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e des besoins des apprenants et des limites des dictionnaires bilingues core´en-franc˛ais existants

        HEO, Jin Yeong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1 프랑스어문교육 Vol.11 No.-

        빠리에서 불어를 배우는 한국 학생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프랑스 학생들을 대상으로한 기존 한.불사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요구를 살펴보고, 기존의 한.불사전의 문제점을 제기해 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한.불사전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한.불사전에 대한 한국 학생들(9%)의 만족도는 빈약한 반면 한.불사전이 독해사전의 역할을 하고 있는 프랑스 학생들(61.5%)에게는 어느 정도 만족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불사전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한국 학생들에 비해(17%), 프랑스 학생들(82.1%)이 필요성을 더 절실히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불사전의 참조도에 대해서는 한국 학생들(97%)과 프랑스 학생들(94.9%) 대다수가 참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찾으려는 단어가 사전에 없을 경우 한국 학생들(39.3%)과 프랑스 학생들(39.7%)은 다른 사전들을 참조하는 것으로나타났다. 한.불사전을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하느냐 하는 질문에는 한국 학생들(35.8%)은 작문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프랑스 학생들(30.9%)은 단어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한.불사전의 머리말과 일러두기를 읽어보는가 하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69%)과 프랑스 학생들(74%) 대부분이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프랑스 학생들이 그것들을 읽어보지 않는 이유로는 한국어로 설명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한.불사전 사용법을 배운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94%) 대부분이 배운적이 없다고 응답했고, 소수의 학생들(4%)만이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배운적이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사전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프랑스의 고등학교에서는 사전교육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수 정도의 학생들(57.1%)은 대학교에서 사전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단어 옆에 있는 한자를 확인하는가 하는 질문에 한국 학생들(69%)은 동음이의어에 대한 혼동을 막기 위해 확인하고 있으며, 프랑스 학생들(66.7%)은 복수전공(예를 들면, 한국어-중국어, 한국어-일본어)을 하는 경우에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불사전의 부록이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는가에 대한 질문에 부록내용의 빈약성 때문에 한국학생들(66%)과 프랑스 학생들(76.9%)은 부록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불사전에 대해 한국 학생들은 다양하고 적절한 예문들의 필요, 동의어들과 뉘앙스의 설명, 어휘의 풍부함, 불어와 비교하기 위한 영어, 고유명사와 지명, 예절 표현과 친숙한 표현들의 구분, 실질적인 어휘 사용, 기술용어가 들어간 전문용어 사전 필요, 제기된 숙어의 재분류, 동의어와 반의어 동시 기재, 도표와 삽화, 실질적 대화, 내용의 정확성, 일상 생활에 쓰이는 정확한 표현들을 첨가하고 싶은 부분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반면에 프랑스 학생들은 고유명사들의 목차, 영어에서 채택된 현대 단어들, 더 많은 한자들, 더 많은 예문들, 관용어의 예문들, 구어의 관용 표현들을 포함한 항목, 불어로 머리말과 부록의 설명, 사전을 제작하기 위한 한국인, 프랑스인의 긴밀한 협력, 한국어 동사 변화, 여러 동의어의 선택문제, 기본문법, 더 많은 번역, 동의어의 표시, 한국어와 불어의 표현들, 약어, 단어들의 문법적 성격 등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기존 한.불사전들의 문제점을 크게 거시적 구조와 미시적 구조로 나누어 살펴보면 거시적 구조에는 표제어의 선택, 표제어의 단락 구성, 다의어, 동음이의어, 동의어의 표제어 분류의 문제를 다루었고, 미시적 구조에서는 발음의 부재, 표제어의 문법적 성격, 외국어에서 차용된 본래의 단어의 기재, 관사와 성의 기재, 복수형태의 표시문제, 언어의 수준표시, 의미의 뉘앙스의 구분, 실질적이고 적절한 예문, 동사구의 문제 등을 구체화 하였다. 학습자들의 진정한 요구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는 새로운 한.불사전이 편찬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Degre´ de de´pendance du syste`me phone´tique de la langue maternelle et de la langue secondaire : Etude comparative de la re´alisation des occlusives du core´en et du franc¸ais 한국어와 불어 폐쇄음 발음의 음성학적 비교 연구

        KIM, Hyeon-Zoo 한국 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3 프랑스어문교육 Vol.15 No.-

        프랑스어에 있어서, 폐쇄 자음(stops)의 경우 단어의 중간(non-initial) 뿐 아니라 어두(initial) 위치에서 유성음(sonores)과 무성음(sourdes)이 음운론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그러므로 프랑스어의 경우 유무성의 구별로 인한 기능상의 역할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인들이 프랑스어를 학습할 때, 프랑스어가 비교적 어렵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서 발음 면에서 집중적인 교육을 받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발음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한국인이 이러한 유성음의 발음이 어려운 이유는, 한국어의 경우 폐쇄음에 무성음, 경음, 격음이라는 음운론상의 3 대립이 존재하나 이들은 모두 무성음에 속하며, 유성음은 어중이라는 환경적인 조건 하에서만 음성학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운 체계의 차이로 인해, 한국인 학습자는 프랑스어 폐쇄음의 경우 유성음의 발음이 제대로 안되고 있다. 더 나아가 어두의 유성음 발음이 제대로 되지 않음은 물론 그 유성음에 대립되는 무성음의 발음조차 어색해지는 경향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어의 유무성음으로 의미가 구별되는 단어 짝에 대해, 한국인의 발음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나, 프랑스인 화자의 발음과 비교하기 위하여 원어민의 발음을 우선 분석하며, 양 언어 화자에 있어서 무성음과 유성음을 구별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혀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로 프랑스인들에게서는 모음 [i]또는 반자음 [j]앞에 오는 폐쇄자음들이 구개음화(palatalisation)되었으나, 구개음(palatales)을 포함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한국인화자에게서는 프랑스어 발음에 있어서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프랑스인 화자의 경우 유성음의 매 발화에 있어서, 파열 전의 성대 진동을 수반하는 VOT를 나타내 보이고 있으므로, 피실험자에 따라 또는 발음의 정중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prevoicebar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프랑스어 유성음과 무성음사이의 구별에 어떤 다른 음향적인 특징이 작용하는지 더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한국인 화자가 발음하는 프랑스어 폐쇄자음을 음향음성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어 폐쇄자음을 프랑스어에 대치시키지도, 프랑스어 폐쇄자음의 형태를 나타내지도 않은 전혀 새로운 형태의 소리를 만들어 내었다. Notre e'tude vise a`de'terminer qu'elles sont les diffe'rences entre la re'alisation de /p,t k/en franc¸ais et en core'en, sur le plan du VOT en particulier, et a`analser les caracter'ristiques des consonnes occlusives du franc¸ais re'alise'es par des locuteurs core'ens. Place'es dans un contexte palatalisant(+i, j), les occlusives de ces deux langues ont e'te' analyse'es selon trois parame`tres, qui sont le VOT(voice onset time), la dure'e de la cons9nne et celle de la voyelle pre'ce'dente. La voyelle [a], en outre, marque le moins les consonnes qui l'entourent, a`provoquer la palatalisation de la consonne, surtout en franc¸ais. Les re'sulltats montrent que l'amplitude et le degre'de palatalisation dans les deux langues manifestent des diffe'rences syste'matiques. Ouelle explication peut-on donner de ce comportement doffe'remt d'e'le'ments se trouvant pourtant dans un contexte identique? La re'ponse a` donner oblige a`auvrir des perspectives sur la notion et la prote'e du contexte en phone'tique. Une notion the'orique suppli'orique supple'mentaire doit e^tre prise en compte, qui est celle du syste`me, facteur de'cisif, qu'onne peut dissocier de celle de "contrainte ohonologique". Pour ce qui est de la me'thodologie utilise'e au niveau de lanalyse expe'rimentale, notre recherche se fonde sur des documents oscillographiques traite's par ordinateur. La dimension phonologique a e'te'prise en compte au terme de l'analyse phone'tique.

      • KCI등재

        프랑스-한국 간 트랜스 컬처에 기반한 식도락 문화 : 매운 맛을 중심으로

        이홍 ( Li Hon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5 프랑스어문교육 Vol.51 No.-

        수세기 전부터 고추는 한국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식자재이다. 고춧가루와 고추장은 일상생활에서 입맛을 돋구어 주는 양념처럼 사용되면서 한국 음식에 강하고 매운 특별한 맛을 지니게 한다. 예를 들어, 고춧가루는 김치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재료이고 고추장은 비빔밥에 음식의 맛을 더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통적인 4가지 맛, 즉 단맛, 짠맛, 쓴맛과 신맛에 익숙한 많은 서양인들은 매운 맛을 처음 접하게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 맛에 놀란다. 즉 한국인들이 좋아하고 깊이 연구하여 얻어진 5번째 맛인 매운 맛이 서양인들에게는 종종 불쾌하게 여겨진다. 그렇다면 강하고 매운 맛이 프랑스 식도락에는 존재하지 않는 맛일까?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강하고 매운 맛이 프랑스 바스크 지방(Pays Basque)의 식도락 문화에서 발견된다. 특히 에스펠레트(Espelette) 마을에서는 그 마을의 전통적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 고추를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에스펠레트의 고추는 가루와 퓨레 형태로 사용되는데, 이는 한국의 고춧가루 및 고추장에 비교될 수 있다. 고춧가루는 여러 음식에 사용되고 종종, 후추를 대신하며 고추장은 일반적으로 겨자를 대신하여 고기음식에 곁들여진다. 따라서 매운 맛은 프랑스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맛이 아니며 프랑스 남서부 지역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셈이다. 남아메리카에서 돌아온 바스크 출신의 뱃사람에 의해 16세기에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그들의 맛으로 남아있다. 이와 같은 역사적, 문화적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비빔밥과 바스크의 피페라드(piperade)를 비교하여 소개하였다. 이 두 음식은 각 지역의 전통음식이면서 동시에 미식가들이 즐기는 음식이다. 더 나아가 주 재료로 호박을 사용하지만, 맛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나는 호박죽과 호박 블루테(velouté de potiron)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과 프랑스 양국에 매운 맛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문화 교류 차원에서 볼때, 프랑스로의 한국음식의 도입 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한국에 바스크 지역의 매운 전통음식을 소개하는 국면도 고려해 볼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또한 이 두 음식문화의 융합과 결합의 가능성 역시 신중하게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교류는 여러 세기동안 전통에 기반하여 확립된, 두 지역 음식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소개한 ‘트랜스 컬처’라는 특별한 영역에서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고추에 기초한 한국과 프랑스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에스펠레트 고추와 한국 고추 사이의 주요한 특징, 건조와 찧기 방법, 한국 고추장의 발효방법과 에스펠레트 고추의 퓌레 만드는 방법, 두 나라의 양념사용법 등을 살펴보았다. 이제 서양인들은 매운 맛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편견에서 벗어나야하며, 오히려 한국의 전통에 따라 조미된 한국의 전통 음식을 그들에게 소개하는데 주저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로써 한국의 식도락은 본래의 독자성을 지니면서 그 진정한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 한편 식도락 전문가들로부터 각 지역의 전통 맛과 현지에서 조달 가능한 재료에 의한 음식의 융합을 꾀해보는 것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프랑스어 발음 학습에 간섭현상으로 작용하는 몇 가지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송근영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5 No.-

        Cet article s'intéresse aux difficultés liées à l'apprentissage de la prononciation française, et plus particulièrement à quelques types d'erreurs de prononciation observés chez les apprenants coréens. C'est un fait bien connu, dans le cadre du FLE(français langue étrangère), que certaines fautes de prononciation commises par les apprenants du français proviennent de ce que l'on appelle l'«interférence linguistique», le système phonologique du français n'étant pas toujours le même que celui de la langue maternelle des apprenants. Cette différence les entraîne parfois à commettre des fautes sous l'effet de leur langue maternelle, lorsqu'ils prononcent des phonèmes français qui leur sont «nouveaux». Pour résoudre ces problèmes, les études contrastives sont nécessaires pour chaque langue, d'autant plus que les erreurs dues à l'interférence varient selon l'origine linguistique des apprenants. En ce qui concerne les apprenants coréens, il existe déjà plusieurs travaux qui prennent en considération l'interférence linguistique, mais ils traitent plus de phonèmes «individuels» que d'autres éléments. Nous voudrions signaler, quant à nous, que ce n'est pas le seul cas où l'on constate une interférence du système phonologique coréen qui fait obstacle à une prononciation authentique du français. Pour illustrer ce propos, nous présentons quelques phénomènes phonologiques coréens qui n'ont jamais été mentionnés dans les études précédentes effectuées du point de vue de l'interférence linguistique. Ainsi, les règles de l'assimilation consonantique et du renforcement consonantique, qui dépassent le niveau des phonèmes individuels, empêchent parfois une prononciation correcte chez les Coréens. La prise en compte de ces faits dans les cours ou les manuels de la prononciation du français destinés aux apprenants coréens pourrait contribuer à perfectionner leur prononciation. 외국어를 배울 때 습득해야 할 사항으로 발음, 어휘, 문법 등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한 언어를 가능한 한 완벽하게 구사하기 위해 이 모든 요소들이 중요할 것이나 이 중 가장 우선적으로 학습되는 것은 대개 발음이라 볼 수 있다. 문어 자료의 독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특정 외국어를 학습하는 주요 목적은 해당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일 것이고 이를 위해 발음 체계의 습득은 기본적 과제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 과정에 개설된 프랑스어 입문 강의에서 흔히 가장 먼저 학습하는 사항이 알파벳과 더불어 발음 규칙이다. 그런데 프랑스어를 접한 사람들에게는 주지의 사실이지만, 프랑스어 발음 중 어떤 것은 한국어 발음과 유사하여 큰 어려움 없이 익힐 수 있는 반면 어떤 발음은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아 습득이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프랑스어 발음 수업과 관련, 학습자의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주의 사항을 주로 모국어 간섭현상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인 학습자의 프랑스어 발음 습득에 있어 모국어인 한국어의 발음체계가 간섭하는 현상에 대한 관찰은 이미 상당수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편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 영역에서 아직 언급되지 않은 간섭현상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실 본고에서 다룰 사항은 해당 현상을 반영하는 어휘나 표현의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인 학습자가 최우선적으로 익혀야 하는 발음 현상이라 할 만큼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 문제는 프랑스어 발음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는 한국인 학습자라면, 그리고 프랑스어를 가르치는 교수자의 입장에서도 한 번쯤은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라 생각된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관찰되는 한국인 학습자의 발음 오류 현상을 과학적인 실험이나 통계 자료에 기초하여 소개하지는 못하고, 실제 수업 경험을 통해 자주 발견되었던 오류의 예를 소개한 정도라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소개할 오류 현상들이 얼마나 많은 한국인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가 하는 통계적 수치를 강조하기보다는, 이러한 오류 현상들도 충분히 고려할 만한 대상이라는 점을 보이고 교수자의 입장에서 발음 수업의 강의안이나 연습활동을 준비하는 데 부분적이나마 참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발음 학습을 위해 특히 발음 교재를 활용할 수 있는데, 본고의 논의는 이러한 교재들에 대한 관찰로부터 시작하여 다음의 순서로 전개될 것이다. 먼저 발음 학습용으로 프랑스인이나 한국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 중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을 검토하여 그 일반적 특성 및 한계를 살핀다(2절). 그 후 한국인을 고려한 프랑스어 발음 학습 분야의 기존 연구를 주제별로 간략히 소개할 것이며, 그 중 특히 언어간섭현상으로 인한 발음 오류 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3절). 이어 이 현상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은 일부 발음 오류를 특히 한국어 음운현상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흥미롭다고 판단, 이 문제를 새로 검토한 이후(4절) 결론에 이를 것이다.

      • KCI등재후보

        모국어와 제2외국어의 음성체계의 의존도- 한국어와 불어 폐쇄음 발음의 음성학적 비교 연구

        김현주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3 프랑스어문교육 Vol.15 No.-

        모국어와 제2외국어의 음성체계의 의존도 - 한국어와 불어 폐쇄음 발음의 음성학적 비교 연구 김 현 주 프랑스어에 있어서, 폐쇄 자음(stops)의 경우 단어의 중간(non-initial) 뿐 아니라 어두(initial) 위치에서 유성음(sonores)과 무성음(sourdes)이 음운론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그러므로 프랑스어의 경우 유무성의 구별로 인한 기능상의 역할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인들이 프랑스어를 학습할 때, 프랑스어가 비교적 어렵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서 발음 면에서 집중적인 교육을 받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발음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한국인이 이러한 유성음의 발음이 어려운 이유는, 한국어의 경우 폐쇄음에 무성음, 경음, 격음이라는 음운론상의 3 대립이 존재하나 이들은 모두 무성음에 속하며, 유성음은 어중이라는 환경적인 조건 하에서만 음성학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운 체계의 차이로 인해, 한국인 학습자는 프랑스어 폐쇄음의 경우 유성음의 발음이 제대로 안되고 있다. 더 나아가 어두의 유성음 발음이 제대로 되지 않음은 물론 그 유성음에 대립되는 무성음의 발음조차 어색해지는 경향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어의 유무성음으로 의미가 구별되는 단어 짝에 대해, 한국인의 발음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나, 프랑스인 화자의 발음과 비교하기 위하여 원어민의 발음을 우선 분석하며, 양 언어 화자에 있어서 무성음과 유성음을 구별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혀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로 프랑스인들에게서는 모음 [i] 또는 반자음 [j] 앞에 오는 폐쇄자음들이 구개음화(palatalisation)되었으나, 구개음(palatales)을 포함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한국인화자에게서는 프랑스어 발음에 있어서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프랑스인 화자의 경우 유성음의 매 발화에 있어서, 파열 전의 성대 진동을 수반하는 VOT를 나타내 보이고 있으므로, 피실험자에 따라 또는 발음의 정중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prevoicebar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프랑스어 유성음과 무성음사이의 구별에 어떤 다른 음향적인 특징이 작용하는지 더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한국인 화자가 발음하는 프랑스어 폐쇄자음을 음향음성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어 폐쇄자음을 프랑스어에 대치시키지도, 프랑스어 폐쇄자음의 형태를 나타내지도 않은 전혀 새로운 형태의 소리를 만들어 내었다.

      • KCI등재

        L'adoption internationale en France : le cas des enfants coréens

        이홍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4 프랑스어문교육 Vol.47 No.-

        2013년 프랑스 부모에게 입양된 외국계 어린이는 1343명 http://www.adoptionefa.org/index.php/adoptera-l-etranger. 으로, 오늘날 프랑스에서의 입양은 80프로 이상이 국제입양이다. 이는 프랑스 입양아 중 20%만이 프랑스 출신임을 의미한다. 최근 입양 숫자가 명백히 감소 1569 enfants avaient été adoptés en 2012. Ibid.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 어린이 입양에 있어, 프랑스는 미국과 이탈리아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http://www.adoption.gouv.fr/Chiffres-cles.html. . 프랑스 외무부 통계에 따르면, 70년대 말에서 80년대 중반에 걸쳐 프랑스에 입양된 외국인 어린이들 중 많은 수가 한국계 어린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평가를 위해, 지난 50년간의 변화를 관찰하기에 앞서, 한국 어린이들의 프랑스로의 입양에 대한 기원을 거슬러 되새겨보고 원인을 밝혀보는 것이다.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랑스로 입양되는 한국 어린이의 수는 2000년대 중반이후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이는 국제입양이 처한 세계적 위기에 의해 설명될 수 있으나 한국과 입양국가에서도 부분적으로나마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랑스와 세계에서의 국제입양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하기 위해 외국계 어린이, 특히 아시아계의 어린이들을 입양하는 프랑스 입양부모의 유형을 대략적으로 묘사하고 이유를 진단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오늘날 프랑스에 입양아 대부분이 평균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결혼한 부부에 의해 입양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대한민국은 더 이상 아시아대륙을 대표하는 입양국가로 여겨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012년에는 4명 그리고 2013년에는 단지 2명의 한국계 어린이만이 프랑스에 입양되었다. 최근 프랑스에 입양된 아시아 어린이들의 대부분은 중국(2013년에 99명)과 베트남(89명) 그리고 태국 출신의 어린이(1명)들이다 http://www.diplomatie.gouv.fr/fr/IMG/pdf/statistiques_2013_cle076137-1.pdf. . 프랑스에서 한국인 입양아의 숫자가 줄어든 것이 2012년도에 제정된 입양특례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지를 증명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이 숫자는 괄목한 만한 변화이며 이러한 변화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입양된 어린이들을 포기하는 경우라든가 입양 가정을 자의적으로 떠나는 입양아들의 경우와 같이 불행한 입양을 경험한 케이스에도 관심을 가져 보았다. 이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차원에서 학술적으로 설명할 수 는 없다. 이는 오히려 개인적인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무엇보다 입양아들이 새로운 삶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아이들에게로 전가하는 것은 입양아에 대한 부모로서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동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가톨릭과 프랑스 문화교육

        ( Kim Jung-sug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1 프랑스어문교육 Vol.36 No.-

        우리의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랑스 문화 교육에 있어서 가톨릭의 가치를 조명하는데 있다. 가톨릭을 프랑스 문화교육의 내용으로 선택한 우리의 입장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문화교육의 네 가지 가치를 통해 어떤 기준으로 문화교육의 내용을 선정해야 하는지를 숙고했다. 또한 학습자들의 필요와 그들의 프랑스 문화에 대한 이해의 정도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했다.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 고등학생들의 프랑스와 프랑스 문화에 대한 경험과 지식은 지극히 미미할 뿐만 아니라 주로 사회적인 통념과 표상, 혹은 대중매체 등을 통한 간접 경험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영역도 프랑스인들의 정신적 가치가 아니라 주로 물질적이고 피상적인 면에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국 고등학교 수업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교과서 분석을 통해 가톨릭에 관련된 내용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과정들을 통해 우리는 가톨릭을 통한 프랑스 문화교육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가톨릭이 어떻게 유구한 역사동안 프랑스 사회와 문화의 중심과 토대로 기능했는지, 그리고 오늘날까지 어떤 형태로 프랑스인들의 일상적인 삶 속에 뿌리내리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결국, 우리가 지향하는 가톨릭을 통한 프랑스 문화교육의 목표는 한국 학생들의 프랑스 사회와 문화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깊이 있고 통찰력 있는 이해, 더 나아가서는 교육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의 개발에 있다.

      • KCI등재

        프랑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의 분류사와 단위표시명사에 관한 교수방법 : 이론에서 실제교수까지

        윤소영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07 프랑스어문교육 Vol.24 No.-

        프랑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의 분류사와 단위표시명사에 관한 교수방법: 이론에서 실제교수까지 윤 소 영 일반적으로 언어유형학적(typologie)관점에서 볼 때, 인간언어를 ‘분류사 언어(langues à classificateurs)’와 ‘비분류사 언어(langues sans classificateurs)’로 나눈다. 한국어는 분류사언어에 속하고 프랑스어는 비분류사 언어에 속한다.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의 수세기(dénombrement)를 교수하는 데에는 두 언어 사이에 존재하는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로 인한 근본적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일반언어학 분야에서 다루어진 ‘넓은 의미에서의 분류사’와 ‘좁은 의미에서의 분류사’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Coréen Langue Etrangère)교육 관점에 입각하여 분류사(unité de compte/ classificateur) 및 단위표시명사(unité de mesure) 교수를 위해 어떠한 교수방법이 더 효율적일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본다. 이것은 단순한 명칭의 차이가 아니라, 언어교육 관점에서 상당히 다른 교수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어서 프랑스에서 출간된 한국어 교재들은 이들 요소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간략히 살펴보고, 프랑스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사물의 수세기 표현을 할 때 빈번히 저지르는 오류들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그 원인을 모국어인 프랑스어의 간섭현상에서 찾아본다. 본 논문은 (i)프랑스어권 학습자들에게 ‘분류사’와 ‘단위표시명사’를 분명히 구별하여 교수하기, (ii)한국어에서의 ‘(좁은 의미의) 분류사’는 의미가 없는 허사일지라도 사물의 수세기에 있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법적 요소라는 점을 학습자들에게 강조하기, (iii)각 명사마다 한정적으로 요구되는 분류사 목록을 제시하고 해당 분류사와 함께 쓰이는 대표 단어 목록들을 반드시 함께 지도하기, 등의 몇 가지 구체적인 교수방법을 제언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프랑스어 고급 학습자 발음 교정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석사 과정 대상으로

        기야메브누아 ( Benoît Guillamet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1 프랑스어문교육 Vol.72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이수 중인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의 프랑스어 발음오류 양상과 교정 방안을 논하는 데 있다. 학습자의 오류의 원인은 본교에 입학하기 전 이수한 프랑스어 교육 과정에서의 발음에 관한 미흡한 교육 내용 및 모국어 간섭 현상에서 찾을 수 있으며, 발음에 관한 미흡한 교육은 오류의 화석화 현상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는 한국어 음운체계가 프랑스어의 자ㆍ모음을 발음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오류를 유발하는지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관찰된 교육적 문제와 음운오류를 바탕으로 올바른 발음 훈련법 및 수업 시간에 제시하는 이론적 설명을 기술함으로써 고급 프랑스어 학습자의 발음오류를 어떻게 교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그 중에는 한국어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갖고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원어민 한국어교육전공자가 보다 효과적인 발음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내용은 통번역대학원 뿐만 아니라 다른 프랑스어 교육 환경에서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Notre contribution a pour but de faire un état des lieux des erreurs de prononciation du français observées chez les étudiants en Master d'interprétation et de traduction de l'université Hankuk d'études étrangères de Séoul (HUFS). À l'origine de ces erreurs, peuvent être incriminées certaines lacunes dans les curriculums suivis par nos étudiants en amont, et l'influence de la langue maternelle par conséquent encore plus visible. Nous avons procédé à un inventaire des erreurs majoritairement observées et avons tenté de fournir des éléments d'explication pour chacune d'entre elles, en mettant en lumière la manière dont le système phonologique du coréen influençait la prononciation des voyelles et des consonnes du français. Ensuite, nous avons fait quelques propositions d'ordre pédagogique de sorte à ce que les apprenants puissent reprendre en main leur système phonologique du français. En plus de proposer des exercices articulatoires et des explications théoriques, nous postulons qu'un enseignant natif ayant de bonnes connaissances théoriques de la langue coréenne et une bonne maîtrise de celle-ci peut jouer un rôle crucial dans la délivrance d'un tel enseignement, ce dernier pouvant trouver une place dans de nombreux contextes de FLE en Corée du Sud.

      • KCI등재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에 사용될 프랑스어-한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패턴방식 자동번역의 언어지식에 관한 연구

        조국형 ( Gookhyung Jho ),윤애선 ( Aesun Yoo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3 No.-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는 구글, 네이버의 자동번역 시스템을 프랑스의 여러 매체에서 추출한 약 5만여 개의 프랑스어 문장을 적용하여 한국어 번역 결과가 어색한 문장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번역패턴으로 제시하여 프랑스어-한국어 번역패턴을 구축하는 방법론과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동번역의 패턴 유형을 구현했다. 먼저 프랑스어 문장의 특성을 살펴보고 자동번역 시스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유형을 정리한 다음, 한국어 문장에서 각 프랑스어 문장의 요소가 제대로 번역될 수 있도록 자동번역의 패턴을 제시했다. 이는 프랑스어 문장의 언어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어로 번역함에 있어서 또는 한국어 문장을 프랑스어 문장으로 번역함에 있어서 프랑스어-한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의 보다 발전적인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Notre étude est de proposer et de construire en détail un certain nombre de pattern de traduction automatique de Français-Coréen pour le système de la traduction automatique bilatérale entre le français et le coréen, grâce auxquels on puisse produire une amélioration de la traduction automatique bilatérale entre les deux langues. Pour cela, en premier on a examiné environ 50,000 phrases françaises avec les traducteurs de Google et de Naver comme tels. D'après cet examen on peut regrouper en quelques groupes les défaults de traduction tels que des phrases en verbaux pronomonaux, des phrases en pronom impersonnel, des phrases construites avec des verbaux transitifs indirects, etc. On peut aboutir à proposer des pattern de traduction automatique avec une considération des caractéristiques linguistiques des deux langues différentes entre le Français et le Coréen. Cela étant, notre proposition permettrais ainsi d'améliorer l'éfficacité du système de traduction automatique de Français-Coréen. C'est ainsi dire que pour établir des pattern efficace, il ne fautdrais surtout pas omettre les numéros cités de la phrase de source en transmettant une phrase de target correspondante. Ce qui concerne c'est surtout les numéros cités des articles, des prépositions, des pronoms réciproques du Français, etc. Une amélioration de la traduction automatique en type de “pattern” comme nous l'avons marquée pourrais ainsi améliorer l'éfficacité de la traduction automatique bilatérale entre le Français et le Coré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