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통과 사이코드라마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사이코드라마 활용 방안-

        최윤미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4 No.2

        This is to find ways enhancing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psychodram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communication styles first : verbal vs. nonverbal, intrapersonal communication v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e person has to aware what he/she wants to communicate, desire, emotion, his/her states, attitudes, etc. first,; intrapersonal communication. Then he/she can transmit what he/she really wants to tell verbally and nonverball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y reviewing various researches this study find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communication. As a way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many psychologists uses various intervention technique. Among them, people can develop one'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group psychotherapy. In this study eleven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psychotherapy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drama. In conclusion psychodrama can contribute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both through enhancing self-awareness, that is intrapersonal, and develop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방식과 비언어적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대인간 의사소통 양식을 살펴보고 사이코드라마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인간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욕구, 정서, 상태, 태도에 대한 인식, 즉 개인내 소통이 선행되어야 함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부정적인 기분을 덜 느끼는 것과 관련될 뿐 아니라 부정적인 기분에서 회복도 빠르게 한다는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개인 내 소통은 자존감 증진과도 관련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자신의 정서를 잘 인식하는 것이 타인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를 얻기 쉽다는 것을 시사하며 따라서 대인간 소통에 있어서 개인의 내적 소통의 결과들, 즉 정서나 태도, 욕구의 인식,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은 대단히 중요한 기본적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리학자들이 대인간, 개인내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집단 상담 방식의 치료적 측면과 사이코드라마가 가진 기법적 특성이 개인 내 욕구와 태도, 정서를 인식하고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켜 대인간 소통을 원활히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소통과 사이코드라마 -의사소통 능력 증진을 위한 사이코드라마 활용 방안-

        최윤미 ( Yoon Mi Choi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1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방식과 비언어적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대인간 의사소통 양식을 살펴보고 사이코드라마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대인간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욕구, 정서, 상태, 태도에 대한 인식, 즉 개인내 소통이 선행되어야 함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부정적인 기분을 덜 느끼는 것과 관련될 뿐 아니라 부정적인 기분에서 회복도 빠르게 한다는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개인 내 소통은 자존감 증진과도 관련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자신의 정서를 잘 인식하는 것이 타인과의 소통을 원활히 하는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를 얻기 쉽다는 것을 시사하며 따라서 대인간 소통에 있어서 개인의 내적 소통의 결과들, 즉 정서나 태도, 욕구의 인식,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은 대단히 중요한 기본적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심리학자들이 대인간, 개인내 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집단 상담 방식의 치료적 측면과 사이코드라마가 가진 기법적 특성이 개인 내 욕구와 태도, 정서를 인식하고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켜 대인간 소통을 원활히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is to find ways enhancing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psychodram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communication styles first : verbal vs. nonverbal, intrapersonal communication v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o communicate effectively, the person has to aware what he/she wants to communicate, desire, emotion, his/her states, attitudes, etc. first,; intrapersonal communication. Then he/she can transmit what he/she really wants to tell verbally and nonverball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y reviewing various researches this study find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communication. As a way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many psychologists uses various intervention technique. Among them, people can develop one`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group psychotherapy. In this study eleven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psychotherapy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drama. In conclusion psychodrama can contribute to enhance communication ability both through enhancing self-awareness, that is intrapersonal, and developing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비고츠키 "내적 언어"의 도덕 교육적 함의

        이애란 ( Ae Ran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3 윤리교육연구 Vol.0 No.3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자율론적 접근의 대안으로 덕목교육을 강조하고, 도덕 사회화를 도모하는 인격(덕)교육적 접근이 주도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관점, 특히 내적언어에 주목하고, 여기에 함의된 도덕교육적 접근에 관한 사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비고츠키는 도덕적 기능을 포함하는 고등정신기능의 기원을 사회문화적 맥락에 둔다. 그리고 고등정신기능의 발달을 위해 사회문화의 내면화과정에 관심을 기울이고, 사회문화의 내면화과정에서 언어의 매개적 역할을 중시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도덕적 행위는 언어에 의해 매개된 행위이다. 그는 언어와 사고 사이의 관계분석을 통해 내면화 관계를 규명하고, 사고의 발달은 사회로부터 개인으로 즉, 개인간 심리과정(외적언어)으로부터 개인내 심리과정(내적언어)을 진행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기본정신기능이 환경의 통제에 의해 인도되는 반면에, 고등정신기능은 자기규제에 의해 인도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고등정신기능으로서 내적언어의 형성은 자기규제능력을 의미하며, 도덕적 기능으로서 내적언어는 도덕행위를 위한 내적인 도덕적 대화로서 역할을 한다. 내적 도덕적 대화로서의 내적언어는 행동을 위한 자기규제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적 기능의 발달을 위해 도덕과 교육은 도덕사회화의 토대 위에서 의사소통적 대화를 통한 자기구성적 능력을 함양하는 접근방식을 견지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