 않다면, 정교하게 다듬기 어렵고 또한 오래 보존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파사석탑의 돌은 전혀 균질이 아니다. 탑신을 구성하는 각 돌은 단단한 부위와 무른 부위가 뒤섞여있는 각력암(角礫岩, breccia)이다. 따라서 파사석탑의 돌은 처음부터 탑을 위한 돌이 아니었다고 보는 것이 더욱 자연스럽다. 본 연구에서는 파사석탑의 돌이 본래 배의 평형석(平衡石, ballast stones)으로 들어왔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래 허황옥이 타고 온 배의 평형석으로 가락국에 들어온 돌이 나중에 석탑으로 조성되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marine cultural exchange between ancient Garak Kingdom of Korea and Ayuta Kingdom of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Pasa Stone Pagoda which is said to have been brought to Garak Kingdom by Indian princess Heo Hwang-ok. Pasa Stone Pagoda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relation to the matter of Gaya Buddhism and the birthplace of Heo Hwang-ok. Because Pasa Stone Pagoda is not only recorded in the Samguk Yusa, but it is presumed that the real remains. The Pasa Stone Pagoda is the most concrete example of direct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ancient Korea and India. The appearance of Pasa Stone Pagoda in front of the tomb of Indian Queen Heo Hwang-ok is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descriptions of the Samguk Yusa. However, it seems impossible to trace the prototype of the Pasa stone pagoda at the stupas and cave temples of India around Around 48 CE.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suggesting the inverted pyramidal type Pasa stone pagoda in relation to harmika, the upper part of the Stupa, are probably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stupa. From the viewpoint of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tupa, harmika can not be an independent pagoda, and there is no example of a reverse pyramid-shaped pagoda through Indian Buddhism. Judging by the material of the stones of Pasa stone pagoda, it seems that they were not originally stones for building a stone pagoda. In order for any stone to be used as a material for a stone pagoda, it must, above all, be homogeneous throughout. If the stone quality is not uniform, it can not be finely elaborated and can not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However, the stones of Pasa Stone Pagoda are not homogeneous at all. Each stone constituting the pagoda is a breccia with a hard part and a loose part. Therefore, it is more natural to see that the stones of Pasa stone pagoda was not stones for a stone pagoda at first.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stones of Pasa stone pagoda originally came into Garak Kingdom as ballast stones of the ship of Indian Princess Heo Hwang-ok. The stones that originally came into the Garak country as ballast stones of the ship were later made into stone pagod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