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만 한국어교육을 통해 본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의 과제와 전망

        정윤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3

        본 연구는 대만의 중국문화대를 중심으로 올해로 65주년을 맞는 대만 한국어교육의 교육과정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경험을 토대로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론 제2장에서는 대만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 측면에서 대학교, 고등학교, 기타 영리 목적의 부속기관 및 사설교육기관으로 나누어 최근까지의 교육 현황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대만 중국문화대의 학습자들의 변인과 학습 목적을 중심으로 대만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당면한 과제를 분석해 보고, 이를 토대로 제4 장 결론에서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이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과제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대만은 대학교에서 고등과정으로 한국어교육 역사가 시작된 지 65년에 이르고 현재는 세 대학에 학부와 석사과정이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는 2018년에 한국어가 정식으로 대만 고등학교 제2외국어로서 채택되면서 현재 124개 고교에서 총23,173명이 학습하고 있다. 한편 대만에서의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2006년 이래 대만에서 시행되고 있는 TOPIK 응시자수에서도 알 수 있다. 2018년 제57회 TOPIK 이후로 응시 자수가 1.1만명을 돌파하며 세계 순 제4위, 2020년에 시행된 제60회는 코로나 사태로 전세계 63개국의 시험이 취소됨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대만은 4,848명이 참가하는 이변을 낳아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기도 하였다. 또한 오늘날 2019년 코로나 사태 이래 박차를 가하며 다가오는 메타버스 시대의 해외 한국어교육 향후 과제는 분명 새로운 환경 변화가 고려되어야 한다. 예견하건데, 향후 해외 한국어교육은 다양한 학제하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으로 분화되어 실시될 전망이며, 오프라인 환경에서 온라인 교육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에 대처할 필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 KCI등재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 인식 연구— 경기 A 지역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

        최현미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41

        본고는 중국어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학습자 감소의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교육계의 주요 학습자로 대두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중국어 평생교육으로 유인하고자 경기도 A 지역의 성인학습자 399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비용, 시간 등의 개괄적 욕구와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선택 방해 요인, 대상자의 특성별로 도출된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심층적 니즈 등을 욕구 조사의 주요 조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Survey) 방법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사회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결과로서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학습 동기로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향후 듣고 싶은 프로그램에서도 ‘취·창업’과 같은 ‘미래 준비’와 연관된 프로그램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평생교육 학습 동기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취업 중국어’분야에 대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심층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성별, 연령별로 타겟화된 수업 개설과 홍보 전략을 시행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실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면세점+의료코디네이터 중국어 수업’ 등의 패키지 수업 운영이나 수강자 혜택 등의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학습자 발굴의 전략 수립과 실행 등의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셋째, 성인학습자층의 실제적인 욕구를 반영하여 평생교육 중국어 수업의 학습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신청을 방해하는 요인 중 주요하게 제시된 ‘중국어 수업의 필요성 부족’, ‘시간 부족’ 그리고 ‘강사진의 신뢰 부족’이라는 세 가지 요인의 해결 방안은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declining learners fac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world and to attract adult learners who are emerging as major learners in education as learners of new Chinese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first conduct a consumer-centered survey of adult learners' needs for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is in various way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99 adult learners in area A of Gyeonggi-do. The general needs of the type, cost, and time of the desired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actors that hinder the selection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classes, and the in-depth needs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riv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and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ocial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어 교육 콘텐츠 큐레이팅 플랫폼

        박정원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41

        본 연구는 중국 교육 콘텐츠 큐레이션 플랫폼이 중국의 교육 지형을 재편하는 데 미약한 역할을 기대하고, 나아가 폭발적으로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웹기반 플랫폼을 교육적 용도로 전환하여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교육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세부적으로 중국어 교육 콘텐츠를 큐레이팅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교육자가 직접 구축하는 “구축형 큐레이팅 플랫폼”과 사업자가 구축하여 제공하는 “서비스형 큐레이팅 플랫폼”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플랫폼은 다양한 교육 리소스를 한 곳에 모으고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자가 자신의 교육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과의 온라인 공유와 협업을 통해 참여를 유도하고 파편화되어 있는 개별 콘텐츠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큐레이팅 플랫폼은 경제적 접근성, 조작 수월성, 큐레이팅 품질, 웹접근성, 정보 표현력, 공유과 협업, 상호작용성 등 많은 요소를 충족해야 만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중국어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콘텐츠와 교육 자원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고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육자의 참여와 관심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의도는 큐레이팅 플랫폼 선택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실제 운영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비즈니스 플랫폼을 상상력을 통해 교육영역에서 우회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수행된 중국 교육 콘텐츠 큐레이션 플랫폼에 대한 분석은 다양한 완성도 높은 콘텐츠 제작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학습자와 교육 리소스 간의 격차를 효과적으로 메우는 플랫폼은 전통적인 교수법을 보다 개인화되고 상호 작용하는 접근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일 것이다. 본 연구가 중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 서비스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방법론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strengthening educ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ely using the exploding web-based platform for educational purposes, expecting the Chinese educational content curation platform to play a weak role in reorganizing China's educational landscape. In detail, each characteristic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platform that can curate Chinese education content into a "constructed curating platform" built by educators and a "service curating platform" built and provided by operators. The platform can be sai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fficiently managing educators' educational content by collecting various educational resources in one place and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path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inducing participation and integrating and managing fragmented individual content through online sharing and collaboration with students. Curating platforms can only be used continuously if they meet many factors such as economic accessibility, ease of operation, curating quality, web accessibility, information expression, sharing and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Educators' participation and interest are essential to efficiently serve content and educational resources suitable for the Chinese curriculum and to efficiently utilize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guidance on the selection of curating platforms and present actual operating cas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various business platforms indirectly in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imagination.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Chinese educational content curation platform conduct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a new opportunity for access to various, customized, and high-quality content production and services.

      • KCI등재

        내용 언어 통합학습(CLIL)의 중국어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 한국문화를 주제로 한 통합수업

        임지영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36

        우리 고유의 가치와 문화를 세계에 잘 알릴 수 있는 언어 능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고,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중국어와 한국의 문화를 콘텐츠로 결합한 새로운 언어교육법의 필요성을 느껴 연구를 시작하였다. ‘내용 언어 통합 학습(CLIL)’을 중국어 교육에 적용해보려는 초보적인 논문으로 CLIL의 이론에 관해 소개한 후, 한국 대학의 중국어 교육 상황에 적합한 수업모형과 그에 따른 간략한 수업 설계안을 제시하여 중국어 교육에 적용 가능할지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CLIL은 주제에 따라 확장과 변형이 가능하고, 대략적인 주체 토론에서 세밀한 주제 토론으로 단계가 올라갈수록 심화 수업이 가능하며, 내용만 적절하게 구성된다면 다른 제2 외국어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무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엿보았다. 한국의 중국어 교육 환경에 CLIL을 적용하려고 할 때 해결해야 하고,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시도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 앞으로도 계속 연구해 나갈 계획이다.

      • KCI등재

        “把”字句【S+把+O+V+在/到+地方】格式中动词语 义特征对介词“在/到”选择的限定作用分析 -从韩国学生的“把”字句偏误谈起

        량야오중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8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28

        최근 20여 년 동안, 중국어학계에서는 ‘把’자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적지 않았다. 특히 金立鑫⋅崔希亮⋅范颖睿 등 중국어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이 연이어 ‘把’자문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논문에서는 ‘把’자문의 문장구조, 어의분석과 화용론 등 다각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각급 학교의 석⋅박사 학위논문에서도 ‘把’자문을 연구소제로 삼았다. 본고는 ‘把’자문 중의 구체적인 문장구조에 착안하여,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을 학습할 때 나타나는 오류 문장에 근거하여 ‘把’자문의 동사 어의자질과 개사의 선택법칙을 고찰하였다. ‘把’자문은 중국어교육에서 중점이자 난점이기도 하다. ‘把’자문을 처음 접하는 초급중국어 수준의 학습자이든지, 중국어를 여러 해 공부한 고급중국어 수준의 학습자이든지, 모두 ‘把’자문을 사용할 때 문장구조나 문장화용 측면에서 오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把’자문 사용을 어려워하고 회피하는 현상도 있다. 그런데 중국어에서는 ‘把’자문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물건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명령문에서 [把+O+V+到/在+장소] 격식이 [V+O+到/在+장소] 격식보다 더 합리적이고 명령의 어감도 더 강하다. 하지만 한국 학습자들은 이러한 문장구조를 사용할 때 많은 오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오류 현상 중에서 대표적인 예로는, ‘把’자문 격식에서 동사의 어의자질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동사 뒤의 개사 ‘在/到’의 사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把书搬在教室里。”와 같은 오류 문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학습자가 ‘搬⋅放⋅拿’ 등과 같은 동사의 어의자질과 동사 뒤의 개사결과보어 ‘到/在’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오류 문장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동사 ‘搬⋅放⋅拿’ 등과 개사 ‘到/在’를 같이 쓰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把’자문 [把+O+V+到/在+장소]와 같은 격식으로 표현된다. 그런데 한국 학습자들은 이러한 ‘把’자문 격식에서 오류 현상이 흔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把’자문 문장구조에서 이 격식에 들어갈 수 있는 상용동사의 어의자질 분석과 개사 ‘到/在’의 선택법칙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고는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 [把+O+V+到/在+장소] 격식에서 나타난 오류 문장을 출발점으로, 이 격식에서 상용되고 있는 동사의 어의자질이 개사 ‘到/在’의 선택법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 격식으로 표현할 때 오류 문장으로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격식에서 상용되는 동사와 개사 ‘到/在’의 결합법칙을 총괄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把’자문 격식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을 피할 수 있도록 한국 학습자들에게 합리적인 학습방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把”sentence is both a key point and a difficult point in Chinese teaching, whether it is the elementary Chinese learner who starts study the “把”sentence or the advanced Chinese learner who has studied Chinese for many years. There are also many errors on the structure and pragmatic to use the “把”sentence, and even many students often avoid to use the “把”sentence with fear. But in practical use, the expression of many situations is more appropriate to use the “把”sentence. For example, when you are causing others to shift the object, using [把 +O+V+在/到+place] is more reasonable than using [V+O+在/到 +place] form, and the command is also stronger. But when students use this sentence form, they often have a lot of errors. The most common error is that students don't know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verb in this “把”sentence, which results the mistakes in the choic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uch as creating a wrong sentence like “把书搬在教室里”. Therefore, we will discuss the problem in this “把”sentence form. This is more conducive to analyzing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have produced such wrong sentence in this form and look for proposing teaching strategies. First, this paper will start with the mistakes of Korean students using the “把”sentence [把+O+V+在/到+place] form and collect students' wrong sentences by questionnaire test. And we will analyze the semantic features of commonly used verbs in this form based on the corpus, in order to explore the limiting effect of the verb semantic features on the choice of “在/到” in this form and summed up the usage rul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econd, through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are make wrong sentence in this “把”sentence form and propose the suggest on the teaching of Chinese in this “把”sentence. At last, we will teach students the usage rule of using the verbs with prepositions “在/到” in this “把”sentence, to prevent students from making mistakes when they use this form to make sentences.

      • KCI등재

        중국인 보조교사의 직무능력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선방안

        김민영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2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36

        교육부는 학교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실용 외국어 교육의 틀을 마련하고, 모두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원어민 교사를 초청하는 교육 교류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국가에서 실시하는 원어민 교사 초청 사업 중 하나인 CPIK사업은 2012년을 시작으로 해마다 원어민 중국어 보조교사를 초청하여 초·중등 교육기관에 파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인 보조교사를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교사연수 교육과정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했다. 먼저 한국과 중국에서 실시하는 연수의 목적을 명확하게 설정한 후, 연수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중국인 보조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능력을 설정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중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인 교사와 중국인 보조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하나는 사전연수에 편성된 협력수업과 관련된 강의는 온라인 방식으로 운영하여 한국인 교사도 참여하게 하고, 두 교사가 협력수업 운영에 대한 계획, 지도, 평가 등의 과정을 공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온라인 보수교육을 추가편성하여 중국인 보조교사에게 지속적으로 필요한 교육뿐만 아니라 중국어 교육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교육적 환류 기능을 담당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