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화선 수행이 중,고령자의 심리적 특성(우울, 불안, 분노)에 미치는 효과

        김병수(Byeong Soo Kim),조기룡(Ki Ryong Cho),배효상(Hyo Sang B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본 연구는 불교명상 방법 중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중?고령자 를 대상으로 4주간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연구 대상자의 심리적 특성(우울, 불안, 분노)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의 의미를 논의해보면, 첫째,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고령자 들은 간화선 수행을 하고 난 후 우울과 불안(상태 불안, 특성 불안)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분노 척도의 경우, 분노 하위요인 중 분노 통제요인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화선 수행 전?후의 우울, 불안, 분노 수준 변화는 체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체질에 따라 효과크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간화선 수행 전?후의 우울 수준 변화를 살펴보면, 음인집단이 양인집단 보다 간화선 수행 후 우울 수준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크기도 음인집단이 양인집단보다 크게 나타났다. 반면, 간화선 수행 전?후의 불안 수준 변화를 살펴보면, 양인집단이 음인집단 보다 간화선 수행 후 불안 수준이 더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크기도 양인집단이 음인집단보다 크게 나타났다. 한편, 간화선 수행 전?후의 분노 수준 변화를 분노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상태 분노와 특성 분노의 경우 노(怒)와 애(哀)의 성정(性情)을 위주로 하는 양인집단이 음인 집단보다 간화선 수행 후 분노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크게 나타나 간화선 수행프로그램이 중?고령자 의 분노 수준 감소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은 중?고령자 의 우울, 불안을 감소시키고 분노 통제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또한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은 체질에 따라 심리적 특성(우울, 불안, 분노)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sis is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lated to cultivating “Ganhwaseon” (a mental training method of Close eyes andMediating in Silence and Getting off World``s Thoughts), one of the types ofMediation pursued by Buddhist Zen Sect.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for four weeks, the program of “Ganhwaseon”, targeting the middle and old aged to review how the research subjects have changed their psychological traits (depression, anxiety, anger). The analytic research outcomes follows as the below. First, those middle old aged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Ganhwaseon”, suffer from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line in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state-trait anxiety) after participating in “Ganhwaseon”. As for the anger scales, only anger-controlling factors out of sub-factors of anger show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Second, the change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in pre- and post- “Ganhwaseon”, show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s in physical dispositions, while the effects of such training make a difference in those dispositions. As for the changes of depression levels in pre-and post “Ganhwaseon”, the Eum-in shows a even lesser decrease in depression levels, compared with the Yang-in, after receiving the training. For the effects, the former group is greater than the latter one. Meanwhile, the anxiety levels in preand post-“Ganhwaseon”, Yang-in group shows much lesser decrease in anxiety levels, compared with Eum-in group, after receiving the training. For the effects, the same result are revealed. The research thesis classified, by sub-factors of anger, the changes of anger levels in pre- and post-“Ganhwaseon” and reviewed it. The analytic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As for state-trait anger, Yang-in group mainly receiving the training to control anger and sadness shows a even more substantial level in alleviating anger, compared with Eum-in group doing that, after participating in “Ganhwaseon”. This evidences that the program of “Ganhwaseon” has the effects in mitigating angers of the middle and old aged. Based on the analytic research outcom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gram of “Ganhwaseon” relieves off depression and anxiety by the middle and old aged and enhances the levels of controls over anger. Besides, it can be said that the effects of the program of “Ganhwaseon” on psychological traits (depression, anxiety, anger) make a difference in each physical disposition.

      • KCI등재

        신비주의의 관점에서 바라본 간화선(看話禪) - 종교체험과 수행 개념을 중심으로 -

        성해영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이 논문은 ‘종교체험(religious experience)’을 분석의 도구로 삼아 신비주의의 비교 연구(comparative study of mysticism) 관점에서 간화선을 분석한다. 간화선 전통이 속해 있는 선 불교는 수행과 체험의 관계를 믿음이나 은총과 같은 개념에 의지하지 않고 이성에 호소해 설명하 려는 대표적인 신비주의 전통이다. 수행 전통으로서의 간화선의 특징을 종교체험과 신비주의라는 개념을 활용해 분석하면 이 점이 훨씬 분명하게 드러난다. 비교의 관점에서 간화선은 여타 전통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첫째, 간화선은 인간 언 어의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면서도 언어를 수행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둘째, 간화선은 여타 전 통보다 개인의 체험에 초점을 맞추는 철저한 경험주의와 개인주의에 기반을 둔다. 끝으로 간화선 은 풍부한 ‘역설(paradox)’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신비주의의 특성을 잘 드러낸다. 그리고 간화선의 이런 특성은 신비주의의 비교 연구 관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질문들로 이어진다. 간화선은 언어와 언어 너머의 경지, 주체로서의 개인과 자성(自性)이 없는 개인, 종교체험(禪)과 해석(敎)의 사이의 긴장, 초월과 내재 등 여러 차원의 역설을 명쾌하게 인식하는 수행 전통이다. 하 지만 빛이 밝을수록 어두움 또한 깊어지는 것처럼, 간화선 전통이 자리한 역설적 기반은 엄중한 균 형 감각을 요구한다. 요컨대 간화선 수행의 신비주의적 해석은 그 독특성을 잘 보여주는 거울이 될 수 있다. 반대로 간화선 전통은 신비주의에 내재된 대극적 쌍이 만들어 내는 긴장과 역동성을 극명 하게 드러내 보여, 신비주의 그 자체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만들 수 있다. 이 점이 바로 우리가 비 교종교학과 간화선 전통의 만남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Religious experience’ can be a useful tool for analysing ‘Ganhwaseon(看話禪)’, which is a typical mystical tradition. Ganhwaseon, analyzed by means of the concept of religious experience and mysticism, bring to light mystical dimension in many ways. First, Ganhwaseon clearly recognized the limit of human language, yet it positively utilized it. Second, Ganhwaseon is more firmly based on radical empiricism and individualism than any other mystical traditions. Finally, rich paradox inherent in Ganhwaseon conspicuously reveal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mysticism. Furthermore, these traits raised numerous interesting questions in terms of mystical practices, mystical experience, and mystical thoughts.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mysticism can be a very useful ‘mirror’ which reflects uniqueness of Ganhwaseon. On the other hand, Ganhwaseon, exposing the tension and dynamics of pairs conflicting opposites, provides a chance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mysticism. This is why the encounter between Ganhwaseon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mysticism can be fruitful and productive.

      • KCI등재

        간화선 대중화 고찰

        김택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6

        The part of practicer in Korea consider Ganhwaseon(看話禪) as a mainly family tradition in Seon sect(禪宗). Ganhwaseon that is Hwaduseon(話頭禪), has great power to cut off the flow of delusive consciousness, so it is called the Seo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to point directly at the minds of men so that they might see the nature and achieve Buddhahood. However people are running empty on following such practice method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 to counter this, they are interested in the vipassana of early buddhism and the practice method of third party. This study focus on finding of popularization method of today's Ganhwaseon. First of all, it looks into the merits and demerits of Ganhwaseon and in order to succeed Ganhwaseon popularization, it also studies the practice method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that people can access generally. Finally, this study sees the example of actual participation in Hwadu and psychosocial effect in Angukseonwon which succeed in Ganwhaseon popularization. It focus on Master Subul's teaching such as Hwadu pose, the method of thought, Hwadu examination and certification, and supplement point. Through this study, people understand Ganhwaseon correctly by arranging the practice method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to practice generally. Finally it hopes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Ganhwaseon's popularization fo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우리나라의 간화선 수행은 보조지눌 이후로 전해졌으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주된 수행가풍으로 삼고 있다. 간화선이 화두 참구법으로 분별의식의 흐름을 차단하는 뛰어난 힘을 갖추고 있으며, 자신이 본래 부처라는 전제하에 바로 직지인심 견성성불하는 돈오돈수의 참선법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에 반해 대부분의 대중들은 이러한 돈오돈수적 수행법을 따라가기에 역부족이고 반대급부로 남방의 위빠사나 혹은 제 3수행에 관심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 간화선의 대중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는데 먼저 현재 행해지는 간화선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보았다. 차제로 간화선의 대중화를 성공하기 위해서는 간화선에서 대중들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돈오점수적인 수행법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현재 한국불교에서 간화선을 대중화하는데 대표적인 사례로 안국선원의 간화선 대중화 사례를 살펴보았다. 안국선원장 수불 스님의 화두제시와 참구법, 화두의 점검과 인가, 그리고 보완해야 할 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간화선이 대중적으로 실참 될 수 있는 돈오점수적 수행법에 대한 정리를 통하여 간화선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간화선이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 대중화하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歐羅巴의 看話禪 修行 - 現況과 前望 : 歐羅巴의 看話禪 修行

        서명원(Bernard Senecal sj)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5 No.-

        본고는 구라파의 간화선 수행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밝힌 논문이다. 구라파의 간화선은 中國, 韓國, 일본, 베트남 등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이렇게 전래된 간화선은 서구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흡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서양의 문화전통 속에서 어떻게 간화선이 전개되어 왔는지에 대한 논의를 자세히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韓國看話禪은 歐羅巴에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영역이기에 더 희망을 가질 수 있다. 둘째, 韓國佛敎 역사상 知訥의 입장은 아주 독창적이다. 셋째, 性徹 스님의 頓悟頓修 사상이 큰 논쟁을 일으켰던 만큼 韓國佛敎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더욱 더 매력적이자 흥미 있게 느낄 수 있다. 넷째, 佛敎와 그리스도교가 공존해야 하는 오늘의 한반도 현실은 세계에 유일한 것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看話禪을 이루는데 상당히 유리한 입장이 된다.(두 宗敎의 신자가 각각 인구의 1/4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다섯째, 韓國에 韓國禪道會 같은 在家修行者들을 위한 단체들이 있기 때문에, 이는 西洋에 알려질 만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한 고찰

        이필원(Lee, Pil-W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5

        불교는 오랜 역사만큼 다양한 수행방법을 발전시켜왔다. 불교 수행의 특징은 단순한 이해의 차원이 아닌 체험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인격의 완전한 변화를 초래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불교 수행의 핵심은 수행 전과 수행 후의 인격의 ‘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수행법 가운데 간화선에 주목하여,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이 갖는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수행이 궁극적으로 인격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하면, 수행의 과정 속에서 전격적인 인격의 변화는 아니더라도 부정적인 심리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경험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특히 그 변화의 중심에는 ‘앎’이 놓여 있다고 필자는 이해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불교 수행의 특징을 ‘참된 앎’의 획득에서 찾고, 이러한 전통을 가장 잘 계승하고 있는 수행법 가운데 하나가 바로 간화선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불교의 많은 수행법이 결국은 지혜를 계발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간화선은 그것이 극단적으로 강조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간화선은 지혜를 계발하는 한 방법이고, 이를 통해 우리를 괴롭히는 번뇌가 지멸된다는 논리적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간화선이 심리치료적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사실 간화선은 모든 문제의 출발을 우리의 잘못된 ‘앎’에서 찾는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갖는 심리적 문제들 역시 많은 경우 잘못된 ‘앎’에 기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간화선의 ‘참된 앎’을 추구하는 방식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간화선이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기에,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에 적용된 예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심리문제 가운데, 특히 불안과 망상이라는 두 가지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문에서는 초기불교의 경전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간화선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간화선이 초기불교의 맥락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기도 하다. Buddhism, with a long history, has developed various types of practices. The feature of Buddhist practice is that the practice does not remain in the realm of simple understanding but extends to experiencing, which causes a complete change of personality. Therefore,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s is ‘change’ of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This article focuses on Ganhwa-seon,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Buddhist pactices, and investigates the psychotherapeutic functions of a practice program based on Ganhwa-seon. While the ultimate goal of practice is to change ones personality, a person participating in a practice program may easily experience a change of a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to a positive state, if not a complete personality change. It is understood that what is at the center of the change is ‘knowing.’ Therefore,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assumptions that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is at ‘true knowing’ and that Ganhwa-seon is the practice method which best succeeds such a tradition. In other words, if it is presum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many practicing methods of Buddhism is to acquire wisdom, Ganhwa-seon is the kind of practicing method in which acquisition of wisdom is extremely emphasized. Therefore, Ganhwa-seon is a method of acquiring wisdom, through which the defilement that distresses humans may be attenuated or eliminated. In this context, Ganhwa-seon may have psychotherapeutic functions. Ganhwa-seon presumes that the starting point of all problems is the wrong ‘knowing’ that people have. Most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at people have may also be caused by the wrong ‘knowing.’ Therefore, it is assumed in this article that the method of seeking ‘true knowing(=wisdom)’ in Ganhwa-seon may be applied to the resolution of such psychological problems. However, since Ganhwa-seon was not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sychological treatment, it was difficult to find examples in which Ganhwa-seo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erefore, this article is focused on two of the many psychological problems, which are anxiety and delusion. The article provides the scriptural basis of the early Buddhism to explain the features of Ganhwa-seon, indicating that Ganhwa-seon has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early Buddhism.

      • KCI등재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 연구

        최용운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6 No.-

        오늘날 간화선은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수행법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간화선을 태동시킨 중국을 포함해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다. 간화선에 대해 논할 때 창안자인 대혜종고와 국내에 간화선을 처음 소개한 보조지눌을 빼놓을 수는 없을 것이다. 대혜는 당시 중국 불교계에 만연했던 묵조선과 문자선의 폐해를 간파하며 그 병폐로부터 벗어나 증득에 이르는 올바른 수행의 길을 제시하고자 간화선을 창안하였다. 이 간화선 수행을 통해 대혜가 강조하고자 했던 중요한 정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선의 대중화’였다. 이 대혜의 사상이 대혜어록 을 통해 국내로 전해졌으며, 지눌이 이것을 접하게 됨으로써 최초로 간화선이 국내에 소개되었다. 대혜어록 을 접할 당시 지눌은 ‘지적 알음알이의 병통[知解病痛]’을 겪고 있었는데, 대혜의 가르침을 통해 그 병통을 물리칠 수 있었다. 이후 지눌은 본인이 정립한 세 가지 수행문[三門] 가운데 하나로 간화선을 포함시켰으며,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하며 간화선의 가치를 더욱 선양하였다. 하지만 지눌이 정립한 간화선 이론에 따르면 간화선은 최상승근기에만 적합한 수행이다. 이는 대혜가 간화선을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근본정신 가운데 하나인 ‘선의 대중화’라는 중요한 관점에서부터 너무 동떨어진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 불교계는 간화선의 대중화를 외친다. 하지만 지눌의 이론에 따르면 간화선은 결코 대중화될 수 없는 수행법이다. 간화선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이 최상승근기에게나 가능한 수행법이라는 이론을 정립한데는 지눌 나름의 개인적인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비록 그 이유가 그가 대혜어록 을 접할 당시의 상황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으로 인해 후대에 간화선 수행을 하고자 하는 이들 앞에 높디높은 장벽이 세워져서는 안 된다. 간화선의 대중화라는 화두를 타파하기 위해 지눌의 관점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oday Ganhwa Seon[Ch. Kanhua Chan 看話禪], as a representing practice method, has a matchless position in Korean Buddhism. This is a unique phenomenon that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country, including China where Ganhwa Seon was founded. In discussing about Ganhwa Seon we cannot count out Tahui Tsungkao[大慧宗杲, 1089~1163], the founder of Ganhwa Seon and Pojo Chinul [普照知訥, 1158~1210], a Seon master who was the first to introduce Ganhwa Seon to Korea. Penetrating the harmful effects of Mochao Chan[黙照禪] and Wentzu Chan[文字禪] that has prevailed in Chinese Buddhism, Tahui invented Ganhwa Seon in order to show the right way of practice for obtaining enlightenment. One of the important ideas that Tahui wanted to emphasize through the Ganhwa Seon practice was 'popularization of Seon'. The idea of Tahui, popularization of Seon, was transferred into Korea through Tahui yulu , by which Chinul introduced Ganhwa Seon into Korea. Chinul was undergoing ‘a sickness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知解病痛]’ at the time he encountered Tahui yulu _; through Tahui's teaching he was able to defeat the sickness. Afterwards Chinul included Ganhwa Seon as one of his three approaches of Seon practice and enhanced the value of Ganhwa Seon by giving it a new name, the ‘approach of no-mind that conforms with the path’[Musim hapto mun 無心合道門]. However according to the theory of Ganhwa Seon that was made by Chinul, Ganhwa Seon is suitable only for highly superior faculties. This position is far away from Tahui’s idea of popularization of Seon, one of the basic ideas that Tahui wanted to stress. Today Korean Buddhism emphasizes the popularization of Ganhwa Se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Chinul, however, Ganhwa Seon cannot be popularized at all. There is a personal reason explaining why Chinul made his theory that Ganhwa Seon is only possible for highly superior faculties. However, even if that reason was formed due to the context of the encountering with Tahui yulu , a high obstacle should not be built in front of practitioners who want to cultivate with Ganhwa Seon. In order to destroy the hwadu of the popularization of Ganhwa Seon, the perspective of Chinul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한국 근,현대 간화선사(看話禪師)들의 보조선(普照禪)에 대한 인식

        김방룡(Bang Ryong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본고는 근·현대 간화선사들이 보조선(普照禪)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간화선의 시원은 바로 보조 지눌이다. 지눌이 간화선을 최초로 국내에 소개하긴 하였지만 그에게 있어서 간화선은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에 들어가는 삼문(三門) 중의 하나에 속하는 것이었다. 또한 중국에 들어가 명안종사(明眼宗師)를 만나 화두를 직접 받아 간화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은 것이 아니라, 『대혜어록(大慧語錄)』의 한 구절을 열람하는 기연을 통하여 깨달음을 얻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간화선사로서의 지눌에 대한 평가는 탈중국적인 한국 간화선을 정착시켰다는 평가와 하택 신회(荷澤神會)와 규봉 종밀(圭峰宗密)의 선(禪)을 계승한 지해종도(知解宗徒)라는 상반된 평가로 나타나곤 한다. 근대 선승들은 조계종의 종명과 보조선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고 있었지만 현실적인 법맥은 태고법통설을 따르고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혼란과 재정비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하여 한암은 ``도의-보조 종조설``을 주창하였고, 성철은 ``태고법통설``을 주창하였다. 근 현대 선승 중 보조선의 계승을 통하여 간화선을 중흥한 대표적인 인물로 경허와 한암, 동산, 경봉, 효봉 그리고 구산 등을 들 수 있다. 근 현대 수많은 선지식들이 보조선풍을 드날렸지만, 그 중에서도 송광사의 효봉과 구산의 노력은 남달랐다. 이들은 보조의 계승의식이 남달랐지만, 사상적인 면에 있어서는 철저한 간화선사였다. 즉 간화선사의 입장에서 보조선을 이해하였고 돈오 후 점수 과정인 정혜쌍수에 대하여는 새롭게 해석하였다. 보조선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본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주장한 사람은 성철이다. 즉 보조의 ``돈오점수설``이 혜능과 마조와 임제를 잇는 임제선의 정통에서 벗어난 이단사설이라는 것이다. 보조의 돈오점수란 사실은 ``해오점수(解悟漸修)``로 하택과 규봉을 잇는 하택종의 종지이자 화엄선(華嚴禪)이어서, 이를 따르면 선문의 금기인 지해종도가 된다고 성철은 강력히 배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경허 이후 많은 간화선사들이 돈오점수와 선교일치를 주장하는 보조선을 간화선의 수행지침으로 여겨 왔음을 밝혔다. 다만 성철은 이러한 보조선을 태고법통설과 임제-대혜를 잇는 임제종의 종풍에 입각하여 강력히 배격하고 있음을 밝혔다. Through this paper I aim at investigating how modern Ganhwaseon masters recognized Jinul`s Seon. It was Bojo Jinul who started Korean Ganhwaseon. Jinul introduced Ganhwase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yet for him it belongs to one of the three practice styles to enter into ultimate awakening. Besides, he reached enlightenment not by receiving a hwadu from a clear-eyed master in China but by opportune conditions in which he read a passage of The Record of Dahui. It is for these reasons that the assessments for him as a Ganhwaseon master run counter to one another. After all, there are some who consider him as a pioneer in Korean Ganhwaseon distinguished from that of China while there are others who underestimate him as merely an intellectual succeeding to Heze(684~758) and Zongmi`s Chan of China. Modern Seon masters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names of ``Jogye Order`` and ``Bojo`s Seon``; however, Dharma lineages of today practically acknowledge Taego as the rightful successor of the Dharma. So the problem of orthodoxy requires settling. Hanam advocated ``the theory of Doui and Bojo as the founders`` while Seongcheol proposed ``the theory of Taego inheriting the orthodoxy of the Dharma``. There are lots of Seon masters who had their names up practicing Bojo`s Seon, for example, Kyeonheo, Hanam, Dongsan, Gyeongbong, Hyobong, and Gusan. Among them Hyobong and Gusan were conspicuous. Both of them were distinct in their determination to inherit Bojo`s thought. But they were Ganhwaseon masters. In other words, they accepted Bojo`s Seon from the perspective of Ganhwaseon masters and so renewed the interpretation of ``the balanced development of samadhi and prajna`` which was originally put forth for gradual cultivation after sudden awakening. It is none other than Seongcheol who criticized Bojo`s Seon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He asserted that Bojo`s approach of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was heretical against orthodox Linji Ch`an succeeding from Huineng to Mazu to Linji. Bojo`s was, according to Seongcheol, in fact ``the understanding-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haeo jeomsu)`` and the main principle of the Heze School, to which Heze and Zongmi belong, and the Avatamsaka Seon. So following it meant becoming ``the follower of discriminative intellect(jihae jongdo)`` which is a taboo among the Seon practitioners. That is why he repudiated Bojo`s approach strongly.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at most Ganhwaseon masters of the post- Gyeongheo era accepted as their guidance Bojo`s Seon which insisted on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he congruence of Seon and doctrines. Among others, Hyobong and Gusan greatly exalted Bojo`s Seon centering around Songgwang Temple. Despite favorable attitudes toward Bojo`s Seon, however, as I further examined, Seongcheol repudiated Bojo`s Seon based on the Dharma orthodoxy of Taego and on the Linji and Dahui style of Ganhwaseon.

      • KCI등재

        看話禪 대중화의 문제와 과제

        서재영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본고는 한국불교의 전통적 수행법인 간화선(看話禪)의 대중화를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에 초점을 두었다. 즉, ‘간화선의 대중화를 저해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와 ‘간화선을 대중화하기 위해서 종단적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가 그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고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간화선 수행의 대중화를 위해 극복해야 할 인식의 문제, 둘째 간화선 수행의 대중화를 위해 극복해야 할 수행풍토의 문제, 셋째 간화선 수행의 대중화를 위한 종단적 과제가 그것이다. 첫째, 수행의 대중화를 위해 극복해야 할 인식의 문제에 대해서는 본고는 모두 세 가지 문제를 지적하였다. ① 출가자와 재가자에 대한 이원적 사유와 이를 바탕으로 한 출가자 중심의 수행문화, ② 불자들 스스로가 수행을 어렵게 생각하고 스스로 기복적 신행에 안주하려는 태도, ③ 출가자들에게만 허용되는 수행도량의 폐쇄성과 일반인들을 위한 수행 도량과 프로그램의 부재를 꼽았다.둘째, 간화선 대중화를 위해 극복해야 할 수행풍토에 대해서는 ‘친절하지 못한 수행풍토’와 ‘간화 중심의 경직된 수행관’을 지적 하였다. 간화선이 제일이라는 경직된 수행풍토를 극복하기 위해서 취해야 할 조치로는 초심자들을 위해 수행 기초에 대한 자상한 배려와 간화선 이외의 수행법에 대한 개방적 태도가 필요함을 제기했다. 그리고 선 수행에 대한 학문적 연구 성과와 실제수행이 상호보완적 관계로 정립되어야 함을 지적했다. 셋째, 수행의 대중화를 위한 종단적 과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문제를 지적하였다. ①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는 재가불자(在家佛子) 전용 수행관을 건립하고 체계적인 수행 프로그램을 마련할 것, ② 종단적 차원에서 표준화된 수행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법의 통일성을 기할 것, ③ 비록 초심자라 할지라도 수행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지침으로 삼을 수 있는 표준적 수행 지침서의 발간, ④ 수행에 대한 대중들의 욕구를 수렴하여 이들을 올바로 지도할 수 있는 수행지도자의 체계 적인 양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grope for the popularization of Ganwha Seon(看話禪),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traditional ascetic in Korean Buddhism. I am focusing on 2 problems, which are 'what is the problem that disturb the popularization of Ganwha Seon?' and 'what are the tasks which should be forwarded by the Jogey Order(曹溪宗) to popularize Ganwha Seon?'. Based on a critical mind, this study, in the mass, was constructed by 3 parts, which are firstly, the problem of recognition, secondly, the problem of ascetic convention to be overcome to popularize Ganwha Seon, and thirdly, tasks by the aspect of the Jogye Order for the popularization of Ganwha Seon. At first, this study indicated three points about the problem of recognition to be overcome for the popularization of Ganwha Seon. The points are ① Dualistic recognition about recluses and a married Buddhists, and the recluse-centered ascetic culture based on that recognition, ② Buddhists' thoughts like 'Acetic is very difficult' , their attitude to stay at unstable beliefs, ③ Exclusion of ascetic seminary which is only permitted for recluses, and the absence of the programme for general people. Second, about ascetic convention, this study pointed out 'unkind ascetic convention', and Ganwha(看話)-centered strict aspect of ascetic. It is well known that Ganwha Seon, have the strictest ascetic convention, therefore to overcome its strictness, it was suggested to have delicate attention to the ascetic basic of beginners and open mind for other ascetic methods beyond Ganwha Seon Also, it was indicated to establish the mutual supplemental relation between the result from study and practical ascetic for the ascetic of Zen. Thirdly, there are 4 points to indicate what are the tasks which should be forwarded by the Jogye Order. ① It is necessary to build ascetic hall only for married Buddhists since general people can join ascetic, and to prepare organized ascetic programmes. ② Ascetic method should be unified, as the Jogye Order develop the standard of ascetic programmes. ③ The standard instruction for ascetic should be published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ascetic, even they are beginners ④ It was suggested to train ascetic directors who could properly teach the public with collecting the public's desire of ascetic.

      • KCI등재

        고려시대 간화선의 수용과 그 특징에 관한 고찰

        이점숙(영석)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한국선종에서 고려시대의 조사선 수용과 간화선의 수용과정은 한국적 선수행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논의가 될 것이다. 이에 많은 선행연구물이 있지만 한국의 산문에 유입되는 선사상적 차이점을 명시하지 못하고 있고 조사선 사 상을 표방하는 간화선, 혹은 간화선 수행법을 예시하지만 조사선으로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한국 선사상에 있어 중요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선사상적 차별성을 밝히기 위해 시대적 선사상의 조류를 먼 저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의 선종의 전통은 나말여초 입당 구법승들에 의해 산문선을 형성하게 된 것에 기초를 둔다. 제 산문은 간화선이 체계화되기 이전, 마조계 조사선의 수행법을 수용한 것이다. 고려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에 의하여 선종이 다소 위축되었으나, 12세기 이후 가지산문의 圓應國師 學一(1052∼ 1144)과 사굴산문의 慧照國師 曇眞을 계승한 默庵坦然(1070~1159), 그리고 이자현에 의해서 고려 선종계를 조직적이 고 체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북송대의 선사들과 교류하면서 선적과 함께 송대의 선풍을 도입 하여 고려에 새로운 선풍을 확립하였던 것이다. 고려 중·후기의 보조지눌은 三門을 제시하는 것과 아울러 정혜결사를 전개하는 수행전통으로부터 비로소 간화선 전 통이 펼쳤으며 그의 제자 진각혜심에게 계승되었다. 특히, 13세기말 수선사를 중심으로 유입된 선적을 통하여 간화선 의 수용은 14세기 말경에는 선문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혜계 몽산덕이 등을 탐방하고 유학한 많은 고려의 선 승들은, 본분종사의 가풍으로 화두를 참구하여 의심이 끓어지지 않도록 하고, 화두를 타파한 뒤에는 본분종사를 찾아 가 묻고 바른 깨달음인지 아닌지를 결택받는 간화선의 수행체계를 확립하게 되었다. 간화선의 수행체계는 사실 조사의 고칙을 이끌어 참구의 방편으로 삼는 것이므로 조사선의 경향과 동시에 화두 참구 라는 간화선의 중층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 위에서 간화선 수행체계가 전개되었던 것이다. Seon in Korea’s Koryeo Dynasty, Josaseon(祖師禪) and Ganhwaseon(看話禪)perform the acceptance process of Korean culture in line to say that identitywill be an important discussion. Although there are many intruder, entering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 do not have to specify. Josaseonsimilar to Ganhwaseon, or Ganhwaseon calls Josaseon and similar cases. Thismay be committing critical err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ine on theprehistoric era to uncover the ideological distinction first bird mentioned. The fact that the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GanhwaseonGochik(古則) radiation led to a way of meditation at the same time as the trend ofthe layered structure ganhwaseon a buzzword meditation(話頭參究) imitation. These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on the ganhwaseon system will ever perform.

      • KCI등재

        대혜종고 간화선에 나타난 대승정신과 간화선 대중화에 대한 小考

        吳容錫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대승불교는 불법을 통하여 자비로 널리 중생을 이익 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사상 안에는 나와 중생을 둘이 아닌 하나로 보는 깊은 자비심과 불법의 가르침을 통하여 이익을 나누고자 하는 구 체적인 개인적·사회적 실천정신이 늘 함께한다. 특히 선불교는 이러한 대승적인 정신을 ‘인간’이라는 活潑潑한 주체에 초점을 맞추고,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을 ‘사회’와의 긴밀한 관계를 통하여 풀어가고 자 수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대혜는 대승불교의 정신에 입각하여 “현실”이라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진리 추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는 진리 자체가 “진”과 “속”, “번뇌”와 “보리”, “중생”과 “부처”의 이원적 대립을 떠나있으며, 다시 그 떠난 무엇에도 속박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둘째는 이러한 진리의 특성에 비추어 본다면 “世間相”, “煩惱” 등을 떠나지 않고도 수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는 “眞俗不二”의 중도실상이 무차별만을 강조하여 수행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행을 부정하기 쉬운 오해와 결점을 “번뇌”에 즉하여 수행해 나갈 것을 유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간화선은 수행방법에 있어서 현실경계를 떠나 실상을 구하지 아니한다. 또한 서원, 발심, 자비심 등의 대승심은 “의정”을 일으키는 직접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간화선 수행이 단순히 개인적 번뇌로부터의 해탈만을 추구하지 않는, 보다 깊고 넓은 자비심과 서원이 바탕이 되지 아니하면 수행자 체가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화선도 지금의 한국이라는 구체적 인 현실세계를 직면하여 방편상의 변용과 수용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곧 ‘간 화선의 대중화’라는 말로 요약될 수 있는데, 특히 구체적인 수행방법에 있어서 간화선의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대중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보다 자세하고 체계적인 수행법으로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 내용을 제시하여 현대적 수용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첫째는 간화선 수 행을 위한 數息, 念佛 등 예비 수행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이며, 둘째는 화두를 드는데 있어서 좀 더 구 체적 단계 즉 念話頭, 誦話頭, 問話頭, 參話頭 등이 제시될 수 있는가의 문제이며, 셋째는 깨달음 제일 주의를 지향하지 않는 간화선이 가능한가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안이 지금 시대의 현실적 요구에 부합된다면 간화선의 대중화를 위한 방편으로서 충분히 고민되고 제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간화선 자체가 대혜종고가 처한 남송시대 의 현실적 요구에 의하여 제창되었듯이, 현시대의 근기와 상황에 따라서 간화선의 수행방법을 창조적 으로 변용하는 것은 꼭 필요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사물을 둘러싼 談論은 끊임없이 변해가듯 간화선 의 본질을 버리지 않는 창조적 수용과 변용은 지금 한국불교가 직면한 또 다른 ‘화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Mahayana Buddhism is to benefit people broadly with mercy through Dharma. By this thought, detailed individual and social practicing mind always work together to share profits. This phenomenon is available by considering myself and others as one not as separated. Especially, Seon Buddhism has used lots of efforts to focus on “human being” as an active core by using the mind of Mahayana in order to explain the ways of living in relation to the human society. Dahui has pointed out that it is possible to chase the truth in “the actuality” as real life situations by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his phenomenon can be analyzed by three dimensions. First of all, the truth itself is staying away from dual oppositions of “truth” and “false”, “anguish” and “enlightenment”, “all living being” and “ Buddha”, also it is not limited by what the staying away from dual oppositions. Secondly, it is possible to practice without leaving “the mundane world” and “anguish” by reflecting the phenomenon. At last, “truth” is leading the practicing not by denying the practicing with non-discrimination but by combining “anguish” with misunderstanding and faults, which easily can lead to deny the practicing. Ganhwaseon does not look for the actuality by passing the end line of the reality in the method of the practicing. Also, the doctrine of Mahayana Buddhism, which includes vows, the heart of enlightenment, compassion, works as a direct factor to stimulate “Doubts.” And, this paradoxically shows that the Ganhwaseon practicing would be very difficult without greater compassion and vows, which are not chasing only to overcome personal anguish. However, this Ganhwaseon was not able to consider whether taking methodological changes and adaptation by facing the real situations in Korea today. In short, that means the “popularization of Ganhwaseon”. Especially, there has been a topic arose if the specific training method could be popularized by being more detailed and kind without losing the core value of Ganhwaseon . The author has reviewed the problem of modern adaptation of Ganhwaseon by suggesting three topics. First topic is about a question that whether pre-practice sessions such as counting a breath, chanting a name of Buddha for the main practice are necessary or not. Second topic is related to a problem that if there could be a suggestions for more detailed steps such as chanting a Hwadu, recite a Hwadu, doubting a Hwadu, entering a Hwadu for the introduction of Hwadu. The last topic is about that if non realization pursuit Kanhwaseon would be possible. The author considered the needs of more discussions over those newly suggested methods for the popularization of Kanhwaseon if it is required by the present time. And, this is considered as a necessary trial to transform the training method of Ganhwaseon creatively relying on the modern situations of Korea as Dahui was created by the needs of the period of the southern of Song Dynasty times. The creative adaptation and transformation of Kanhwaseon topic without losing its core value is a unique topic that Korean Buddhism is facing nowadays as the truth that the talk around things changes endles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