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를 경유해 읽은 박태원 문학-「덤불 속」과 「성탄제」를 중심으로 본 소설의 실험-

        김미지 한국문학언어학회 2024 어문론총 Vol.98 No.-

        소설가 박태원이 동서양의 근대문학을 자양분으로 하여 자신의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작가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였다. 지금까지 박태원의 초기작 「적멸」을 아쿠타가와의 「톱니바퀴」와 관련지어 읽어내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어 왔지만, 보다 전면적으로 아쿠타가와 문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박태원 소설 실험의 의미를 밝힌 연구는 없었다. 이 글은 구체적으로 두 작가 사이의 상호텍스트적 지점들을 확인해 보기 위해 두 사람의 문학관과 텍스트들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특히 극적 독백의 수법으로 쓰인 아쿠타가와의 <덤불 속>과 두 자매의 독백이 교차하는 박태원의 <성탄제>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하여 기법적 동질성과 구조적 분기점을 밝혔는데, 텍스트 비교의 차원을 넘어 소설 양식에 대한 인식론적인 문제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들의 소설적 실험은 내용과 형식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하는데, 이는 아쿠타가와가 구상했던 ‘이야기다운 이야기 없는 소설’과 ‘잡스러운 소설의 순수성’이라는 관념으로 설명될 수 있다. 박태원은 아쿠타가와로부터 영감을 얻은 ‘잡스러운 소설’을 실천 원리로 삼으면서도 냉소주의나 회의주의가 아닌 ‘인정’과 ‘연민’이라는 시각을 견지함으로써 1930년대 후반을 돌파해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The novelist Park Tae-won built his literary world by drawing upon modern literature from both the East and the West, which Ryunosuke Akutagawa’s works were representative of. While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read Park’s early work “Annihilation” in relation to Akutagawa’s “Cogs,” no study has explored the meaning of Park’s experiments in fiction broadly in relation to Akutagawa’s literature. This article is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the two writers’ literary views and texts to identify specific intertextual points between them. Akutagawa’s “In the Bushes,” written in the form of a dramatic monologue, and Park’s “Christmas,” which intersects with the monologues of two sisters, were the main subjects of analysis to reveal their technical homogeneity and structural divergence. Beyond textual comparisons, I considered the epistemological issue of the novel form. Their novelistic experiments start from a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form, which can be explained by Akutagawa’s concepts of “a novel without a story” and “the purity of a mundane novel”. Park Tae-won can be said to have broken through the late 1930s by taking the ‘mundane novel’ inspired by Akutagawa as a principle of practice, while maintaining a perspective of ‘lament’ and ‘compassion’ rather than cynicism and skepticism.

      • KCI등재

        기생(寄生)과 공생(共生) 사이 : 구인회 도시소설과 겹쳐 읽은 김유정 소설

        김미지(Kim, Mi-Ji)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서른 편 남짓한 김유정의 소설들은 주로 농촌 배경 소설과 도시 배경 소설 양자로 구분되어 논의되곤 한다. 그러나 소설의 무대가 어디인가의 문제가 아닌 1930년대 자본주의적 삶의 구조에 대한 문제의식이라는 점에서 접근하면 김유정 소설세계는 통합적이고 연속적으로 읽힐 수 있다. 특히 김유정이 1930년대 문학 동인 ‘구인회’의 일원이었던 만큼 그의 소설들을 박태원 등이 쓴 도시소설과 함께 읽을 때 그들이 공유했던 시대감각과 문제의식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김유정 소설의 핵심 소재인 들병이를 비롯한 농촌 유랑민이 도시로 유입되어 빈민층을 형성하게 되는 맥락에 주목했다. 즉 김유정 소설의 농촌 유랑민들을 박태원의 『천변풍경』 등에 등장하는 시골 출신 행랑어멈, 안잠자기, 깍정이(거지)의 전사(前史)로서 재조명한 것이다. 한편 김유정 소설에서 성을 파는 여성과 그녀에게 기생하는 남편이라는 들병이식의 생계 형태는 도시를 무대로 한 박태원과 이상의 작품들을 통해 유사하게 재연된다. 이 소설들은 경제주권을 가진 카페 여급과 그들에게 생계를 의탁하고 있는 인물들의 구도를 통해 농촌에서와는 달라진 여성노동의 위상, 도시에서 젠더 역학이 작동하는 방식을 드러낸다. 농촌에서 들병이에게 기생하는 그녀의 남편이 여성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폭력적이면서도 당당하게 기생(寄生)하는 양상과 달리, 도시의 룸펜들은 자신들의 무능을 수긍하고 그녀들에게 기생하는 대신 그녀들에 대한 소유권이나 목소리를 내세우지 않는 전략을 취한다. 이는 도시의 영원한 타자들이 상호 공존과 공생(共生)을 꿈꾸는 30년대적 방식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Kim Yu-jeong s literary works are mainly divided into rural and urban background novels. However, Kim Yu-jeong s novels can be read in an integrated and continuous manner, given that it is not a matter of where the background of novel is, but a question of the capitalist life structure of the 1930s. Most of all, Kim Yu-jeong was a member of the literary club “Guin-hoe” in the 1930s, therefore if we read his novels parallel with urban novels written by members of “Guin-hoe”, we can find the common sense of their times and perception they shared. To this end, this article noted the context in which rural wandering people, including Deulbyeong(a wandering woman selling sex), a key material of Kim Yu-jeong s novel, enter the city and become urban poor such as female servants and beggars, who appear in Park Tae-won s Scenes from Cheonggye stream. Meanwhile, the life of Deulbyeong and her husband (parasitic on her) similarly appear in Park Tae-won and Yi Sang s works. Their novels reveal how the status of women s labor changes, and how gender dynamics work in the city through the features and voices of cafe waitress with economic sovereignty and those who depend on them to make a living. Unlike Deulbyeong s parasitic husband, the unemployed (urban lumpen) admits his incompetence and take a strategy of not presenting ownership of them. This is one of the 1930s ways in which the eternal others of capitalist city imagine the dream of mutual co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