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부학당과시제도(四部學堂課試制度)의 정비와 사학합제(四學合製)의 성립과정

        여영기 ( Young Ki Yeo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1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 trends and the administrative principles of The National School Examination System(Keshi zhidu, 課試制度) by reconstructing the newly established process of Sixuehezhi(四學合製) on Josen Dynasty in 17th Century. Sixuehezhi(四學合製) was a Keshi(課試) that had made by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Sixue(四學) Examinations, that is, Sixue lunci caishu(四學輪次製述), Sixue shinian lunjiang(四學式年輪講), Gongduhui caishu(公都會製述), Xiaoxue kaojiang(小學考講).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ree principles of administration and reorganization on Guasi in 17th century, viz, principle of Encouragement of Schools, principle of balance between Capital and Province, principle of Balance between Caishu(製述) and Kaojiang(考講). Therefore, Sixuehezhi was not a lower grade examination of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under the kingdom(keju, 科擧)``, but one of Josen`s National School Examinations which had made under the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for the nomalization and encouragement of schools. 본 논문은 17세기 四部學堂의 課試인 四學合製의 성립을 중심으로 사부학당의 과시제도의 변화과정을 재구성해 봄으로써 課試制度의 성격과 운영상의 원리, 그리고 교육제도의 조선후기적 변화의 양상을 검토해본 것이다. 사학합제는 17세기 양란 이후 사학의 과시제도를 정비하면서 신설된 시험으로, 그 후 『속대전』에 수록되어 陞補試와 함께 조선후기 사학 과시제도의 항식이 되었다. 본론에서는 주로 사학 합제가 기존의 사학의 과시인 四學輪次製述, 四學式年輪講, 公都會, 그리고 17세기 새로 추가된 小學考講이 과시 운영의 원칙에 맞게 통합되며 만들어진, 조선후기 사학 과시 정비의 종합적 결과물임을 규명 하였다. 17세기 인조-현종대 사학합제의 성립과정을 분석해보면, 크게 세 가지 과시제도 운영과 변통의 원칙들이 고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장려의 원칙[장권의 요구], 제술-고강 균등의 원칙[교육과 정상의 요구], 서울-지방 균등의 원칙[교육행정적 요구], 이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 세 원칙은 사학의 과시뿐만 아니라 국가의 학교 시험제도 전반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었다. 이는 조선후기 과시제도가 科擧의 하위시험이 아니라, 과거시험과는 별도로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과 학업의 권장의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과시의 실제와 교육사적 의의에 대한 보다 진척된 논의를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과시제도 운영과 변통의 원칙들이 17세기 이외의 시기에도 적용되었는지, 사학합제 등의 과시들이 얼마나 실효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시행되었는지, 그리고 과시제도의 정비와 강화가 실제 학교의 운영과 학생들의 학업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의 문제들이 향후 연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주제들에 대한 탐색은 조선시대 과시제도의 실제와 의의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학교제도와 과거제도 중심의 논의만으로 포착되지 않던 조선시대 교육의 실상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는 데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과시제도의 형성과정

        최광만 ( Kwang Man Choi )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2

        이 글은 조선후기 교육제도에서 중요한 한 축을 구성하는 과시제도의 형성과정을 추적하는 내용이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과시제도의 재구조화 과정이 집중적으로 수록되어 있는?과시등록?을 기본 자료로 하되, 조선후기적인 과시제도가 규정되어 있는 ?속대전?을 개념틀로 삼아서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의 과시제도는 1639년(인조17) 소학고강의 신설로 인한 공도회의 실시, 1655년-1659년(효종6-10) 사학합제의 시행과 공도회의 분리 그리고 1663년(현종4) 성균관 과시를 비롯한 제반 과시규정의 정비의 단계를 거쳐 확정되었다. 이후 몇 차례 부분적인 조항이 변경되기는 하였지만, ?속대전?의 규정으로 정착되기까지 큰 변화는 없었다. 둘째, 조선후기 과시제도는 변화된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정책, 즉 소학교육 강화정책, 재가유생 중심의 학교운영 정책에 영향을 받으면서 강화되었다. 그리고 17세기 중반 이후 과시제도가 확립되면서 18세기에는 조선후기의 중요한 교육제도로서 교육현실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셋째, 과시제도의 확립은 조선후기의 교육을 조선전기처럼 학교제도와 과거제도만으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는 변화된 조선후기의 교육환경에서 과시제도가 미친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Encouragement Examination System(Guasi Jedo, 課試制度) of Joseon Dynasty in 17th century. The primary sources are Guasi Deungrok(課試謄錄) and Sok Daejeon(續大典).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important phenomena of the process a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Hak(小學) test in 1639, the establishment of the Sahak Hapje(四學合製) in 1655-1659 and the comprehensive modific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in 1663. Secondly, the examination system wa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policy in 17th century. And the examination system became an important composing el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Lastly, the National Encourgement Examination System is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Joseon Dynasty educational system. It is not found even in the Chinese educational system. So it is important to approach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Korea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examination system.

      • KCI등재

        17세기 공도회(公都會)의 운영(運營)과 성격(性格)

        최광만 ( Kwang 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08 한국교육사학 Vol.30 No.2

        본 논문에서는 17세기에 정비된 과시제도(課試制度)에 주목하여, 과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공도회(公都會)의 운영 방식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여기에는 과시정책 관련 자료가 수록된 「과시등록(課試謄錄)」이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도회는 1639년 ``정사습``의 교육정책 일환으로 이전의 도회가 복설된 것으로서, 1654년 「사학응행절목」이 제정된 이후에는 사학의 공도회는 폐지되고, 지방의 유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으로 변경되었다. 둘째 복설 당시 공도회는 비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권장책이었으나, 1656년 공도회 폐지를 둘러싼 논란 이후에는 사실상 소과 초시로서 정착하였다. 셋째 17세기의 교육정책은 학습풍토를 정상화하려는 데에서 후퇴하여 제술과정을 중시하는 유생, 부형, 감사들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procedure and the characters of the district examination in the 17th century of Choseon dynasty. It is especially based on the [Official Records of School Examination Policy(Gua-Si-Deung-Lok)].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ct Examination(Gong-Do-Hwe) was revived in 1639. The aims of the revival was to reorient the mood of the success oriented studying and to give some motivation of learning. After the promulgation of the [Rule of Four Grammar Schools] in 1654, Four Grammar Schools Examination(Sa-Hak-Hab-Je) was introduced in Four Grammar Schools and the District Examination was confined to the local students. Second at first the character of the examination was an unstable test. But after the disputation about the problem of the examination, the status of the examination became more strengthened as a part of the examination for the recruit of the bureaucrat. Third the change of the examination shows that the education policy in the 17th century turned to accept the demands of students, parents and the district governors. And it means that the policy for the reorientation of the studying was weak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