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 전사 조립하기:기술 인력의 양성으로 살펴본 구미 전자산업도시의 형성

        김희숙 한국과학기술학회 2023 과학기술학연구 Vol.23 No.1

        Technical workers called 'industrial warriors' in Korea in 1970s were usually described as heroes who contributed to industrialization. They became a symbol of Korea's technological power because they diligently dedicated their work. However how industrial warriors came to the forefront of industry is not well known. Starting from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heavy chemical industrialization policy, various forms of un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ttempted,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y were deployed to industrial sites through this. This article explore how the technical manpower in the electronics industry was fostered in Gumi city,Gyeongsangbuk-do in the 1970s.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omplex completely changed the shape of a typical rural society. Gumi, Gyeongsangbuk-do was planned to specialize in the electronics industry. For this, a large number of technical manpower suitable for the Gumi Electronics Industrial Complex had to be supplied. Gumi Electronics Technical High School educated and provided skilled workers for the factories as the site of production. 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Electronic Engineering took the responsibility for the supply for the field technicians who should control the factories. As a result, it came to realize the technical education of professional technician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on its own. With this process, Gumi, Gyeongsangbuk-do became the city where the industrial warriors in the electronics industry were intensively nurtured and its identity has been established as an urban space where industrial factories gathered all together. 1970년대 한국에서 ‘산업 전사’로 지칭된 기술 노동자들은 산업화에 기여한 영웅들로 묘사되기도 한다. 때로는 국가의 기술력을 상징하거나, 자신의 일에 헌신하는 모습을 주로 보여준다. 그러나 산업 전사들이 어떻게 산업 전면에 등장했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경제개발계획과 중화학공업화정책을 기점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업교육과 훈련이 시도되었고, 이를 통해 산업현장에 배치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970년대 경상북도 구미라는 도시 공간 안에서 전자공업 분야의 기술 인력이 양성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공업단지 조성은 전형적인 농촌사회의 단면을 완전히 바꾸었다. 그리고 경상북도 구미는 전자공업으로 특성화되었고, 구미전자공업단지에 적합한 기술 인력이 대거 공급되어야 했다. 공장이라는 생산 현장에서 필요한 기능공은 구미전자공업고등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실업교육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생산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장기술자에 대한 수요는 경북대학교 전자공과대학에서 실습 교육을 통해 충족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체적으로 전자공업 기술 인력의 기술교육을 실현하게 된 것이다. 경상북도 구미는 전자공업의 산업 전사가 집중적으로 양성되고, 산업 전사가 집결한 도시공간으로 정체성이 확립되었음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산업클러스터 형성과 발달의 정치경제

        허인혜(Heo In hye) 21세기정치학회 2011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1 No.1

        Recently, the concept of industry cluster has received wide attention from lots of countries as a tool for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Extant literatures on clusters intend to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formation of successful clusters in Korea. As yet, however, those studies show a strong tendency to take a cluster just a regional or local entity, which is a more complicated entity that embeds itself in political economic context of a country in a specific period. Instead of rehashing the previous work on clusters, this article discuss Gumi industrial park in Korea and Silicon Valley in the United States, the most successful clusters in each country, and explores the close linkage between political economic systems and development pattern of these clusters. It then elaborates some policy and academic implications from a comparative political economic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