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 형성과정 및 대처방안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박수정,김민규,박봉섭,정지현,김도윤,박정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uses, formation processes, symptoms, coping strategies and relevant factors of Korean-type burnout syndrome from an emic perspective, and to examine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m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o achieve our goals, we appl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tients experienced burnout syndrome caused by the simultaneous influence of causal conditions and situational contexts. Secon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e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as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affecting the events and coping strategies reliving or changing the intensity of burnout syndrome, major p henomenon. Third, am ong upper categories of the results, self-awareness improvement was identified as the sharing of the self-feeling in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Self-sacrifice was identified as a partial reflux in negative emotion and cynical attitudes of individuals while it was experienced burnout syndrome of major phenomena.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에 이르는 원인 및 형성과정, 번아웃 증후군 증상, 번아웃 증후군에 대한 대처와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 사이의 논리적 연관성을 밝혀 이론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적 방법을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과적 조건과 상황적 맥락의 동시적 영향에 의해 번아웃 증후군을 체험하게 되었다. 둘째, 중심현상인 번아웃 증후군에 강도를 완화하거나 변화를 주는 사건과 대처방안에 영향을 주는 중재적 조건으로 조직 내・외적으로 접근이 분석되었다. 셋째, 결과의 상위범주 중 자아인식 개선은 작용/상호작용전략의 자신과의 교감으로, 자기희생은 중심현상의 번아웃 증후군 체험 중 개인의 부정적 정서와 냉소적 태도로 일부 환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기독교 상담적 제안

        이귀연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22 복음과 상담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the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ause burnout of youth church volunteer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t. In order to understand the ‘how’ and ‘why’ burnout of youth church volunteer occurred and developed, the factors causing burnout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ree main symptoms were analyzed and general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of it was classified into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and the main symptoms developed into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emotional exhaustion'-'depersonalization’. This was related to the participant's personal factors, the nature of faith and motives for volunteering, and the unique background of the Korean church,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youth unemployment. Christian counseling was proposed in 'life, relationship, and self', and it was a practical experience of God's presence through Sabbath, restoration of the narrative of Christ through empathy of God, and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from self-discord in one's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기독교 상담적 예방과 치유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single case study)로 진행하였으며, 실천 현장에서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이 ‘어떻게’ 그리고 ‘왜’ 발생되고 발전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해서 요인과 요인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살피고, 세 가지 주요 증상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여 일반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청년교회봉사자의 번아웃을 유발하는 요인은 개인적 차원과 조직(교회)적 차원,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번아웃의 주요 증상은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정서적 탈진’-‘비인간화’ 순으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참여자의 인구통계적, 심리적 특성과 신앙의 본질과 봉사의 동기, 그리고 한국교회의 독특한 성장배경과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 및 청년실업에 관한 사회적 현상과 관련했다. 기독교 상담적 제안은 ‘일상, 관계, 자아’의 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일상의 중단(안식)을 통한 하나님 임재의 실천적 경험과 성육신적 공감을 통한 그리스도의 서사성 회복, 그리고 자아불일치로 부터의 하나님 형상의 회복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