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전달 체계의 인식틀에 대한 연구

        김춘택(Kim, Choon-Taik) 한국복지행정학회 2012 복지행정논총 Vol.22 No.2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내용은 어떠한가? 2.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인식틀은 무엇인가? 첫째,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내용은 (1) 사회복지정책과 체계 (2)특성 (3)효과 (4)평가 (5)사회복지전달문제이다. 둘째,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인식틀은 2가지 축을 지니고 있다. 하나는 체계지향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복지전달정도이다. 사회복지전달정도는 높고 낮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계지향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이다. 자본주의지향은 독점자본주의와 순수자본주의로 나누어지고 사회주의지향은 페비언주의와 맑시즘으로 나누어 진다. 이와 같이 볼 때, 우리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인식틀이 있으면, 복지전달체계를 잘 인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어떠한 사회과학 현상을 분석하든지간에 분석틀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is the contents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2. What is the cognition framework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irst, the contents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re (1) social welfare policy and system (2) characteristics (3) effect (4) evaluation (5) problem of social welfare delivery. Second, the cognition framework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has two axes. One is system orientation, the other is social welfare delivery degree. Social welfare delivery degree are high and low. System orientation is capitalism and socialism, Capitalism orientation is monopoly capitalism, pure capitalism, Socialism orientation is Fabianism, Marxism. Like this, if we have the cognition framework of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e can recogniz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well. The social scienc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hatever we analyze social science phenomena, we should have analysis framework

      • 대학생의 위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춘택(Kim, Choon-Taik) 한국복지행정학회 2014 복지행정논총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 후 드러나는 현상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 위기의 현상은 어떠한가 2) 위기의 순간 그들의 변신, 중요한 타자는 무엇이며 적응양식은 무엇인가 3) 그에 따른 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이다.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하여 볼 때 위기에 대해 대학생들이 느끼는 현상의 핵심주제는 ‘믿기지 않는 현실에 무력감과 답답함과 원망 분노를 느끼고, 점점 잊혀져가는 현실에 체념하지만 그들을 위해 무언가를 하려는 의지’로 요약된다. 중요한 타자는 사회적 약자를 도우려는 의지를 중심으로 한 사회복지의식이다. 대학생들은 전환(turning point)을 통해 큰 변신(alternation)을 했다. 대수롭지 않을 것이라는 사고가 엄청난 사고라는 사실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적을 바라는 마음과 시간에 따른 현실에 대한 체념이다. 기적을 바라지만 해결되지 못하는 현실에 체념하는 것은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한 적응전략이다. 사회과학적 함의는 일상적인 문제를 넘어서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일반치료이론보다 위기에 대처하는 개입방법이 필요하다. 그러한 치료를 위해서는 현상에 대한 본질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explain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risis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the psychological phenomenology on Sewolho. The questions of study are as followings. 1. What is crisis’ psychological phenomenology? 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The core phenomenon in crisis can be summed up as ‘though they feel powerlessness, stuffiness, resentment, anger about unbelievable reality, and giving up their will, they have their will to do something for victims’. Important others is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to help the social weakness. University students have alternation through three turning points. Unbelievable accident, mind to hope miracle, and giving up the reality. Though they hope miracle, giving up their reality is the strategy to adapt and live in reality. Social welfare implication is that the fact that emergency needs emergent therapy above common therapy, and we need the essential analysis on phenomenology to treat crisis clients and survivals.

      • 일상생활의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생을 중심으로 -

        김춘택(Kim, Choon-Taik) 한국복지행정학회 2013 복지행정논총 Vol.23 No.1

        Everyday life is the world in which the peace and the anxiety intersect continuously. The anxiety of existentialism focuses on explaining the origin of anxiety, but the anxiety of social science focuses on solving the anxiety itself.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contents of every day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 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cognition frame on anxiety? 3. What is the method to solve anxiety 4.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s? Most of anxieties are included in DSM’s Axis 1 Clinical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nxiety cognition frame must b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kinds and treatment of anxiety, the solving treatments must be treated in physical, behavioral, emotional, mental dimension.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 of this treatise is that scientific treatment must be expanded to post-science such as spiritual treatment, alternative scientific method according to knowledge development. 일상생활은 평온함과 불안이 수시로 교차하는 세계이다. 현대인은 많은 불안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실존주의 철학의 불안은 불안의 근원을 밝히는 데에 주안점을 두지만, 사회과학의 불안은 불안을 해소하는 차원에 그것을 둔다.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일상생활의 불안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불안의 현상에 대한 원인을 현상적으로 서술하여 불안의 본질을 파악하고 현재 대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 겪는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1) 대학생의 불안의 내용은 어떠한가? 2) 대학생들의 불안의 인식틀은 무엇인가? 3) 불안해소 방안은 무엇인가? 4)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대부분의 불안내용은 DSM의 Axis 1의 임상적 장애(Clinical Disorders) 중 불안 장애(anxiety disorders)에 속하며, 불안인식틀은 불안의 종류와 처방에 따라 재분류해야 한다. 불안해소방안은 신체적, 행동적, 정서적, 정신적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 사회과학적 함의는 인식들의 확산과 더불어 치료방법의 확대, 즉, 영성치료, 대체의학 등의 방법으로 치료방법을 과학적 방법에서 탈과학적 방법으로 확산시켜야 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안동 가일의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

        김춘택(Kim, Choon-Ta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안동가일마을의 일상생활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며 드러나는 현상을 해석학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1) 안동가 일마을주민의 일상생활은 어떠한가 2) 그들의 중요한 타자는 무엇이며 적응양식은 무엇인가 3) 그에 따른 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이다. 연구결과 안동가일주민은 사회주의독립운동가 권오설의 記蹟碑제막을 기점으로 한번 큰 변신을 한다. 또한 가일주민의 중요한 타자는 권오설과 같은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였다. 이들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나타난 현상을 요약하면 ‘일상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외적 환경에도 지켜온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유지하기 위한 자아정체감 형성과 적응력’으로 서술할 수 있다. 하지만 과거 전통적인 동성공동체는 와해되어 가지만 지속, 적응을 통해 동성마을 공동체는 유지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사회과학적 함의는 한국인의 가족공동체와 친족공동체의 경우 가족공동체는 더욱 강화되고 친족공동체는 약화되지만 친족공동체를 영속적으로 이어가려는 의식이 여전히 중요한 삶의 구성요소라는 사실이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explain Andong Gail"s daily life phenomena as hermeneutics. The questions of study are as followings. 1. What is the contents of every day"s life in Andong Gail? 2. What is Andong Gail resident"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One alteration i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Kwon Oh Sul"s monument. Gail"s significant other was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like Kwon Oh Sul. The core phenomenon in every day"s life in Gail can be summed up as "the formation of identification and adaptation to sustain self life basement in spite of various outer environment in socialist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born village. Although traditional consanguine village collapses, consanguine village sustains and develops through split, disappearance, continuance, and adaptation. Social welfare implication is that the fact that although family community strengthens and clan family weakens in family community and clan family, the consciousness to develop clan community continuously is the core of the consanguine village life elements.

      • 대학생의 일상생활의 현상학적 해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춘택() 한국복지행정학회 2012 복지행정논총 Vol.2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 대학생의 일상생활의 내용은 어떠한가? 2) 대학생들의 태도변경, 중요한 타자, 적응전략은 무엇인가? 3)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주관적 현실의 변경과 유지는 대학에 입학했다는 사실과 매일의 일상생활을 산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대학생의 중요한 타자는 다음과 같다. 하나는 친구이며, 다른 하나는 자본주의이다. 그의 적응 스타일은 그가 자본주의를 내면화해야 하는 것이다. 대학생의 일상생활에 있어 핵심적인 현상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간극에도 불구하고 꿈을 찾아가는 삶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의 사회복지적 함의는 일상생활의 위대함이란 인간적인 삶을 살기 위하여 스스로 매일의 일상생활을 해석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is the contents of every day life of university student ? 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Alternation and maintenance of subjective realities is to recognize he entered the university and lives every day life.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 others are as followings. One is his friends, the other is Capitalism,. His adaptation style is that he should internalize Capitalism,. Core phenomenon in every day life of university student can be summed up as ’ life to search for dream in spite of many gaps between realities and dreams.’ In spite of this fact,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 of this treatise is that greatness of every day life is to get ability to interpret every day life for himself in order to live human life.

      • KCI등재

        1920년대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김춘택(Kim, Choon-Ta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2 No.-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권오설의 자료에 나타난 일상생활의 내용은 무엇인가? 2.권오설의 일상생활에 나타난 ‘변신’(alternation),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와 적응전략은 무엇인가? 3.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권오설은 두 번 큰 변신을 한다. 한번은 자신의 경제적 문제와 민족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주의 사상을 내면화한 것이고 다른 한번은 투옥된 후 감옥생활을 하면서 가족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낀 것이다. 권오설의 중요한 타자는 가족이었다. 감옥이라는 비일상적인 상황에서 일상을 유지하면서 나타난 현상은 ‘가족구성원으로서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한 어쩔 수 없음과 안타까움’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현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한국인은 가족공동체와 친족 공동체라는 공동의식이 여전히 중요한 삶의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사회주의의 혁명이나 자본주의의 소외극복 보다는 소그룹활동, 협동조합 활동의 자조를 통한 인간성과 가족공동체 회복도 하나의 사회복지의 대안이 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What is the contents of every day’s life? 2.What is Kwon Oh Sul’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When we study every day’s life in japanese colony, we need to analyze every day’s life in japanese colony by not only indifference, evasion but also resistance, self-help, adaptation. Kwon Oh Sul made two alterations. One was that he internalized socialism to solve economic and national question, the other was that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during the every day’s life in the prison. Kwon Oh Sul’s significant other ws family. Kwon Oh Sul’s adaptation style was that he not only ingested physical nutrition by borrowing money but also filled his knowledge needs by reading the books. His core phenomenon in every day’s life in the prison can be summed up as regret and embarrassment because of not doing his duty as the member of family. Social welfare implication is that we need to analyze every day’s life in japanese colony by not only indifference, evasion but also resistance, self-help, adaptation, family was the center of every day’s life in Korean life. And social welfare alternative was to recover humanity and community by small group and corperation activity rather than by socialism revolution and alienation overcome of capitalism. And a social worker needs to have the ability to interpret client’s past experience phenomena.

      • KCI등재

        [논문]1920년대 일상생활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 권오설의 옥중서신을 중심으로

        김춘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2 No.-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What is the contents of every day’s life? 2.What is Kwon Oh Sul’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When we study every day’s life in japanese colony, we need to analyze every day’s life in japanese colony by not only indifference, evasion but also resistance, self-help, adaptation. Kwon Oh Sul made two alterations. One was that he internalized socialism to solve economic and national question, the other was that he real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during the every day’s life in the prison. Kwon Oh Sul’s significant other ws family. Kwon Oh Sul’s adaptation style was that he not only ingested physical nutrition by borrowing money but also filled his knowledge needs by reading the books. His core phenomenon in every day’s life in the prison can be summed up as regret and embarrassment because of not doing his duty as the member of family. Social welfare implication is that we need to analyze every day’s life in japanese colony by not only indifference, evasion but also resistance, self-help, adaptation, family was the center of every day's life in Korean life. And social welfare alternative was to recover humanity and community by small group and corperation activity rather than by socialism revolution and alienation overcome of capitalism. And a social worker needs to have the ability to interpret client’s past experience phenomena.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권오설의 자료에 나타난 일상생활의 내용은 무엇인가? 2.권오설의 일상생활에 나타난 ‘변신’(alternation), 중요한 타자(significant other)와 적응전략은 무엇인가? 3.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권오설은 두 번 큰 변신을 한다. 한번은 자신의 경제적 문제와 민족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주의 사상을 내면화한 것이고 다른 한번은 투옥된 후 감옥생활을 하면서 가족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낀 것이다. 권오설의 중요한 타자는 가족이었다. 감옥이라는 비일상적인 상황에서 일상을 유지하면서 나타난 현상은 ‘가족구성원으로서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한 어쩔 수 없음과 안타까움’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현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한국인은 가족공동체와 친족공동체라는 공동의식이 여전히 중요한 삶의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사회주의의 혁명이나 자본주의의 소외극복 보다는 소그룹활동, 협동조합활동의 자조를 통한 인간성과 가족공동체 회복도 하나의 사회복지의 대안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생활 현상의 해석에 관한 연구

        김춘택(Kim, Choon-Ta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안동대 재학생의 일상생활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며 드러나는 현상을 해석학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것이다. 1) 안동대 재학생의 일상생활은 어떠한가 2) 그들의 변신, 중요한 타자는 무엇이며 적응양식은 무엇인가 3) 그에 따른 일상생활의 사회과학적 함의는 무엇인가이다. 대학의 일상생활은 대학생활에 적응하면서 사후의 세계에 대해 나름대로 결론을 내리면서 생활하는 것이다. 대학생활에 중요한 타자들은 정보화시대에 자기가치관을 중심으로 교제하는 가족, 친구, 파트너 등이다. 적응전략은 취업준비하기, 자아정체감 형성하기, 지역문화 다시 발견하기, 새로운 희망발견하기 등이다. 안동대 재학생이 겪는 일상생활의 핵심주제는 ‘일상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생활세계의 현상을 재해석하여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가는 적응력’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일상생활의 현상이 지니는 사회과학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은 르페브르(Lefebre)가 주장하는 또 다른 생동적임(the lived), 계기(moments)가 될 수 있다. 둘째, 안동지역대학생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유교, 식민지 독립운동, 사회주의, 자본주의는 미래의 세계화 속의 민족주체성과 민족공동체회복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셋째, 안동대학재학생들은 하이데거가 주장하는 세계-내-존재로서 실존의 폭을 세계로 확대하며 생활하고, 가다머의 주장대로 생활세계의 지평융합(Verschmelzungshorizont)을 확대함과 동시에, 프랑클이 주장하는 삶의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서 일상생활을 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treatise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contents of every day life of university student? 2. What is university student’s alternation, significant other and adaptation strategy? 3. What is social science’s implication? Every day life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 is to live his everyday life adapting university activities and concluding his post mortem life. University student’s significant others are family, friends and partner with whom he correspond with self-value in information age. His adaptation strategy is to prepare job, to make his self-identity, to find local culture, and to find new hope. Core phenomenon subject in every day life of university student can be summed up as’ adaptability to live his life independently sustaining his every day life and reinterpreting various everyday life phenomena. Social scientific implication of everyday life phenomena is as followings. 1. Various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are Lefebre’s the lived and moments. 2. Confucianism, independence movement in colony age, socialism, capitalism Andong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in everyday life are the clue of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 unification in the future. 3. Andong university students live their life by enlarging width of world-in-existence into the world as Heidegger, enlarging horizon fusion(Verschmelzungs-horizont) of everyday life as Gadamer, and reinterpreting life’s implication as Frank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