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의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서영민 ( Young Min Seo ),이영준 ( Young Ju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로봇프로그래밍의 통합교육 사례, 통합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로봇을 활용한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계산적 사고 능력은 각 학문영역뿐만 아니라 실세계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이 갖춰야 할 능력이다. 계산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하여 최근에는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과학의 원리를 가르치려는 다양한 시도(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로봇프로그래밍, 언플러그드 프로젝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로봇을 활용한 경진대회, 창의 대회 등 교육과정 외적인 부분에서도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로봇, 공학 경진대회는 특정 로봇의 기능 및 사용법, 흥미위주의 획일적인 내용을 벗어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은 도구의 성격 자체가 간학문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해결과정은 다양한 지식과 사고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기 때문에 통합교육이 필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의 통합은 초등 학습자의 학습으로의 보다 본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폭넓은 학습 활동 측면에서 프로그래밍의 통합을 일컫는다. 이제는 프로그래밍 학습이 왜 통합 학습으로 교육과정 상에 녹아들어가야 하는지에 관한 본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시점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의 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째, 초등학교 로봇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합적 관점으로 접근했던 기존의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며, 둘째, 초등학교 학습자에게 통합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하여 로봇활용 통합교육의 프레임을 제공하고 있다. There are various trials such as EPL, robot programming, unplugged project, etc. so as to teach elementary school learners the theories of computer science. Also, the curriculum`s external part such as competition using robot, creative competition, etc. tends to be active. But, most of robot and engineering competitions cannot get out of function and direction of particular robot and standardized content focusing interests and the existed programs conducted by integrated approach insist on combination and integration of several studies under the purpose of creative solution. The integration of this study needs more essential approach for the studying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And, it insists on the necessity of programming(robot) integration at the aspect of wide studying activity for the whole curriculum. Now, the essential discussion for why programming(robot) studying must be melt into the curriculum as the integrated studying must be fulfilled. The body of this thesi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the examples of existed programs approaching elementary school`s robot programming education from the integrated standpoint will be examined and the second, the meaning of integration for elementary school learners will be considered.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민주주의와 교육’에 대한 학습경험이 통합교과의 가치 내면화에 미치는 영향 탐색

        박기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on pre-service teachers’ internalization about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This study designed by a case study, 29 pre-service teachers, purposively sampled, were participated in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that were composed of concrete experience, reflective observatio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active experimentation based on Kolb(1984)’s experiential learning. The results of learning experiences about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were evaluated by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conception of knowledge, learning, and teaching, and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related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ly, only 10% of pre-servi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 were changed more sophisticated after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Secondary, almost eve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knowledge, learning, and teaching were changed toward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after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Lastly, almost 41% of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design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related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after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From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Dewey’s ‘Democracy and Education’ were effect on their internalization about the ideal of integrated subject. 통합교과가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되려면, 교사교육단계부터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 즉, 앎과 삶의 통합을 통한 인간 삶의 성장의 가치를 예비교사들이 내면화해야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듀이의 ‘민주주의와 교육’을 직접 경험하는 것이 통합교과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가정들을 Kolb(1984)의 경험이론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육경험으로 계획·실행·평가하였다. 연구자가 2018년 1학기 00대학교에서 진행한 ‘교육과정’ 과목에서 예비교사들이 ‘민주주의와 교육’을 경험하는 과정을 ‘구체적 경험-반성적 관찰-추상적 개념화-적극적 실험’으로 계획·실행한 다음, 그 경험의 효과를 ‘인식론적 신념’,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 ‘통합교과 수업지도안’의 변화 측면에서 통합교과의 가치와 관련지으며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민주주의와 교육’의 경험을 통해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과 합치하는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으로 변화된 예비교사는 10% 밖에 되지 않았지만, ‘지식, 학습, 수업’에 대하여 예비교사들이 자유 기술한 개념은 거의 대부분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과 합치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는 사실, 그리고 약 41%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통합교과 수업지도안에서의 학습활동은 통합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적 이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있다는 사실에 기초하면, 예비교사들이 ‘민주주의와 교육’을 경험하는 것은 통합교과의 가치 내면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 KCI등재

        통합교육 실행에 관한 교사의 주관성 분석

        강성구(Kang, Seonggoo),임경원(Lim, Kyoungwon) 한국통합교육학회 2021 통합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관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통합교육 실행의 특징과 의미를 명확히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0명과 일반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이해 등 주관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Q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주관성은 ‘장애학생 중심의 포함식 통합교육형’, ‘모든 학생을 위한 포함식 통합교육형’, ‘장애학생 중심의 모음식 통합교육형’, ‘모든 학생을 위한 모음식 통합교육형’의 4가지 통합교육 실행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유형은 정책개발 영역, 교육체제 및 배치 영역,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 구성원의 역할 영역, 전달체계 영역에서 각각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로 볼 때, 포함식 통합교육이 이질적인 학생을 함께 수업하는 실질적 대안이기는 하지만 일부 교사들은 여전히 기존 모음식 통합교육체제에서도 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어 기존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와 평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포함식 통합교육 형태의 통합교육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밝히고 있지만 명확한 방향성 없는 기존 통합교육 정책은 오히려 현장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어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종합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향후 포함식 통합교육의 이행을 위해 모든 교육 구성원이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와 책무성 공유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 전반의 변화를 준비하고 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해 나아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South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the perspectives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who implement inclusive education at general school. To this end, 30 special teachers and 30 genera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the Q method, which is useful for analyzing subjectivity such as teachers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four types of the subjectivity of teachers’ inclusive education implementation: ‘Integrated education type centered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sive integrated education type centered on All-students’, ‘Integrated education type centered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tegrated education type centered on All-students’. In addition, each type showed a difference in the area of ​​policy development, education system and placement,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area, role area of ​​members, and delivery system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although inclusive education is a practical alternative for teaching heterogeneous students together, some teachers still consider it possible in the existing integrated education system, so objective research and evaluation of the existing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something to do.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South Korea should move toward inclusive education in the form of inclusive education, but the existing policy of integrated education without a clear direction intensifies confusion in the field, and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future, all members of the education must prepare for changes in education in South Korea, establish and implement plans based on understanding and sharing accountability for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와 과제

        류팅팅,박창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 course system dur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s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 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r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 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 on the tr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 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 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등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 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 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 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과제와 저해 요인

        김재복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1

        Curriculum integration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is made in the academia. This induces uncertainty and concern about the potenti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affecting schools positively. In that sens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conduciv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major focus of this paper is devoted to an examination of issues to be considered in putting curriculum integration into effect. Four issues are addressed for the future research on curriculum integration: (1) the rela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and curriculum integration, (2) the practical models of integrating the content of school subjects, (3) the ways of expanding and deepening knowledge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narrowly defined knowledge within a specific subject, (4) reorganizing and restructuring knowledge from separate subjects into curriculum organization considering its sequence and structure. Finally, practical problems in implementing curriculum integration are posed such as: teacher recruitment and identity, discipline-based subject, subject statues and histories, assessment structures, and etc. This paper provides some ideas to resolve those problems.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때에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발전과 현장 적용에 크게 기여할 ‘통합교육과정학회’의 창립은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글은 학교 교육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식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통합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 대상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는 지식의 구조와 통합, 교과의 연결과 통합적 지도, 지식의 넓이와 깊이, 내용의 발전적 배열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대상별로 연구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통합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그것이 적용될 때에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 교과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 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는 새로운 측면에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 및 과제와 저해 요인에 대한 해소 방안이 통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의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이대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07 통합교육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urrent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based on previous research, presentations, and author's experiences with inclusive education and to present key issues and tasks of Korean inclusive education mainly from the view of general education.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the possible outcomes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Even though inclusive education has contributed much to Korean education by enhancing the education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has been dealt mainly by special educators only, being failed to be a true part of general education practices. Instead,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totally left at general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who have not being provided with necessary supports or any reward for their efforts. In addition, research topics and methods were rather monotonous. The key issues of inclusive education should include a) whether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effective, particularly from the view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b) whether general education is able to do inclusive education. From the both aspects, it seems too early to be optimistic about the future of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because the structure, rather than individual teacher's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general education appears not to be apt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For the future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four tasks were suggested: a) providing high quality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o at and above mid-career school administrators, b) improving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c) establishing teacher support systems and reward systems, and d) supporting classroom teachers with ready-to-use material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bove all, general education must be innovated toward accepting and encouraging diversity, considering individual educational needs, and building communities and collaborative systems, therefore creating new school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국내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발표 및 통합교육 관련 현장에 대한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현재 우리나라 통합교육 현황을 개관해보고, 주로 일반교육 측면에서 핵심적인 쟁점과 향후 추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그동안 우리나라 통합교육은 적으로 크게 성장해왔다. 국가의 통합교육 중시 정책이나 일반 사회의 장애인 교육권에 대한 높아진 인식 등도 중요한 성과 중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 특수교육 관련 정책 보고서나 실태 보고서에는 몇 명의 특수교육대상자가 어디에서 어느 정도로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계량적 데이터는 제시되어 있지만 그러한 통합교육의 결과로 어떤 성과를 어느 정도 얻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는 찾아볼 수 없다. 그런 와중에 통합교육은 일반교육의 한 영역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주로 특수교육자들에 의해서만 논의되어 온 측면이 강했다. 또한 별 지원이나 보상 없이 통합교육은 전적으로 일반학급 담임교사에게 일임되어왔다. 학계에서도 연구 내용과 방법 측면에서 단조로움과 편협성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통합교육 논의의 핵심은 과연 통합교육은 효과적인가, 일반교육은 통합교육을 담당할 능력과 의지가 있는가 등이 되어야 한다.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일반학교의 중간관리자 이상의 인식과 태도를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두고, 통합교육 대비 교사교육과 연수를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 아울러, 통합교육 담당자와 시스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부여해야 한다. 통합학급 교사들에게는 교육과정과 수업자료 측면에서 대폭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다양성이 인정되고 권장되며 공동체 형성과 협력 체제구축이 중시되는 교육문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일반교육계가 개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한 대안학교의 중국출생 북한이탈학생들의 한국 사회통합 양상: 통합교육 측면에서 사례연구

        김향숙 한국통합교육학회 2017 통합교육연구 Vol.12 No.1

        This study targets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o look at students' difficulties in terms of integrated education(IE), and characteristics or attitudes of students who show or do not show the possibility of IE, under the recognition that, in the face of diversity, nation-states need to unite based on democratic values. It carries out interviews from 11 students and 2 teachers in a private alternative school and investigates data based on thematic analysis. It turns out that although students desire integrated education, they find that they still find themselves lacking the ability required for IE, thus giving up selecting it. Students who have been involved in adjustment education for a long time seem to manifest considerable passive attitudes towards IE. However, the possibility of IE has shown by students who desire to be self sufficient in lif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ability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o be self sufficient which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E. 본 연구는 국가가 다양성에 직면할 때 민주주의 가치를 토대로 통합이 필요하다는 인식아래 대안교육시설에 재학하는 북한이탈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측면에서 학생들의 어려움, 그리고 통합교육을 단념하거나 가능성을 보이는 학생들의 특징 또는 태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한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11명의 북한이탈학생들과 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의 절반 이상이 통합교육을 갈망하고 있지만 여전히 통합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여겨서 통합교육을 단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리교육에서 오랜 기간 적응교육을 받은 학생일수록 일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받는 것에 대해 더욱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참여자들 중에 적극적인 자생적 노력을 기울이는 학생들에게서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이탈학생들의 자립력과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와 과제

        류팅팅 ( Tingting Liu ),박창언 ( Chang U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저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얐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다른 문제와 과제를 노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저이 보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애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자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드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저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course system dui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e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tt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r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t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on the te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과제와 저해 요인

        김재복 ( Jai Bo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

        우리나라의 각급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 또는 통합교육과정의 적용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때에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발전과 현장 적용에 크게 기여할 `통합교육과정학회`의 창립은 큰 의미를 가진다. 이 글은 학교 교육에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식과 교과를 중심으로 하여 통합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 대상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지식의 구조와 통합, 교과의 연결과 통합적 지도, 지식의 넓이와 깊이, 내용의 발전적 배열이 그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대상별로 연구 과제가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통합 교육과정이 구성되고, 그것이 적용될 때에 지식의 구조 또는 지식의 형식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 교과 전문가 집단의 교과 지향적인 의식 구조,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방법상의 전통적인 인습, 분과별로 출제되는 시험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저항이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는 새로운 측면에서 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통합 교육과정의 연구 대상 및 과제와 저해 요인에 대한 해소 방안이 통합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의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Curriculum integration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little theoretical progress is made in the academia. This induces uncertainty and concern about the potenti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affecting schools positively. In that sense,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Integration may be conduciv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curriculum integration. The major focus of this paper is devoted to an examination of issues to be considered in putting curriculum integration into effect. Four issues are addressed for the future research on curriculum integration: (1) the relations between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and curriculum integration, (2) the practical models of integrating the content of school subjects, (3) the ways of expanding and deepening knowledge through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narrowly defined knowledge within a specific subject, (4) reorganizing and restructuring knowledge from separate subjects into curriculum organization considering its sequence and structure. Finally, practical problems in implementing curriculum integration are posed such as: teacher recruitment and identity, discipline-based subject, subject statues and histories, assessment structures, and etc. This paper provides some ideas to resolve those problems.

      •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차기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기저로서 만하임의 지식 사회학, 듀이의 교과의 진보적 조직,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정체성 연구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지식사회학이 추구하는 지식은 객관과 주관을 상호 연계한 간주관성으로 교육과정 지식 선정의 기저를 제시하였다. 교과의 진보적 조직이란 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가장 정합성 있는 교과 조직의 형태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과 교과의 관계를 기초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이웃하는 유치원과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연계하면서도 독자적인 교육과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육과정이 학생이 교과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교과에 호감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는 관점을 취하며, 따라서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이런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동일한 방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이 기저를 중심으로 차기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지식의 간주간성, 상관성을 기저로 지식의 사회적, 집단적, 대중적 협의 과정을 전제로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심리사회적 방식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교과의 점진적 조직을 기초로 할 때, 저학년에서는 통합교과형이, 고학년에서는 교과통합형이 적절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을 이를 위해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교과, 개인, 사회의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의 원천을 구비하고,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한 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대주제를 통일할 때, 향후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보다 개선된 형태로 개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developing. In order to this aims, this study research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On the based them, this study suggested two viewpoints In view of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would developed on basis the sociology of knowledge, progressive organization of subject-matter, and school curriculum study. Second, It was a statement of mutual agreement dating with a social, a group, and a mass for the future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development. And It is appropriated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for low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in higher level curriculum integration approach. Finally, the future integrated curriculum needs to create a curriculum source study and united the big themes of th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