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중엽 사근도(沙斤道) 역인(驛人)의 호구(戶口) 구성과 실태 - 『사근도(沙斤道) 형지안(形止案)』 의 분석을 중심으로 -

        우인수 ( Woo In-soo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본 논문은 새롭게 발견된 18세기 중엽인 1747년(영조 23)의 『사근도 형지안』을 분석하여 역에 속한 역인의 구성과 실태를 살핀 글이다. 『사근도 형지안』은 현존하는 4개의 역도 형지안 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전체가 완전하게 남아있는 형지안이어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현존하는 김천도와 송라도 형지안과는 비슷한 시기라는 점에서, 자여도 형지안과는 비슷한 지역이라는 점에서 좋은 비교 대상이 된다는 점도 자료가 가지는 큰 장점이다. 『사근도 형지안』은 소속 15개 역별로 작성되어 있는데, 사근역의 경우가 규모가 가장 커서 역인의 수가800명을 넘었고, 그 아래에 500명대의 안간역, 400명대의 유린역, 300명대의 정수역의 순이었다. 그 아래 100명대의 역이 5개역, 100명 이하의 역이 6개역이었다. 15개 역의 역인 총수는 3,468명이었다. 여기에 보인 460명을 더할 경우 3,928명이었다. 보인을 제외할 경우 자여도의 경우와 거의 비슷한 규모였다. 각 역의 역인은 호로 묶여 파악되고 있었다. 이때의 호는 역인 파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혈연에 기초하여 만든 호였다. 사근역의 경우 165개 호 가운데 40개 호의 호수가 사망자이거나 도망자였으며, 도망자중에는 100세가 넘는 자도 3명이나 있었다. 그리고 역인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역리의 경우 직접 역을 지지 않는 여성인 역녀가 기재 대상에서 아예 제외되어 있었다. 따라서 호를 통한 가족의 여러 가지 상황파악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결국 형지안 작성의 주된 관심은 驛役을 지는 정확한 역인의 실태 파악에 있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역인의 특징을 밝히는 데 집중하였다. 역리의 역별 구성과 규모, 연령대 및 연령별 분석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다. 특히 역노비의 경우는 남녀가 모두 기재되어 있는 자료의 특성상 역리의 경우보다 더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였다. 성비의 분석, 출자별 분석, 혼인의 양태 등이 그것이다. 나아가 분석의 결과를 김천도, 송라도, 자여도의 경우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근도의 특징을 더욱 드러낼 수 있다. 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일수와 보인의 모습과 실태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 which is newly discovered material that was written in 1747 (the 23rd year of King Yeongjo`s reign) in the mid-18th century, and examine the composition and reality of station workers. The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 holds its significance as one of the four remaining census registers of stations and even greater importance as the only census register with all of its contents kept intact. It also has a huge advantage of being a good object of comparison as it addresses a similar period to the census registers of Kimcheondo and Songrado and covers a similar area to the census register of Jayeodo. The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 contains the data of 15 station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tations, Sageun Station was the biggest and had over 800 station workers, followed by Angan Station with about 500 stations workers, Yurin Station with about 400 station workers, and Jeongsu Station with about 300 station workers in that order. There were five stations with approximately 100 station workers and six stations with fewer than 100 station workers. The total number of station workers at the 15 stations was 3,468. Their workforce reached 3,928 when 460 carriers were added to them. Sageundo was a similar size to Jayeodo when the carriers were not included. The stations` workers at each station were surveyed in terms of household. There were 165 households within the jurisdiction of Sageun Station, and the head was dead or escaped in 40 of them. There were even three people that were 100 years old or older among the escapees. Accounting to the majority of station workers, the official clerks had Yeokneyo, which refers to women charged with no direct duty of Yeok, excluded from their census regist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figuring out various situations involving families based on households. The major concern of the census register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station workers charged with the duty of station Yeok accurately. Taking that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shedd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station workers and identified the composition and size of official clerks by the st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alysis by age groups. A more diverse analysis of station servants was more possible than official clerks at the station since the material contained the data of both male and female station servants. They include analysis by gender, birth condition, and marital status. Furthermore, the analysis results of Sageundo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Gimcheondo, Songrado, and Jayeodo to make its characteristics more prominent. The importance of errand boys and carriers gradually decreased at the station, whose binding force over them weakened. These situations were explained in comparison to the reality of the times.

      • KCI등재

        18세기 중엽 사근도 형지안과 단성현 호적대장의 역인 기재 비교 분석

        이유진 ( Youjin Lee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조선 왕조는 각 지역 요충지에 역(驛)을 설치하여 한성을 중심에 둔 교통통신망을 설립하였다. 역에는 역리, 역노비, 일수 등 각종 역인(驛人)이 배속되어 역역(驛役)을 담당하였다. 역인에 대한 기록은 지리지, 역지 등 각종 자료에 단편적으로 드러나며, 역인 개개인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를 기재하고 있는 자료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역도(驛道)에서 역역 담당자를 파악하여 작성한 형지안이다. 둘째는 역촌(驛村)을 포함한 군현에서 호구(戶口)를 파악하여 작성한 호적대장(戶籍大帳)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자료적 한계로 인하여 역도 형지안이나 호적대장이 별도로 분석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사근도 형지안(1747)이 발굴되면서 자료 활용 면에 있어서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사근도형지안에는 단성 벽계역, 신안역 기록이 있고, 단성현 호적대장의 경우 그와 가까운 1750년에 도산면 벽계리, 북동면 신안리의 기록이 존재한다. 즉, 이 두 자료는 비슷한 시기와 지역의 역인을 기재한 명부라는 측면에서 상호 비교의 가능성이 열려있는 것이다. 분석 결과 두 자료에서 공통적으로 파악된 역인도 있었지만 그 비율은 높지 않았고, 오히려 둘 중 한 자료에서만 파악된 역인의 수가 상당하였다. 또한 두 자료에 모두 파악되었더라도 동일인의 직역을 다르게 기재한 경우도 발견되었다. 사근도형지안과 단성현 호적대장은 작성 주체, 목적, 파악하려는 대상 등이 다르기 때문에 비슷한 시기 같은 지역의 역인 기재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었다. 형지안의 경우 역도나 역이 주체가 되어 역을 운영하는 데에 필요한 역인과 그 후보군을 최대한 파악하려는 자료이다. 호적대장의 경우 군현이 중심이 되며, 한 군현에서 대장 작성에 필요한 직역의 종류와 직역자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호적대장에 기재될 역인의 수가 어느 정도 결정되어 있다. 두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둘 중 어느 자료도 한 지역의 모든 역인을 완벽하게 파악한 자료는 아니기 때문에, 역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성격과 특성을 잘 이해하면서 각 자료의 공백을 서로 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군현과 역도라는 이중적인 범주의 행정 시스템이 같은 대상을 어떤 식으로 같게 혹은 다르게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다. The Joseon(朝鮮) dynasty established a traffic network centered on Hanseong(漢城) by installing a number of stations(驛) at important traffic hubs in each region in the state. There were various people called station workers/(驛人) such as the station officials(驛吏), station clerks(日守), station servants/slaves(驛奴婢), who belonged to and worked at those stations. These days, the two kinds of data is existing that describ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person in charge of station works. The first one is the Hyeongjian(形止案), the station register identifying the people in charge of station works and complied by each station route(驛道). The second one is the household register (戶籍), the list grasping the household and people in a prefecture. In preliminary studies about station people, these two types of data was analyzed separately due to the data limitation. Recently, however, a new possibility has been opened in terms of utilization of data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of Sageundo Hyeongjian(沙斤道形止案) complied in 1747. There is a record of Byeokkye Station(碧溪驛) and Sinan Station(新安驛) in Sageundo Hyeongjia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cord of Byeokkye-ri in Dosan-myeon and Shinnan-ri in Bukdong-myeon in the Dansung-Hyeon household registers complied in 175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se two data because these two are the list of station people complied in similar periods and reg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tation workers who appeared in both data, but the number of them was not a lot. Rather, there were more station workers who appeared in the only one data.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cases that the same person was described as differently in terms of his/her work or status.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subject, purpose, and object to be listed in compiling the two data,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station workers in the same area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Hyeongjian, it is the data to identify the station workers and the candidates required to operate the stations and complied by the station routes or the stations. In the case of the household register, 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the works/duties in the state and the number of people to be listed in a prefecture was determined to some extent. In order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tations work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data and fill the blanks that each data has by comparing them to each other. Furthermore, under the dual system of the administrations of the state and the stations, it is possible to get a clue how each side respectively grasps and control their people.

      • KCI등재

        조선후기 『사근도형지안(沙斤道形止案)』의 내용과 성격

        조병로 ( Cho Byoung Lo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1 No.-

        沙斤道는 지금의 경상도 함양, 안음, 단성, 진주, 하동지역에 설치된 역을 관할하는 驛道로서 고려시대의 山南道에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沙斤道로 개편되어 沙斤(咸陽), 有麟(三嘉), 安澗(晉州), 臨水(安陰), 蹄閑(咸陽), 正谷(山陰), 新安(丹城), 新興(宜寧), 正守(晉州), 橫浦(河東), 馬田(河東), 栗元(河東), 碧溪(丹城), 小南(晉州), 平沙驛(晉州)을 관할하게 되었다. 사근도 속역의 현재 위치를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근역은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내동마을, 제한역은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조동마을, 신흥역은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옛 신번), 유린역은 합천군 삼가면 동리 유린마을, 안간역은 진주시 미천면 안간리 내인마을, 소남역은 산청군 단성면 관정리 역동마을, 정곡역은 산청군 산청읍 정곡리 내정마을, 횡포역은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동(월곡) 마을, 마전역은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신전마을, 율원역은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 율원마을, 평사역은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정수역은 하동군 옥종면 정수리 영당마을, 신안역은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명동마을, 벽계역은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벽계마을, 임수역은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 관북마을로 추정된다. 한편, 『沙斤道形止案』의 내용과 특징 둥 그 역사적 성격과 사료가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근도 형지안』 은 영조 23년(1747)년에 작성된 경상도 沙斤道 속역인 沙斤驛(咸陽), 臨水驛(安陰), 蹄閑驛(咸陽), 安磵驛(晉州), 有?驛(三嘉), 碧溪驛(丹城), 新興驛(宜寧), 正谷驛(山陰), 新安驛(丹城), 正守驛(晉州), 召南驛(晉州), 馬田驛(河東), 栗元驛(河東), 橫浦驛(河東), 平沙驛(河東) 등 15개 속역의 호구대장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자료의 형태는 楮紙 筆寫本으로 크기는 가로 55.5㎝ 세로 51.6㎝이며, 四周單邊 30行(行間隔 2㎝)으로 모두 98枚이며 각 장마다 官印(찰방관인으로 추정)이 찍혀 있다. 셋째, 내용 구성과 특징을 종합해보면 ① 沙斤驛(咸陽), 臨水驛(安陰), 蹄閑驛(咸陽), 安磵驛(晉州), 有?驛(三嘉), 碧溪驛(丹城), 新興驛(宜寧), 正谷驛(山陰), 新安驛(丹城), 正守驛(晉州), 召南驛(晉州), 馬田驛(河東), 栗元驛(河東), 橫浦驛(河東), 平沙驛(河東)의 驛吏. 驛奴. 驛婢. 日守의 戶口 편성과 驛民(역리. 역노. 역비, 일수)의 성명, 나이, 4조 이름, 외조 이름 그리고 거주지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雜?시기와 이유, 加現 등의 입역 상태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역민들의 率丁(동거 가족)및 保人 현황 등이 기재되어 있다. 단, 역노비의 경우는 별도로 驛卒降奴秩, 驛奴婢秩, 娶私賤所生秩, 嫁私賤(所生)秩, 嫁公私賤秩, 驛女嫁私賤所生秩로 나누어 기재하고 있으며, 각 역의 末尾의 已上條에 元人丁 숫자와 역리. 역노. 역비별 老除. 逃亡, 物故, 病廢, 등의 雜? 내역과 인원수를 기재하고 있다. 또 맨 끝 말미에도 都已上條를 기재하여 사근도속역 전체의 역리. 역노. 역비, 일수, 보인 숫자 그리고 잡탈 현황을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어 전체 역호와 인구 등 職役대상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한 것으로 생각한다. ② 사근도 각 속역의 역리. 역노. 역비. 일수. 보인 인구를 집계해 보면 사근도속역 전체의 驛吏 인구는 3,460명중에서 老除, 物故, 逃亡 등의 雜?을 제외하면 실제 時存하는 實額은 2,378명이며, 驛奴는 1,170중에서 實額 671구, 驛婢는 489구중에서 實額 321, 그리고 日守 41명, 保人 435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雜?의 원인으로 노제, 물고, 도망, 병폐 외에 前弱과 加現弱과 加現壯이 있으며 그 외에도 역리가 군보나 양인 또는 역노로 還降하는 사례와 역노가 官奴로 바뀌거나 역리가 역노로, 또 역비도 사비, 양녀로 還降하는 사례가 보이고 있다. ③ 역민의 거주지는 원칙적으로 역 근처의 마을(驛里, 驛村)에 거주하면서 입역하는 것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移動, 遊離, 逃亡 등의 이유로 역 이외의 마을에 분산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④ 驛吏의 4祖와 外祖의 職役이 기재되지 않았으나 驛奴·驛婢의 父와 母의 직역이 기재되어 있어 驛奴婢의 직역변동과 良賤交婚을 통한 신분변동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와 사료 가치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沙斤道形止案) of Gyeonsang-do in the lately Chosun Dynasty. Chosun Dynasty establised station one of the traffic system, and the important role of station are delivery of king`s command and an official document, envoy reception, supply of post horse, transport of public supplies etc. Therefore, various station staffs(驛民)- station official(驛吏), station slave(驛奴婢), assistant post offcial(日守) etc-are arranged to station, took a census which is so called Hyoungjian (Census Register). The Census Register of Sageundo Stations(沙斤道形止案) is written census of station staff belong to sageun station (沙斤驛) and its branch station(屬驛)-jehan station(蹄閑驛),imsoo station(臨水驛), angan station(安磵驛), yurin station(有麟驛), byeogae station(碧溪驛), sinan station(新安驛), junggok station(正谷驛), sinheung station(新興驛), jungsoo station(正守驛), sonam station(召南驛), majun station(馬田驛), yoolwon station(栗元驛), hoengpo station(橫浦驛), peungsa station(平沙驛) which was located on Hamyang area of Geonsang -do province. and also recorded residence, sex, age of station staff(namely station officials(驛吏), station slaves(驛奴婢), station assistant(日守) as well as living together family(i.e soljung 率丁) Accordingly, This document is very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to understand and clarify the human structure of station, status-role of station staff, social mobility in status and marriage pattern between station staff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residence, sex,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