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디지털 출판의 개념과 체제의 변화

        이건웅,이희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4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5

        Digital publication is the new publication system to deliver contentsthrough the internet by editing and processing contents by using digitaltechnology. Digital publication is a publication in a different area with aconcept of traditional publication and a similar concept with electronicpublishing. Digital publication in China is a newly publication form whichis observed carefully by the Chinese government but it is the area whichhas been developing fast recently, so it is under the powerful regulation andsupervision of Chinese government and it was tightened up the law andmerged the departments to manage more effectively and it was created newdepartment. These consistent changes of system of Chinese government are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o take the lead of revolution andinnov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there isa clear limit for it is the changes and innovation marked with a side doton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rather than promotion, and in thepresent, the talks on the FTA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makingprogress actively,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future of Chinese publicationby recognizing the system changes of Chinese digital publication industry,movement of the government and its limitation. 오디지털출판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편집 가공하여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를 전달하는 새로운 출판 방식이다. 디지털출판은 정통적인 출판의 개념과 다른 영역의 출판으로 전자출판과 유사한 개념이다. 중국의 디지털 출판은 중국 정부가 주시하고 있는 신흥 출판 형식으로 아직까지 확정된 규정은 없지만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인 만큼 중국 정부의 강력한 통제와 관리 아래에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법률을 강화하고, 조직을 통폐합했으며, 새로운 부서를 신설하기도 했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일관된 체제의 변화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기술의 발전에 따른 변혁과 혁신을 주도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진흥이라는 측면보다는 관리와 감독에 방점이 찍힌 변화와 혁신이라는 점에 선명한 한계가 있으며 한중 FTA협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금, 중국 디지털출판 산업의 체제의 변화와 정부의 움직임, 그리고 한계를 인지하여 중국 출판의 미래를 가늠해 볼 수 있다.

      • 글로벌 디지털출판과 전자책의 진화

        웨이췬(WeiQun),이형재(Lee HyungJae),이해성(Lee HaeSeong),이건웅(Lee GunWoong) 한국전자출판학회 2020 전자출판연구 Vol.15 No.1

        The global publishing market is on the decline overall, and digital publishing is showing growth. The market for print media and paper books has shrunk, and the rise in e-books has now become common knowledge. The situation became entrenched after the Corona crisis, and Internet bookstores saw their sales rise and their status rise further. Therefore, it is time to analyze the scale of digital publishing closely and to re-concept the publication of new digital publishing, including the concept and scope of new digital publishing. Based on such needs, the study analyzes the new status and direction of digital publishing. 전 세계 출판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세지만, 디지털출판은 성장세를 보인다. 인쇄미디어와 종이책 시장은 위축, 전자책 상승은 이제 상식이 되었다. 오디오북이라는 새로운 영역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후 이러한 상황은 고착화되었고, 인터넷서점의 매출 상승과 위상은 더욱 높아졌다. 따라서 디지털출판의 규모를 면밀히 분석하고, 새로운 디지털출판의 개념과 범위 등 출판의 재개념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그러한 필요성에 근거해 디지털출판의 새로운 위상과 방향성을 분석하고 있다.

      •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출판학과 커리큘럼 연구

        한주리(Han, Julie),김동혁(Kim, Dong Hyuk) 한국전자출판학회 2015 전자출판연구 Vol.- No.4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출판학과 커리큘럼에 대한 발전방안을 국내와 해외 출판과정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국내의 출판 관련 학과들의 현황을 검토하고 , 해외 출판 관련 커리큘럼을 분석함으로써 출판학과 커리큘럼의 발전방안 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기존 연구문헌들을 토대로 새롭게 분석하여 국내 출판학과를 재정리하였다 . 이 과정에서 출판 관련 학과에 많은 변동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또한 해외대학의 출판학과 커리큘럼을 살펴보면서 해외 출판 교육과정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 이를 통해 추후 출판 관련 학과들이 나아갈 방향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였다 . 추후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um of Korean publishing education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this digital era by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foreign publishing curriculum. Korea colleges publishing department was carefully looked at, compared to existing one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f foreign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So, this research used to fi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researchers reorganized the Korean publishing department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Through this research, we realized that there were so many changes occurred on the related departm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lso, we looked at the curriculum of foreign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and checked the curriculum and key features of publishing education. Through this, we present the vision for the future curriculum on the publishing studies. And we also wanted this study could b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출판’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노병성(Roh, Byung-Sung)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본 논문은 출판의 개념이 디지털 시대에 다변화하고 있다는 문제 상황에서 역사적으로 출판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고,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출판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 내릴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 아날로그 시대의 출판 개념의 특징은 대체로 1909년 출판법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않았다는 점, 출판의 개념 정의에서 인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는 점, 출판의 영역은 도서나 서적 그리고 잡지에 국한되는 경향을 보였고 신문은 이에서 제외되었다는 점 등이라 할 수 있다. 디지털 시대의 출판개념의 특징은, 출판을 개념화하는데 있어서 인쇄의 개념이 생략되거나 부가적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 콘텐츠 등의 개념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 ‘출판’이란 용어와 ‘Publishing'이란 용어가 동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 출판과 타 산업 혹은 타 매체와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는 점, 출판의 영역이 확대되는 광의의 출판개념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으로 요약될 수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출판을 포괄하는 출판 개념은 이들 양자 간의 현상적 특성을 추상화 한 아이디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현상을 분류하고 이론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출판을 개념화 하면, 출판이란 독자나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전제로 인간의 정신적 소산물인 콘텐츠를 인쇄, 전자적 패키지화 또는 서버 적재 등의 방법을 통해 공중의 접근권을 확보하려는 일련의 과정이나 행위라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finition of publishing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and to examine how the conceptualization has been changed in diverse societies and in the digital era. The Copyright Act of 1909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ue publication. The law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inting and tends to apply to all texts, books, and magazines with the exception of newspapers. The uniqueness of publishing in the digital era is that the printing is omitted or used secondarily. The terms publishing(Korean) and ‘Publishing’(English) are used interchangeably. Boundaries between the publishing and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re blurred. Furthermore, Publishing as a macro concept is broadened and prompted by new ranges of media formats. The integrative definition of the analogue and digital publishing encompass abstract ideas, and can de contextualized and theorized as a part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phenomena which lie at the junture of the analogue and digital publishing.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publishing are the series of acts or processes to get a public access via developing electronic packages, loading contents to the servers, web publishing, and distributing personal and social acquaintances to general public under the premise of the communication with readers and consumers.

      • KCI등재

        디지털 출판콘텐츠의 제작·이용에 대한 매체미학적 연구

        강진숙(Kang Jin Suk),한찬희(Han Chan Hee)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2

        디지털기술이 도입된 대중문화의 콘텐츠 영역에 있어서 복제의 문제가 오랜 시간 동안 논의되었다. 주로 미학적 측면과 저작권이 관련된 법적 논의였다. 이러한 논의들을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은 쉬운 문제는 아니었지만 이 논문에서 미학적 측면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작품에 있어서 원작과 복제품 간의 관계에 대한 문제에 관하여 벤야민의 관점을 수용하고, 출판콘텐츠의 변화과정을 미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문화콘텐츠에 내재된 의미를 분석하고 동일한 문제 설정으로 디지털 출판콘텐츠에서 발생하는 복제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종이책에서 디지털 출판으로 그리고 디지털 출판이 인터넷, 모바일 등에서 변화되는 과정을 복제의 복제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벤야민의 아우라 붕괴와 기술복제에 대한 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출판콘텐츠의 제작형식과 이용태도의 변화에 대해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이 갖는 아우라 붕괴에 대해 논의한 벤야민의 관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의 출판콘텐츠 제작형식과 이용태도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There are many discussion about content's copy when mass culture adapted digital technique. Mainly point was a legal discussion to which the copyright relate or aesthetic side. Though not easy to arrange clearly, this study try to find clone's singular points related aesthetic side. For this work, we reviewed and adapted analytical frame based on Benjamin's theories. Which is to find aesthetic value of between the original work and the clone. First of all analyzed meaning which is immanent in the cultural contents of as one art work. And expands a discussion about reproduction which is identical occurs from the digital publishing contents. For example, paper-book changed E-book Futhermore E-book changed internet-book or mobile-book or other style. This study analyzed the side which is a reproduction of reproduction. This study based on Benjamin's theses of the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Its Technological Reproducibility' about 'Collapse of Aura'. We establishes in viewpoint use this theses and searches about change of production format and use attitude of the digital publishing contents. So we revised Benjamin's books and theses, under discussing about change of publishing contents production format and use attitude of digital age.

      • KCI등재후보

        디지털 출판 생태계와 출판사의 적응 전략 연구

        장용호,공병훈 한국출판학회 2013 한국출판학연구 Vol.39 No.2

        출판 산업 지형이 선형적 가치사슬에서 복잡도 높은 복합 가치 네트워크로 급격하게 재편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생산·시장·수용자·정책 요인을 중심으로 1980년대에서 2010년대에 걸친 출판 산업의 역사적 변화와 출판사들의 적응 전략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출판사들은 전자 출판 시스템을 통한 틈새(niche) 창출 과정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둘째, 온오프라인 대형 서점이 플랫폼 체계로 진화되는 상황에서 출판사들은 책의 유통과 소비의 새로운 기술 환경과 방식에 적응해야 했으며, 셋째, 스마트 디바이스과 개방적 플랫폼 환경에서 대중화된 출판 생산과 유통 도구를 통해 다양한 출판 행위자들이 등장하여 다이내믹하게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드러내며, 넷째, 출판사들은 다양한 참여자들과 협력적 관계를 맺는 가치 네트워크의 허브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출판사의 적응 전략들에 대해 '다양한 참여자들이 상호작용하는 플랫폼 중심의 출판 체계에서 니치를 창출하는 가치 네트워크의 허브로서 작동하는 과정'이라고 분석하며,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는 자유롭고 유연한 동맹 체제로서의 통합적 협업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The landscape of the publishing industry has been transformed into complex value networks. Focusing on technology, production, market, audience, and policy factors, the study analyzed empirically the publishing industry's historical changes and adaptation strategy dating from the 1980s to the 2010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dopting electronic publishing system, publishers have been grown through nitche creation process. Second, the on-offline large bookstores as emerging platform have forced the publishers to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newly distributing and consuming patterns. Third, through open platform and democratizing toolkit approach, various participants have developed dynamic interaction patterns. Fourth, e-book and sns platforms have rapidly transforming traditional relationships of various participants into collaborative ones. The study show that publishers' adaptation strategy is creating niche in platform-centric publishing system in which Various participants interact. And the study suggest the free and flexible alliance regime of Integrated collaborative model that Is to maximize the benefit of each other.

      • KCI등재

        국내 디지털교과서 연구 경향에 대한 메타분석

        이문학(Lee, Mun-Hag),장성준(Chang, Seong-Ju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해 논쟁이 확장되는 현시점에서 기존의 관련 연구들이 제기하고 있는 내용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를 다룬 국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국내에서 도입예정인 스마트미디어 교육방식에 대한 성과를 가늠해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들은 2000년도부터 2013년도까지 발행된 디지털교과서와 관련된 학술연구들 이다. 분석결과 2000년도부터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논의의 주제의 확장과 2007년 이후 관련연구의 수가 급증함이 발견되었다. 연구주제 중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성과 예측’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시론/논평형식의 ‘총괄논의’가 그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이용자(교사/학생)의 요구분석’, ‘특수교육에 적용’ 등도 연구주제로 다뤄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한편, 연구경향을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는 현상분석 중 ‘효과분석’이었고, ‘교과서개발전략’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경향에서는 전자교과서와 관련된 이론연구보다 성과위주의 현상연구에 치중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많은 연구대상으로 설정된 집단은 수용자연구를 위한 학생집단 이었고, ‘교과서내용평가’, ‘PC기반의 콘텐츠구성’이 뒤를 이었다. 연구를 통하여 현재 국내에서 디지털 교과서와 관련된 연구들이 확장되고 있지만 주로 기술적인 측면과 현상의 성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고, 수용자 연구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야 함에도 불구하 고 학생만으로 편중된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 외에도 교과서 평가 기준의 통일성, 스마트미디어를 논의하는 시점에서 ‘PC기반의 콘텐츠 구성논의’의 시의성문제 등도 함께 도출되었다. This study looks at the contents of existing researches, while dispute of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xtbook is growing. So, this study looks at the domestic research about the Digital Textbooks, and it made a meta-analysis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smart media education system, it is expected to introduce to the domestic. All collected data for research is academic Research, that is related to the digital textbooks, it's issued from on 2000 to on 201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cument, I found the expansion of the discussion topics on digital textbooks since 2000, and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also increased, since 2007. All of research Subjects, 'Education and prediction of Digital textbooks' is a high frequency subject, and next is 'general discussion' of Essay/review form. In addition, it shows other research subjects, such as 'Request analysis of Users(teachers / students)' and 'apply to special education'. Meanwhile, result of research trend analysis,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is ‘effect analysis’ of analysis the status, and next is ‘Textbook Development Strategy’. In a study it has been found it focused on phenomenon research of performance-oriented than Study of theory related Electronic textbooks. And when research the digital textbook, the main target was student group for research of user, the next is ‘Textbook contents evaluation’ and ‘PC-based content component’. Through the research, we found this phenomenon. Now In the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are being extended, but mainly, the method is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technical face and the developing, when research of User it did not take teacher's opinions positively, just focused to the students. In addition Timeliness issues of 'PC-based discussion of construction of the contents is shown together, at the point to discuss the Unity of Textbook evaluation criteria and Smart media.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해외대학교육과정 비교분석을 통한 대학의 출판교육과정 방향성 연구

        한주리(Han Ju lie),김동혁(Kim Dong Hyuk)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출판학과 커리큘럼에 대한 발전방안을 NCS 교육과정과 함께해외 출판교육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출판관련 NCS의 개발 현황을 검토하여 기존 항목과비교 분석하고, 해외 출판 관련 커리큘럼을 분석함으로써 출판학과 커리큘럼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기존의 NCS와 개정된 NCS를 비교하여 변동 사항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대분류가 잘못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변화된 내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외대학의 출판학과커리큘럼을 살펴보면서 NCS 분류 분야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출판관련 교육체계를 비교및 확인을 함으로써 출판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기초 자료 및 비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um of Korean publishing education in colleges in this digital era by focusing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and foreign publishing process. The progress of development related to NCS on the book publishing industry was carefully looked at, compared to existing one and analyzed the curriculum of foreign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So, this research used to fi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researchers found the difference between already existing NCS and new NCS. In this course we found that large classification was wrong and checked the changed contents. Also, we looked at the curriculum of foreign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and NCS classification. Through this we present the future of bibliography an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nd vision towards the future. At last we cite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a suggestion.

      • 매체융합환경에서의 출판산업 활성화 정책에 관한 제언- 2D Code 기술을 이용한 종이책 출판물과 전자출판물과의 Eco System 방안을 중심으로 -

        지용구,이종대,손애경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On a Policy for Publishing Industry under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 - Based on Eco System of the published material with 2D Code technology and computer aided publishing(CAP) - Lee, Jong-Dae / Ji, Yong-Gu / Son, Ae-Kyoung Mutual relationship between printed contents and digital contents is needed as consumers needs on on-off line culture contents based on cable and wireless broadband increase. These needs are essential to bring synergy from old media such as printed publishing and new media such as computer aided publishing in terms of its economic value chain. Moreover, the idea that we can mutually utilize the published material and digital contents under this technical environment can be adapted to a policy focusing on eco system of both digital and published material.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P-U Book(Paper - Ubiquitous Book) system with the innovative 2D Code technology through interactive digital publish technology running on On-Off Line. 급속히 확산되는 유무선 브로드밴드 기반 하에 On-Off Line 문화콘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가 강해짐에 따라 인쇄물 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와의 상호연계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같은 요구는 경제적인 가치사슬(Value Chain)면에 있어서도, 올드미디어인 인쇄물 출판(Printed Publishing)과 뉴미디어인 전자출판(Computer Aided Publishing)물과의시너지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혁신적인 체계로 볼 수 있다. 더욱이 방송-통신-인터넷이융합되어 종이책 출판물에 대한 활용인식이 저하되고 있는 이때,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종이책 출판물과 디지털 콘텐츠를 연계해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은 디지털과 종이책의 에코시스템에 비중을 둔 활용정책방안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D Code 기술 기반On-Off Line 연동을 위한 인터랙티브한 디지털 출판물 구현 기술로, 혁신적인 2D Code 기술 활용한 P-U Book (Paper - Ubiquitous Book) 시스템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 출판 산업에서 구독 서비스 성장 방안에 대한 연구

        이은호(Lee, Eun Ho) 한국전자출판학회 2019 전자출판연구 Vol.- No.12

        산업의 발전은 제품 생산과 유통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기술이 발전할수록 모든 산업에서의 주도권이 생산자에서 소비자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제품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소비자는 더 이상 제품을 소유하려 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제품을 이용하는 구독의 형태로 소비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또한,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정교화 되면서 구독 경제(Subscription Economy) 가 급부상하고 있다. 모든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콘텐츠 중심의 구독 서비스가 크게 성장해 나가고 있다. 출판 산업에서도 구독 서비스가 큰 관심을 받으며 새로운 성장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디지털콘텐츠의 구독 서비스 사례 분석을 통해 구독 서비스가 출판 산업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독자 스스로가 책을 읽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시키고, 출판 시장이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industry is remarkably changing method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Especially, the more technology is developed, the more leadership is moving from producers to consumers in most industries. As there are more options which to choose, the consumers do not own the products but use the products whenever it needs. The consumption paradigm is changing from ownership to consumption. As the personalized service that is using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is improved, Subscription Economy is emerging sharply. The subscription service focused on digital contents is growing in every industries. The subscription service is receiving massive interest and is facing new turning point of growth. This study suggests the plan that the subscription service stably grows through various case analysis of subscription service focused on digital contents. From this study, we put the meaning on the environment that readers can read books by themselves is created and establishing the foundation to develop the publishing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