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남천 소설의 인물과 이야기 정체성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을 중심으로

        조익상 ( Ik Sang J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김남천 연구사에서 김광호를 비롯한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들에 대한 해석은 김남천과 그의 문학 이해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 본고는 폴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 인물들과 김남천 사이에서 발견되는 동일·정체성과 소설 속에서 구현되는 인물 각각의 자기·정체성을 구별하여 해석함으로써, 194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주의자, 전향자 등의 ‘무엇’을 중심으로 포착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인물을 해석했던 한쪽의 경향과 김남천의 인물에 대한 시선을 중심으로 한 다른 쪽의 해석 경향 모두에 정교함을 더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소설적 독법을 요구하는 소설과 사회주의적/리얼리즘적 소설 작법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두 극점 사이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김남천 소설 문학에 대한 다른 접근도 시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김남천이 그의 인물들을 ‘누구’로 그리려 했고 김남천 그 자신이 ‘누구’였는지를 해명하는 새 시점과 그것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김남천의 비평 전반을 확인하고 그의 자전적 사실과 인물들의 자기성과 동일성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평 전반을 살피고 김남천의 “문학적 행정”에 대한 자기기술을 살펴본 바, 그의 초기 문학적 방법론의 열쇳말인 ‘자기’ ‘고발’이 모두 지양된 형태로 유지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의 전개 속에서 형성 중인 방법론은 김남천의 인물화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형성된 인물에 대한 작가적 성찰은 다시금 방법론의 수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 과정 끝에 1940년대를 전후하여 발자크 리얼리즘의 요목과 함께 시도된 것이, 김남천적 인물의 비김남천적 행동으로 요약되는 분열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지식인-소시민-청년 남성 인물에서 구현된 이러한 인물화가 시도되었던 이유로는, 김남천 ‘자기’와 ‘체험적인 것’이 닿아있는 면에서 성격 형성이 용이했다는 점을 먼저 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동일성을 지닌 인물이 전혀 별개의 행동을 하게 될 때, ‘관찰적인 것’의 사회 고발은 더욱 증폭될 수 있었다. 그것은 시대와 사회가 낳은 인간성에 대한 고발의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김남천 그 자신의 작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 모두에 있어 그러한 인물의 구현은 필요한 과정이었다. 그 자신이 걷고 싶지 않지만 걷기를 강요당하거나 유혹당하는 길을, ‘자기’를 닮은 소설 속의 인물이 걷게 만드는 것은, 자신이 걷고 싶고 걸어야 하는 길로만 걷도록 정련하고 채찍질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었다.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Kim Namcheon, interpretation of intelligent/petit-bourgeois/young men characters including Kim Kwangho has been regarded important. This research present a way to understand Kim Namcheon and hi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1940s, by separately reading identities such as narrative identity(identite narrative), sameness(identite-idem) and selfhood (identite-ipse) of Paul Ricoeur characterized and re-presented in between Kim and his characters. This can be thought as to elaborate two ways of current interpretation: to interpret Kim mainly on ‘what’ considered of him such as a convert or a socialist and again interpret his characters from that understanding on the one hand, to interpret his characters with the author’s perspective or viewpoin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a different approach can be tried with this research to where researches barely go beyond two polars: novels to be read as autobiographical novels or the “I” stories on the one side, novels written with socialistic/realistic method on the other side. With this awareness, the research tries to confirm a new standpoint to explain ‘whom’ Kim attempted to draw, ‘who’ Kim was and the appropriacy of the standpoint presente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through Kim’s literary review and essays thoroughly, and to compare Kim’s autobiographic facts and his created characters in both sameness and selfhood. Thus, after reviewing his critical essays in time and his self-description about his “lifetime of literary method”, the research could confirm that ‘self’ and ‘accusation’, his two keywords for earlier method, had been maintained as sublated- thus-enhanced. This metho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ffected character making of Kim, and the author’s introspection/reflection on his characters again affected formation of the method in reverse. 1940s was a terminus ad quem where those dialectic method met Balzacian realism, and this method of fission can be summarized as ‘Kim-like character’s un-Kim-like activity.’ This characterization was tried firstly because they can be deep and easily embodi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to Kim ‘himself’ and to ‘the (his) experienced’. Secondly when this characters of sameness act completely different from him, accusation from ‘the observed’ of society and the era through the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were the fruit of the then society, so it was an accusation against the human nature made from the current era. For the last reason to be discussed, it was necessary for Kim himself to fission with character, for the character to cover the life Kim did not want to, demanded to or tempted to live. It is a very private way to make himself to live a life that he want or that he must continue.

      • KCI등재

        김남천 소설의 인물과 이야기 정체성-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을 중심으로

        조익상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In the history of research on Kim Namcheon, interpretation of intelligent/petit-bourgeois/young men characters including Kim Kwangho has been regarded important. This research present a way to understand Kim Namcheon and hi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1940s, by separately reading identities such as narrative identity(identité narrative), sameness(identité-idem) and selfhood (identité-ipse) of Paul Ricoeur characterized and re-presented in between Kim and his characters. This can be thought as to elaborate two ways of current interpretation: to interpret Kim mainly on ‘what’ considered of him such as a convert or a socialist and again interpret his characters from that understanding on the one hand, to interpret his characters with the author’s perspective or viewpoint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a different approach can be tried with this research to where researches barely go beyond two polars: novels to be read as autobiographical novels or the “I” stories on the one side, novels written with socialistic/realistic method on the other side. With this awareness, the research tries to confirm a new standpoint to explain ‘whom’ Kim attempted to draw, ‘who’ Kim was and the appropriacy of the standpoint presente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through Kim’s literary review and essays thoroughly, and to compare Kim’s autobiographic facts and his created characters in both sameness and selfhood. Thus, after reviewing his critical essays in time and his self-description about his “lifetime of literary method”, the research could confirm that ‘self’ and ‘accusation’, his two keywords for earlier method, had been maintained as sublated- thus-enhanced. This metho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ffected character making of Kim, and the author’s introspection/reflection on his characters again affected formation of the method in reverse. 1940s was a terminus ad quem where those dialectic method met Balzacian realism, and this method of fission can be summarized as ‘Kim-like character’s un-Kim-like activity.’This characterization was tried firstly because they can be deep and easily embodi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similar to Kim ‘himself’ and to ‘the (his) experienced’. Secondly when this characters of sameness act completely different from him, accusation from ‘the observed’ of society and the era through the characters. Because the characters were the fruit of the then society, so it was an accusation against the human nature made from the current era. For the last reason to be discussed, it was necessary for Kim himself to fission with character, for the character to cover the life Kim did not want to, demanded to or tempted to live. It is a very private way to make himself to live a life that he want or that he must continue. 김남천 연구사에서 김광호를 비롯한 지식인–소시민–청년 인물들에 대한 해석은 김남천과 그의 문학 이해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점해왔다. 본고는 폴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 인물들과 김남천 사이에서 발견되는 동일–정체성과 소설 속에서 구현되는 인물 각각의 자기–정체성을 구별하여 해석함으로써, 1940년대를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그의 문학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사회주의자, 전향자 등의 ‘무엇’을 중심으로 포착되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인물을 해석했던 한쪽의 경향과 김남천의 인물에 대한 시선을 중심으로 한 다른 쪽의 해석 경향 모두에 정교함을 더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소설적 독법을 요구하는 소설과 사회주의적/리얼리즘적 소설 작법으로 씌어진 소설이라는 두 극점 사이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했던 김남천 소설 문학에 대한 다른 접근도 시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김남천이 그의 인물들을 ‘누구’로 그리려 했고 김남천 그 자신이 ‘누구’였는지를 해명하는 새 시점과 그것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김남천의 비평 전반을 확인하고 그의 자전적 사실과 인물들의 자기성과 동일성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비평 전반을 살피고 김남천의 “문학적 행정”에 대한 자기기술을 살펴본 바, 그의 초기 문학적 방법론의 열쇳말인 ‘자기’ ‘고발’이 모두 지양된 형태로 유지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법론의 전개 속에서 형성 중인 방법론은 김남천의 인물화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형성된 인물에 대한 작가적 성찰은 다시금 방법론의 수정에 영향을 미쳤다. 그런 과정 끝에 1940년대를 전후하여 발자크 리얼리즘의 요목과 함께 시도된 것이, 김남천적 인물의 비김남천적 행동으로 요약되는 분열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주로 지식인–소시민–청년 남성 인물에서 구현된 이러한 인물화가 시도되었던 이유로는, 김남천 ‘자기’와 ‘체험적인 것’이 닿아있는 면에서 성격 형성이 용이했다는 점을 먼저 들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동일성을 지닌 인물이 전혀 별개의 행동을 하게 될 때, ‘관찰적인 것’의 사회 고발은 더욱 증폭될 수 있었다. 그것은 시대와 사회가 낳은 인간성에 대한 고발의 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김남천 그 자신의 작가로서의 삶과 생활인으로서의 삶 모두에 있어 그러한 인물의 구현은 필요한 과정이었다. 그 자신이 걷고 싶지 않지만 걷기를 강요당하거나 유혹당하는 길을, ‘자기’를 닮은 소설 속의 인물이 걷게 만드는 것은, 자신이 걷고 싶고 걸어야 하는 길로만 걷도록 정련하고 채찍질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었다.

      • KCI등재

        전환기 작가 김남천의 도덕의식 연구 -발자크의 미학원리 수용을 중심으로-

        손미란 ( Mi Ran Son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김남천은 발자크의 미학원리를 받아들여 본인의 창작방법론을 완성(관찰문학론)했다. 하지만 본 연구자는 발자크와는 다른 김남천의 미학원리에 드러난 차이에 주목하고자한다. 김남천이 발자크의 작품 세계를 수용할 때의 수용원리는, 근본적으로 발자크가 살았던 세계의 세계관을 벗어나 당시 식민지 조선의 특수성을 담지할 수밖에 없으며, 김남천이 수용한 발자크와 본연의 발자크는 차이를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첫 번째로 중요한 키워드는 ‘전환기’이다. 김남천에게 ‘중일전쟁’이 있었다면 발자크에게는 ‘7월혁명’이 있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키워드는 ‘도덕’이다. 현실과 사상의 불일치성을 보여준 발자크였지만, 그의 작품 속에 드러난 자본주의의 비판의식은 본인이 자본에 의해 병들어 있었기 때문에 나올 수 있는 문제였는데, 사회적 삶과 개인적 삶 사이에서 발자크의 자본에 대한 인식은 마니교적일 정도로 선악 구분이 분명하다. 그에 반해 김남천은 ‘자기고발’과 ‘모랄’의 문제에서 시작한 창작방법론에서도 알 수 있듯이 누구보다도 도덕의 문제에 관심이 많았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모호한 지점을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두 작가가 서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김남천이 서 있는 시대적상황의 이해를 통해 전환기 작가로서 가진 김남천의 도덕의식을 살펴보고, 발자크와의 차이에서 도출된 도덕의식이 어떤 미학원리로 발전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때, 김남천의 미학원리를 읽는 중요한 키워드인 ‘도덕’은 한 시대의 한 단면을 읽는 방법론을 제시해주었다. 또한 수용미학의 측면에서 김남천이 받아들인 발자크를 읽음으로써 전환기 조선의 식민지 지식인의 한 단면을 읽을 수 있었다. Kim, Nam-cheon completed his own creation methodology(theory of observational literature) by accepting Balzac``s aesthetic principle. However, this study aims to focus on Kim, Nam-cheon``s aesthetic principle, which is different from Balzac``s principle. When Kim, Nam-cheon accepted the world of Balzac``s work, fundamentally, the reception theory couldn``t do nothing but include the specialty of the colonial Joseon of those days escaping from the view of the world that Balzac lived and this is wh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Balzac``s principle that Kim, Nam-cheon accepted and Balzac``s original principle. The first important key word is the ``period of transition``. For Kim, Nam-cheon, there was the ``Sino-Japanese War`` and for Balzac, there was th ``July Revolution``. Another important key word is ``morality``. Balzac showed discordance between the reality and the thought. The criticism on capitalism in his works could be posed, because he got sick of capital, but his consciousness about capital between social life and personal life is Manichaean, so it is definitely divided into the good and the evil. On the contrary to this, Kim, Nam-cheon was more interested in moral issues than any one, as shown in the creation methodology starting from the issue of ``self-accusation`` and ``morality``, but it became ambiguous over time. The important thing is the ``situation`` that the two writers faced.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moral consciousness of Kim, Nam-cheon as a writer in a transition period by understand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that he faced and analyzes development into aesthetic principle from moral consciousness that is different from Balzac``s. This time, ``morality``, an important key word to understand Kim, Nam-cheon``s aesthetic principle, will present a methodology to read one section of an era. Moreover,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on theory, understanding Balzac``s principle that Kim, Nam-cheon accepted, can be helpful in reading one section of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Joseon.

      • KCI등재

        논문 : 소설의 알바이트화, 장편소설이라는 (미완의) 기투 -1940년을 전후한 시기의 김남천과 『인문평론』이라는 아카데미, 그 실천의 임계

        장문석 ( Moon Seok Ja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1930년대 단편소설만을 창작하던 김남천이 1940년을 전후한 시기 장편소 설로 나아가게 된 것에는 리얼리즘의 갱신이라는 문제 외에 아카데미즘에의 접근이라는 문제 또한 맞물려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김남천은 발자크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자신의 관찰문학론이라는 창작방법을 제출하는데, 이 작업은 최재서가 적실히 지적했듯, ``알바이트``로서의 속성을 강하게 지닌다. ``알바이트화``란 (학술적인) 연구의 기반 위에서 문학적인 창작을 수행하는 행위이다. ``알바이트``의 결과, 김남천은 발자크의 인물 재출 방식을 발견하고, 장편소설에서 강조점을 주인공에서 장의 구성력으로 옮기게 된다. 이러한 시각에서 『사랑의 수족관』을 살펴볼 경우, 중층적인 장의 구조로서 당대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묘파하고자한 김남천의 시도가 드러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최재서가 중심을 잡고 있던 『인문평론』이라는 장 안에서 이루어진 김남천의 아카데미즘에의 접근과 연구라는 이성적인 작업을 통해서 소설을 쓴다는 것은, 이성이 위기를 맞은 파시즘 시기에 서구의 근대적 지성을 옹호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중일전쟁기 동아협동체론 내부에서만 그 발화가 가능했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은 한시적인 것이기도 했다. 『낭비』가 그리고 있는 것이, 파시즘기 식민지 조선에서 아카데미즘의 불가능성이라고 할 때, 그것은 김남천 자신의 ``알바이트``와 장편소설의 불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했다. 실제로 『낭비』가 미완 이후, 김남천은 장편소설을 더 이상 창작하지 못하였고, 그가 목도한 것은 태평양전쟁기 조선의 아카데미즘이 이성과 결별해가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김남천이 보여준 ``알바이트``와 장편소설의 기획은 1940년을 즈음한 시기, 이성의 한 임계를 보여준다. Kim, Nam-Cheon who had created only short stories during 1930`s, started to create full-length novels in 1939. This is related to not only his attention to renewal of realsim, but also his approach to academism, Through his study about Balzac, and he consequently made what he called ``Observation-Literay Theory``. Choi, Jae-Seo, a critic, called his work ``arbeitization`` of criticism. ``Arbetization`` was to create literary work based on research which was often academic in nature. Kim argues that the important key of novel is not the protagonist but constitution. He wrote The Aquarium of Love, in accordance with his study. This novel was tried to represent the overdetermination of Colonial Choseon. But his study was only possible within the discourse of the Community of the East-Asi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therefore had mant contigent limitations. Writing a novel through the rational activity of research was also advocating the modern western intellect in the time of fascism threatening reason. The Waste, Kim`s another and last novel before the liberation, implied the (im)possibility of academism in Choseon, at that time. In fact, after the unfinished The Waste, Kim couldn`t create a full-length novel before the libearation, because he concluded that the academism and reason couldn``t work more in Colonial Choseon. What he witnessed was the process of how the academism in Choseon divorcing with reason at the tome of the Pacific War. Kim`s ``arbeit`` around 1940`s was one of limits of reason. (This abstract could be written with the help of advice of Koo, Bon-Hyuk)

      • KCI등재

        김남천 문학의 외연 확장을 위한 시론 (1)-전집 미수록 산문(1935-1940)을 중심으로

        손정수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0

        This thesis summarize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welve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35 and 1940 among Kim Nam-cheon’s prose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entire collection, and compares them with existing perceptions of Kim Nam-cheon’s literature. Through that work, this article aims to reveal a new aspect of Kim Nam-cheon’s literature and to derive an extended extension from it. As a tentative result of that practice, this thesis firstly examines literary landscape that was newly reorganized in the late 1930s, and Kim Nam-cheon’s reaction to it and the specific aspects of his searching for a new direction. By extension, it secondly confirms the specific trend of passivity appearing in Kim Nam-cheon’s literature in the midst of the tension and pressure of the environment heightened by the Pacific War. This stage is planned to lead to a follow-up work targeting the newly confirmed prose of Kim Nam-cheon from 1940,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xpanded appearance of Kim Nam-cheon’s literature will be richer and clearer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이 논문은 전집에 수록되지 않은 김남천의 산문 가운데 1935년부터 1940년까지 발표된 열두 편의 글을 대상으로 그 내용과 특징을 정리하고 그것과 김남천 문학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비교하는 작업을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작업을 통해 김남천 문학의 새로운 양상을 드러내고 거기에서 확장된 외연을 도출하는 것이 이 글이 목표로 삼는 바라고 할 수 있다. 그 수행의 잠정적인 결과로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 문학적 지형과 그에 대한 김남천의 반응 및 새로운 방향 탐색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피는 한편, 태평양 전쟁을 계기로 하여 더 고조된 환경의 긴장과 압력 속에서 김남천 문학에서 나타나는 수동성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단계는 1940년 이후의 기간을 범위로 하여 새롭게 확인한 김남천의 산문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작업으로 이어질 계획이며, 그 전체적인 과정을 통해 김남천 문학의 확장된 외연은 좀 더 풍부하고 선명한 모습을 드러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카프비평사의 탈구축과 재구성 : ‘박영희-임화’ 노선과 ‘김기진-김남천’ 노선의 비교 연구

        이도연 ( Lee Doyeo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박영희-임화’ 노선은 상대적으로, 경험적 현실로서 객관적 존재보다는 뚜렷한 의식지향성으로서 주체의 주관적 의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보다 두드러진다. 반면 ‘김기진-김남천’ 노선은 비교적 마르크스주의의 이념형을 지향하면서도 끊임없이 식민지 조선의 경험적 현실을 환기하며 그 문학적 사유의 구체성을 견지하고자 노력했다. 이는 김기진, 김남천 역시 박영희나 임화 등과 똑같이 아이디얼리즘이라는 확실한 고정점을 지녔음에도, 본질적으로는 리얼리스트라는 일관된 문학적 입장으로써 자신들의 비평을 시종하게 했던 버팀목이었다. 부연하자면 김기진의 사유체계는 이론과 현실의 부단한 변증법적 상호작용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김남천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논쟁에서 김기진 등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조선의 경험적 구체성을 더욱 강조했던 사실 등은 바로 본고의 관점과 논리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상의 서술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김기진-김남천’ 노선은 상대적으로 인간의 주관적 실천의지보다는 객관적 존재로서 경험적 현실을 기반으로, 문학예술의 공리적 성격을 충분히 인식하면서도 예술의 자율성과 문학의 특이성 등에 대해 기꺼이 승인할 수 있는 열린 체계로서의 신축적 개방성과 사고의 유연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카프비평사의 재구성에 있어서도, ‘박영희-임화’의 노선보다는 ‘김기진-김남천’의 노선이 보다 강조되고 재음미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카프문학비평사를 지나간 과거의 유물이 아닌, ‘지금-여기’ 문학의 창조에 새롭게 기여할 수 있는 현재의 문학적 전통으로 갱신하기 위함이라 하겠다. The ‘Park, Young-hee-Im, hwa’ line is relatively more pronounced, as an empirical reality, a tendency to rely on the subject’s subjective will as a distinct consciousness-oriented one rather than an objective being. On the other hand, the ‘Kim, Ki-jin-Kim, Nam-cheon’ line sought to maintain the specificity of their literary cause, while constantly invoking the empirical reality of colonial Joseon while pursuing the ideological type of Marxism. This was the buttress that led them to follow their criticism as consistent literary positions, essentially realists, even though they also had the same firmness of idealism as Park, Young-hee and Im, Hwa. To add on, Kim’s thinking system can be summed up by constant dialectical interaction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Kim, Nam-cheon’s emphasis on the empirical embodiment of colonial Joseon, like Kim, Ki-jin in the socialist realism debate, is the support of the main idea and logic. Considering the above descriptions comprehensively, it can be assessed that the ‘Kim, Ki-jin-Kim Nam-cheon’ line, based on empirical reality as an objective rather than on the subjective will of human beings, implies flexible openness and flexibility of thinking as an open system that fully recognizes the utilitarian nature of literary art, while willing to approve the autonomy of art and the peculiarity of literatu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Kim, ‘Ki-jin-Kim, Nam-cheon’ line needs to be emphasized and re-enacted rather than the ‘Park, Young-hee-Imhwa’ line in the future as well. This is to renew to the present literary tradi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ow-here’ literature, not to the relics of the past that passed the history of KAPF criticism.

      • KCI등재

        김남천의 ‘감각’적 신체로의 탈주 - 김남천의 「공장신문」과 「물!」을 중심으로 -

        김지연 ( Kim Ji-yeon )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5

        이 글은 1930년대 초반, 카프 문학사에서 이른바 「물」 논쟁의 중심에 섰던 김남천의 소설 창작방법의 전회 지점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공장신문」(1931)과 「물」(1933)을 비교하여 창작방법이 전회한 이유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생성의 철학자로 알려진 들뢰즈의 사유를 통해 김남천의 초기 단편소설을 읽었다. 「공장신문」과 「물」은 공통적으로 ‘물’을 매개로 한 소설이다. 「공장신문(工場新聞)」은 김남천이 김기진 등의 대중화론을 비판하던 때에 발표한 작품으로 볼셰비키론에서 내세우던 구체적인 창작 지침이라고 할 수 있는 ‘전위의 활동’과 ‘어용 노조의 분쇄’를 드러내고 있다.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전위의 수단이 되고 당의 관점을 널리 알리는 목적으로 활용되며 대중의 정치의식을 고취하려는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감옥에 다녀온 경험을 바탕으로 한 김남천의 「물」은 신체의 감각을 바탕으로 인간의 욕망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는 그 전의 작품들과는 확연히 다른 지점이다. 따라서 이 글은 ‘전위’의 활동과 구호에 집중하였던 소설의 인물들이 「물」에 이르러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살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 연구는 회화 작품에서 예술적 힘을 발견한 들뢰즈의 시도처럼 1930년대 소설인 김남천의 「물」에서 그 미학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김남천이 당시의 창작방법론을 근본적으로 갱신했다고 볼 때,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의 태도와 방법을 김남천의 소설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바로 감각적 신체를 통한 인물의 형상화 방법과 이 인물의 ‘동물-되기’, 나아가 ‘기관 없는 신체’로의 탈주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들뢰즈의 시각을 통해 신체의 생리적 감각을 넘어서는 새로운 힘을 포착하고 반재현을 통한 새로운 이미지로의 탈주의 지점을 작품 내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읽기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김남천 문학에 대한 긴 오해의 관행을 극복하고, 그의 문학을 재사유하는 시작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Kim Nam-cheon’s short story, Water,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so-called Water discussion in the history of KAPF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focused on the turning point of Kim Nam-cheon’s novel creation method. To analyze the reason and the effect of Kim Nam-cheon’s creation style change by comparing the Factory Newspaper and Water, the perspective of J. Deleuze who is the philosopher of becoming is introduced. Water is the main material that is used in Factory Newspaper and Water. Publishing Factory Newspaper, Kim Nam-cheon criticize the popularization theory of Kim Ki-jin and others, and in this novel. He also describes Potential Activities and Crushing of the Fishing Union, which can be said to be specific creative guidelines used in Bolshevikiron. Literature can be means to enhance the political perspective that the Nation promot the partys perspective. However, Kim Nam-cheons Water, which is based on his experience in prison, shows human desires from the senses of the bod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Th, his novel is severely criticized by Lim Hwa and other KAPF writers as a dev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ight-wing. However, this kind of evaluation o Kim Nam-cheons creation style doesn’t focus on his work. Th, this paper analyze how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of Kim Nam-cheon focused on the new laboring movement by men intelligence activities and slogans have changed in Water. Just like Deleuzes to discover aesthetic meaning in paintings, it is attempted to discover aesthetic meaning in Water in 1930s by Kim Nam-cheon, The methodology that Kim Nam-cheon to change his creation style shows Deleuzes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becoming. Deleuzes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like Becoming an Animal and even A Body without Organs is shown in Kim Nam-cheon’s depict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feelings of the body. T, it is possible to capture new forces through Deleuzes perspective beyond the physiological sense of the body and identify the point of escape to a new image through anti-reproduction. This new reading shall be the beginning of the new interpretation on Kim Nam-cheon’s works, which shall the rebirth of his works.

      • KCI등재

        김남천 문학에서 고발의 실천적 함의 연구

        류동일 ( Ryu Dong-il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이 논문은 김남천 문학에서 고발이 실천적 관점에서 지니는 기능의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남천의 작품들이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나온 그 나름의 대응책이었음을 감안할 때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주체의 자기동일성을 전제로 한 연구방법보다는 그 실천들 각각의 고유한 맥락에 대한 검토 위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김남천이 어떠한 맥락에서 고발문학론을 내세우고 있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카프해산 이후 김남천은 새로운 창작방법론으로 고발문학론을 내세우고, 고발이 정체된 프로문학을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고발문학론에 대한 연구는 김남천이 무엇을 프로문학의 위기로 보았는가, 고발이 어떤 점에서 그 위기를 극복하는 방향이 되는가, 고발은 어떤 효과를 지니는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김남천은 프로문학의 위기를 프로문학을 창작자들이 소시민이라는 점에서 찾았다. 김남천에 따르면 소시민-주체로서 이들 작가들은 현실을 특정한 방식으로 고착화하는 거시정치적 인식의 한계를 지닌다. 이 한계에서 벗어나, 실재에 기초한 변혁의 힘을 포착할 수 있게끔 하는 미시정치적 시각을 확보하는 방법이 고발이다. 김남천은 고발을 통해 프로문학을 창작한 작가들이 소시민 주체에서 벗어나 새로운 존재로 변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또한 김남천은 구체적인 작품 창작을 통해 이 가능성을 타자와의 접속에서 찾고자 했다. 김남천 문학이 지닌 가치는 여기에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meaning of the practical functions of accusation in Kim, Nam-Cheon’s literature. Since Kim Nam-cheon’s literature was the responsiveness for his practice, research on his literature needs to proceed from a review of the unique context of each practice rather than a premise of subject as self-identity. In this respect, it should be noted that Kim Nam-cheon promoted the accusation literature in a certain context. After the disorganization of KAPF, Kim proposed accusation as a methodology of novel creation. According to Kim, the way of accusation could renovate a proletarian literature which had been retrogressive. Therefore, explaining meanings of accusation in Kim’s writings has to reveal what is the crisis of proletarian literature, how is accusation a way to overcome the crisis, and what is the effect of accusation in Kim’s writings. Kim saw that the proletarian literature was in a crisis since the writers of proletarian literature had been the petit bourgeois. In Kim’s thought, the writers as the petit bourgeois had experienced the limit of sight in mactopolitics which fixed the real in a certain way. Accusation as a methodology could break away the limit and acquire the sight in mactopolitics which was able to discover the power of revolution in the real. Through the discussion of accusation, Kim discovered the power of transition, which the writers of proletarian literature got out of subject as the petit bourgeois and became the new being. Through his concrete writings, Kim sought to catch this chance by the connection to the real. This is value of accusation in Kim, Nam-Cheon’s literature.

      • KCI등재

        자기의 서벌턴화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 -‘전향’과 김남천의 소설

        공임순 상허학회 2005 상허학보 Vol.14 No.-

        이 논문은 전향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에 대한 논리의 일단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전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전향은 전향한 당사자만의 문제도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만도 아니다. 오히려 전향과 관련해서 전향은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처럼 전향이 사회. 역사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져온 것이 사실이라면,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전향은 보편적인 의미가 아닌 그야말로 특정한 시각과 해석을 전제로 한 ‘전향’임을 먼저 밝힌다. 흔히 '전향'에 함축된 (지배하는) 권력과 (저항하는) 개인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는 일-국가적인 해석의 산물일 경우가 많다. 1937년 중일전쟁부터 급속하게 진행된 세계 질서의 강제적인 재편 속에서 식민지 조선 역시 아시아와 세계를 시야에 넣는 제국 주체로의 탄생을 피할 수 없었다. 이 상황의 변동을 어느 누구보다 민감하게 알아차린 사람이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전향'이라는 주어진 현실에 복종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변화된 지형 속에서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고자 주어진 현실을 최대한도로 활용한 능동적 행위자였으며, 이런 그들의 능동성은 자발적인 신민이기를 요구하는 제국의 정책과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익 못지않게 '전향' 사회주의자들에게 '전향'’은 코스모폴리탄이라는 이념형을 실현하는 일 계기로 다가온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전향'사회주의자들의 지속적인 담론 개입과 공격적인 의제 생산일 것이다. 현영섭은 내선일체를 통해 코스모폴리탄을 꿈꾼다. 내선일체에 적극적으로 복무함으로써 세계사적 이상을 실현한다는 현영섭의 견해가 극단적인 경우라면, 인정식은 과거의 업적이 오류에 찬 것이며 걸어온 노선이 잘못됐다는 말과 함께 새로운 진리와 신념을 향해 나아가는 이상인(理想人)을 요청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압력은 문학 내에서 유사하지만 다른 발화의 징후를 드러낸다. 김남천의 소설이 그 한 예가 된다. 김남천은 건설 기술자와 실업가, 전향한 사회주의자와 문학가를 소설의 중심인물로 삼아 서사를 주조해나간다. 김남천의 소설들은 코스모폴리탄으로서의 자격을 갖춘 자와 그렇지 않은 자를 예리하게 변별하고 있다. 구질서의 표상인 '전향'사회주의자는 신질서의 전형인 건설 기술자로 대체된다. 이 둘은 전혀 별개의 세계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들인 것이다. 한 쪽의 죽음을 댓가로 다른 한 쪽의 삶을 온존하는 기형적인 모습을 김남천의 소설들은 보여준다. 또한 구질서의 한 표상인 남성 - 문학가가 등장하는 김남천의 소설 '낭비'는 구질서의 모든 퇴폐와 타락을 도시의 신여성들에게로 되돌리고 있다. 이 타락한 자들과 동일한 공간에 존재한다는 불만과 공격성은 도시의 신여성을 한편으로 받아들이면서 한편으로 거부하는 주된 이유가 된다. 그가 구질서의 표상으로 사회에서 완전히 배제/탈락되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처럼 여성적인 자질의 부정성을 전유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김남천의 소설에서 ‘전향’은 과거와 현재와의 치열한 대결이 아니라 신질서의 제국 주체로 혹은 사회적 약자의 형상을 빌어 스스로를 변명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김남천의 많은 소설이 ‘전향’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운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research for clues of the logic of the Socialist writer's conversion. Today many investigators are working in the theme of conversion, and a number of results are produced. We have not to limit the matter of conversion to the person concerned or regard the matter as the past remains. Though the matter of conversion is always concerning the context of history. Thereby this matter which is used in this thesis is not the general notion, but the specified notion. Of course that supposes specific viewpoint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general, the matter of conversion have been implied the dichotomy between the power that dominate over the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who stands against the power. Maybe this is the result of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idea of one-country. A colony Chosun(식민지 조선) had a fate to become empire-subject who has the sight range from the Asia to the world since the reorgnization of world order ; specially after the war between China and Japan, 1937. The intelligentsia in Chosun early and sensitively had became aware of the situation and change.They did not only obey the given conditions, but also actively make possible effort to use the given conditions. They were active actor and wanted to the a subject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empire.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had the chance to make money and more to actualize the idea of cosmopolitan through the very conversion. This appeared the activity that conversed socialist writer produced continual intervention in social discourse and assaultive topic for discussion. Hyeon Yeong Seob(현영섭) was dreaming of becoming a cosmopolitan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osun and Japan(Naeseon Ilchae). His dream, hoping the actualize idea of the history of world, is an extreme case, on the other case is founded In Jeong Shik. He criticized false remains and called for the notion of an ideal man who works away pursuing the new truth and belief. These enforcement of that time showed the similar at the same time and different symptom of speech. As it were Kim Nam Cheon'(김남천)s novels. Kim Nam Cheon(김남천) composed the novels focussing on the main character like as an architect and engineer, an businessman, and a conversed writer. His novels show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ideal cosmoplitan and not. Also the conversed socialist writer who standed the old and past order replaced with the ideal architect and engineer who standed the new order. His works has the deformed feature to build one part with killing other part. And in his novel 'Waste(낭비)', the hero, standing the old order, is corrupted by another fact. Writer takes hero's blame upon other women who are modern female in the city. Hero's corruption resulted from coexistence with that women, so in the novel there are lots of critic and attack for them. But those modern women is a dispensable fact, because their existence could explains the hero's corruption and hero, representation as the writer's own or male at that times, has a place of refuge. His novels common showed the fact that conversion is not result of competition with the real conditions of that world, but result of the vindication with the figuration an imperial subject in the new ordered world or a loser.It is interesting that his works are direct dealing with the theme of conversion, but indirect dealing with above that way of expression.

      • KCI등재

        金南天의 小說, 『大河』의 體育文化 연구

        주동진,김성일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김남천(金南天; 1911-1953?)의 장편소설, 『大河』는 개화기(開化期, 1876-1910), 당시의 사회풍습을 상세 히 묘사하고 있다. 소설에서 이렇게 많은 체육종목과 당시의 체육문화를 설명하는 문학작품은 드물다. 스포츠 소설이라 고 하더라도 이것은 주로 한 종목에 국한된다. 그러나 김남천의 소설, 『大河』는 가족세태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체육문화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大河』는 개화기의 체육문화를 찾는데 중요한 문학작품이며, 체육학 사료(史料) 로써 그 가치가 크다. 『大河』에서 찾은 체육문화는 첫째, 여가문화로서 낚시・매사냥(放鷹)・말 타기・뱃놀이・장기(將 棋)・삼십육계(三十六計)・화투(花鬪), 둘째, 단오(端午)행사의 준비와 체육종목으로 씨름・그네・사자춤・학춤, 셋째, 대 운동회의 줄다리기・기마전(騎馬戰)・장애물・장내일주・이인삼각(二人三脚) 경주 등이 있다. Kim, Nam-Cheon(1911-1953?) Created the novel Dae-Ha(A Large River). This book details the social customs of the Enlightenment Period(開化期; 1876-1910). Dae-Ha described many sporting events at that time. This is rare in novels. A sports novel mainly talks about one sport. Kim Nam-cheon's novel, ‘Dae-Ha’ is a family novel. However, ‘Dae-Ha’ describes many sports. Therefore, ‘Dae-Ha’ is an important literary work for finding the sport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hat is, 'Daeha' is valuable as a historical material of the physical education. The sports culture found in "Dae-Ha" is as follows. First, leisure culture is fishing, hawking, horse riding, boating, Jang-Gi(將棋; Chinese chess), SamSibUgGey(三十 六計; Gambling in the Joseon Dynasty), and HwaTu(花鬪; Gambling in Korea). Second, the sporting events at the Tano Festival are Ssireum(Korea's wrestling), swinging game, SaJaChum(Korea's Lion Dance), and HagChum(鶴舞; Korea's Crane Dance). Third, Sports Festivals played tug-of-war, Gimajun(騎馬戰; horse-fighting), obstacle races, first-round racing, and two-man tripod races(二人三脚).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