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원봉사센터 재난자원봉사 담당자의 직무요구-자원(JD-R)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연구

        신지헌(Shin, Ji-Hun),정진경(Jung, Jin-Kyung)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전국의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재난자원봉사 업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요구와 자원(JD-R)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를 통해 수집된 165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자원봉사 업무 담당자들이 인식하는 직무요구 수준은 평균 3.01로 보통 수준이나 역할모호성 요인(3.13)이 비교적 높았으며, 이들을 지원하는 직무자원은 3.15점으로 평균 이상이었지만 자기개발(2.81) 요인은 낮았다. 둘째, 직무 열의는 평균 2.98점으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재난자원봉사 업무에 대한 몰두(2.78)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재난자원봉사 업무 담당자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요구에서는 ‘희생’요인이 부정적인 영향(β=-.235)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자원에서는 도구적 지원((β=.193)과 자기개발(=.358)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재난자원봉사 업무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 역할을 명확히 하고 직무에 필요한 도구적 지원뿐 아니라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 자기개발을 위한 지원 확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job demands and resource levels (JD-R) for disaster volunteers working at volunteer centers across the country,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ir effects on job enthusias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165 peopl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demand level recognized by disaster volunteer work managers was average of 3.01, but the role ambiguity factor (3.13) was relatively high. The job resources to support them were 3.15 points, above the average, but the factor for self-development (2.81) was low. Second, the level of enthusiasm for the job(2.98) was lower than the average and in particular, the level of preoccupation with disaster volunteer work(2.78) was low. Thir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job enthusiasm of those in charge of disaster volunteer work, the sacrificial factor had a negative effect(β=-.235) in job demands, and instrumental support(β=.193) in job resources. and self-development(β=.358) had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disaster volunteer work was clarified through job analysis, and support for self-development such as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 in charge as well as the instrumental support required for the job was suggested.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 진흥을 위한 자원봉사센터 실행계획(2024~2027) 수립 연구

        최유미,조철민,이은자 사단법인 한국자원봉사학회 2023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진흥을 위한 자원봉사 실행조직인 자원봉사센터가 제4차 국가기본계획의 정책과제 중 수행해야 할 핵심과제를 도출하고, 자원봉사센터의 실행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4차 자원봉사국가기본계획의 핵심가치와 세부추진 과제를 검토하고, 18개 중앙 및 광역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센터의 내외부 환경 분석과 정책목표 수립을 위한 과정분석을 통해, 자원봉사센터 실행계획 수립과 핵심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원봉사센터 내외부 환경 분석의 내용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 분석결과, 최대 빈도 단어로 ‘부족, 증가, 다양, 봉사, 참여’순으로 나타났으며, 내용 간 연계성 분석결과 강점과 약점을 중심으로 연계된 내용으로는 ‘장기근속자 업무숙련과 노하우’, ‘선임에 대한 신뢰’, ‘직급별 역량 차이가 크고 새로운 도전이 적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18개 자원봉사센터의 실행계획 수립결과, 총 24개의 세부과제, 단위사업 491개가 제출되었다. 센터의 정책목표 등에 대한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정책목표는 ‘시민-연대-활성화-플랫폼’이라는 토픽 모델이 도출되었으며, 계획추진 방향으로 ‘활성화-사회-플랫폼-일상’이라는 토픽 모델이 도출되었다. 셋째, 4차 국가기본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중앙 및 광역자원봉사센터에서 도출된 핵심과제는 8개이며, 핵심과제 도출에 따른 추진방향으로‘전국민 기후위기 대응 참여, 다양성을 촉진하는 자원봉사 관리,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및 사회적 연대 강화’라는 세 가지 방향을 도출하였다. 향후 제4차 국가기본계획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방향으로 국가기본계획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이행점검체계 수립,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한 기초센터로의 확산노력, 성과관리를 위한 교육과 성과지표개발을 위한 추가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key tasks that the volunteer center, a volunteer implementation organization for the promotion of volunteerism, must perform among the policy tasks of the 4th National Basic Plan and to establish an action plan for the volunteer center. We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18 volunteer centers, established policy goals, established action plans for volunteer centers, and derived key tasks. First, as a result of text-mining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enter'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analysis, the most frequent words appeared in the order of ‘lack, increase, diversity, service, and participation’, and as a result of the linkage analysis between contents, long-term employees focused on strengths and weakness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skill and know-how, trust in seniority, and capabilities by rank, and that there were few new challenges. Second, as a result of topic-modeling analysis, a topic model with the policy goal of ‘citizen-solidarity-activation-platform’ was derived. As a direction for policy operation, a topic-model called ‘Activation-Society-Platform-Daily Life’ was derived. Third, eight core tasks derived from the central and regional volunteer cente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4th National Basic Plan and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core tasks were presented.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4th National Basic Plan in the future, we will establish an implementation inspection syste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Basic Plan, make efforts to expand to basic centers focusing on key tasks, and provid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performance management. Additional research was suggested.

      • 타임뱅크 방식의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김자옥(ja-ok Kim) 한국자원봉사학회 2022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타임뱅크 방식을 적용하여 만든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의 지역밀착형 자원봉사 안녕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자원봉사 활동과 관리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타임뱅크 운영방식을 적용한 ‘안녕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 6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은 4가지 범주로 자원봉사 환경변화에 적응, 쌍방향의 교류과정이 있는 자원봉사, 현장 욕구에 부응하는 연계 전략, 실질적 교류 성과 확인이라고 나타났다. 자원봉사 관리자는 타임뱅크 방식의 참여경험은 새로운 자원봉사 유형을 이루는 도전이고 세밀한 과정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여기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volunteer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Volunteer Center's community-based volunteer well-being network project created by applying the time bank method. As a research metho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volunteer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Hello Network Project’ to which the time bank operation method was applied at the Seoul Volunteer Center.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volunteer managers fall into four categories: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volunteering environment, volunteering with an interactive exchange process, linkage strategy to meet the needs of the field, and confirmation of practical exchange results. Volunteer managers consider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time bank method as a challenge to form a new type of volunteer work and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detailed process.

      • 재난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자원봉사의 변화 방향

        김동욱(Dongwook Kim),이창길(Changkil Lee) 한국자원봉사학회 2022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재난현장의 효과적인 자원봉사체계를 구축하여 재난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한 개선방안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난자원봉사 업무를 수행하는 자원봉사 센터 소속 활동가와 공무원을 대상으로 재난자원봉사 영역에서 회복력 강화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요인과 조직 및 역할 요인, 법·제도적 기반 요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변화방향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재난자원봉사 현장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요인에서 일부 측정항목에 대해 응답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조직 및 역할 요인의 경우 응답자 집단 모두 유사한 인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법·제도적 기반 요인의 경우 재난자원봉사 지원과 활동에 대한 법·제도적 근거에 대해 양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 집단 간 재난자원봉사 변화방향의 우선순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체 간 명확한 역할 정립과 책임 분배, 민·관 유관단체 활동의 법적 근거 마련과 지원 가능한 자원의 명확화, 재난자원봉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유관단체의 역할 정립 등 재난회복력 강화를 위한 재난자원봉사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to build an effective volunteering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nalyses were conducted comparing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factors, organization and role factors, and legal·institutional factors for strengthening disaster resilience and deriving priorities for the direction of change. The sample for analysis was selected from activists belonging to a volunteer center performing disaster volunteer work and public officials performing disaster-related 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respondent groups for some variables in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factor. Second, all respondent groups had similar perceptions in organizational and role factors.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bases for support disaster volunteering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changes in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preparation of legal bases for activities of related organizations, clarification of supportable resources, and role establishment for training professional disaster volunteers.

      •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

        최권호(Choi, Kwonho),권현수(Gweon, Hyunsoo),김준표(Kim, Junpyo),구지윤(Ku, Jiyoon),이종화(Lee, Jonghwa)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워크숍, 심층인터뷰 등을 통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를 A. 자원봉사 활동 기획’, ‘B. 자원봉사 활동 연계’, ‘C.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D. 자원봉사 활동 지원’, ‘E. 지역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F. 자원봉사 홍보’, ‘G. 행정관리’ 등 7개의 책무와 31개의 작업을 구성하였고, 각 작업 수행에 필요한 63개 단위의 역량(28개 단위 지식, 35개 단위 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63개의 역량을 클러스터링하여 각 역량을 교육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원봉사’,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자원봉사의 가치와 윤리’,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자원봉사 관리’, ‘자원봉사 행정’, ‘자원봉사 리더십’, ‘자원봉사 마케팅’, ‘사회조사 및 자료분석방법’, ‘자원봉사의 동향과 전망’ 등 10개의 교과목을 개발하고 각 교과목 별 개요와 목표, 내용 및 교수방법을 포함한 교과목 지침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guidelines for nurturing volunteer managers. First, we composed the seven responsibilities and thirty-one tasks based on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s. Each responsibility is as follows: A. Volunteer activity planning; B. Volunteer activity linkage; C. Volunteer education and training; D. Volunteer activity support; 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 F. Volunteer Public Relations; G. Administrative Management. Next, we derived 63 competencies (28 units of knowledge, 35 units of skills) required for performing each task and clustered them into the ten subjects, which are as follows: Human and Volunteer Service; Civil Society and Volunteer Service; Volunteer Value and Ethics; Volunteer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Volunteer Management; Volunteer Administration; Volunteer Leadership; Volunteer Marketing; Social Research Methods; Volunteer Trend and Prospect. Finally, we proposed curriculum guidelines for each subject, including outline, goals, main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 KCI등재후보

        온라인 자원봉사 운영에 관한 탐색적 사례 연구 -자원봉사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이민영,한은영 사단법인 한국자원봉사학회 2023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체계적인 온라인 자원봉사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고자 4개지역 자원봉사센터의 온라인 자원봉사 프로그램 운영 경험을 사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획과 모집과정에서 관리자는 온라인 봉사활동의 개념을 명확히하여 오프라인 봉사활동보다 철저하게 준비하고 동기부여해야 했다. 운영과 관리과정에서 윤리교육을 기반으로 유대감과 안정감을 느끼도록 의사소통하는 것이 필요했다. 결과와 후속관리과정에서 갈등관리와 봉사자 성장 확인, 그리고 관리자의 업무과중에 대한 고려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사례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하여 창의적 프로그램 개발, 온라인 자원봉사 개념 교육, 온라인 자원봉사 플랫폼의 중요성, 봉사성과 관리체계 전환 필요, 온라인 봉사활동을 위한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anagers’ experiences of online volunteer pilot projects in four regional volunteer centers by conduct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s a result, managers needed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online volunteering, thoroughly prepare and motivate volunteers more than offline volunteer programs during planning and recruitment processes. In the operational and management processes, it was necessary to communicate a sense of unity and stability based on ethical education. The analysi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conflict management, volunteer growth confirmation, and consideration of managerial workload in the results and follow-up management processes.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activating online volunteerism include emphasizing creative program development, education on the concept of online volunteering, the significance of online volunteer platforms, challenges in volunteer time management systems, and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for online volunteer activities.

      • 자원봉사관리자 직무분석 및 직무모형 개발

        최권호(Choi, Kwonho),김준표(Kim, Junpyo),김진원(Kim, Jinwon) 한국자원봉사학회 2020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특정 취약계층을 원조하던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동체 영역에서 변화를 모색하는 시민주도의 자원봉사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며, 자원봉사활동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전문가로서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은 어떠한지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향후 자원봉사관리자의 자격제도 도입 및 관련 학문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자격제도와 직무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자원봉사활동이 오래전부터 사회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서구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관련 자격제도 역시 난립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분석 및 직무모형 개발을 위해 국내 9명의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진행하는 질적연구와 122명의 자원봉사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양적조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인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국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는 9개의 책무와 41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41개 작업요소 별로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비교하는 IPA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ave the way forintroducing the volunteer manager licensure and related area by suggesting the job modeling as plan maker and manager in the midst of changing paradigm from supporting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to groping change in various community settings which are led by citizen.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current volunteer manager certificate system in Korea and abroad, and existing study about their job modeling.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study about volunteer manager job model was limited on the contrary of the population in western countries, and the vasious certification system were mushroomed and individualized due to the jumbling of private licensure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ers suggested a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 by mixed method which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experts in the field, and survey with 122 volunteer managers. In detail,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 in Korea was developed with nine duties and 41 works. The study performed IPA analysis which compares importance and job frequency in each works, and suggested its results and implications.

      •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의 죽음 관련 변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이인정(Lee, In Jeong)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의 죽음 관련 문제를 검토한 국내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 교육 및 관리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인 RISS, KISS, DBpia, 국회도서관에서 키워드를 중심으로 검색하여 PRISMA의 체계적 연구 고찰을 위한 문헌 선정 기준 권고에 따라 총 1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을 주제별 발표연도 현황을 검토하고 연구방법론 측면, 연구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의 죽음 관련 변인을 검토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논문 편수가 양적으로 적었다. 둘째, 방법론 측면에서 측정 도구가 우리나라에서 타당도 검증이 되지 않은 도구들이 활용되었고, 대다수가 횡단설계의 양적 연구로 질적 연구, 혼합연구 등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이 요구되었다. 셋째, 분석대상 논문이 주요 결과를 검토한 결과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의 죽음 태도, 인식, 불안 등의 죽음 관련 변인은 생의 의미, 봉사 참여 태도 및 지속 의지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의 죽음 관련 변인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연구 등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Korean studies that investigated the death-related variables of hospice palliative volunteers, present implications for hospice volunteer education and management, and suggest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A total of 15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PRISMA s recommendation of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for systematic research review by searching keywords in the database ‘RISS’, ‘KISS’, ‘DBpia’,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This study anal 15 articles(1999-2019) on variables related death and dying in hospice palliative volunte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main results of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on the death-related variables of hospice palliative volunteers is gradually increasing, but more divers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Some studies have used tools that have not been validated in measuring death anxiety and death attitude in the context of culture of Korea. Death-related variables such as death attitude, perception, and anxiety of hospice palliative volunteers affect the meaning of the volunteer s life, attitude to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and willingness to continue.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 마을공동체 생활공간 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 : ‘꽃피는 마을회관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임미남(Lim, Mi nam),이금룡(Lee, Geum-yong) 한국자원봉사학회 2020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남원시자원봉사센터에서 주관하고, 남원시 소재 민간자원봉사단체들의 참여로 실행된‘꽃피는 마을회관 사업’사례를 토대로 기획, 실행, 평가내용을 단계별로 소개한 현장논문이다. 본 사업의 목적은 첫째, 마을회관 노후시설의 개보수작업을 통해 이용어르신들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고, 둘째로, 참여봉사자들의 자기주도성을 견인함으로써 봉사활동의 만족도와 지역 공동체의식(지역소속감)을 강화하며, 셋째, 본 사업에 참여한 민관협의체 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사업은 봉사자들의 자기주도적 참여를 통해서 마을공동체의 중요한 매개공간인 마을회관의 노후시설을 개보수한 이후에 이용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서 및 안전교육 프로그램(안녕 리액션 캠페인)을 실행하였다. 본 사업의 평가는 과정평가와 성과평가로 구분하였고, 봉사자와 마을회관 이용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업 평가를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사업의 참여봉사자들의 자기주도성이 높은 수준(평균 4.6점/5점)을 보였으며, 이는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인의 의견이 반영되거나 본인의 능력에 맞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자들의 지역소속감 인식변화(평균 4.61점/5점)가 높게 나타남으로써 본 사업이 참여봉사자들의 지역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마을회관 이용어르신들의 경우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신뢰감, 젊은 봉사자들에 대한 고마움을 통한 세대 간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넷째, 민간자원봉사단체 입장에서는 민관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형성되었고, 본 사업을 주도한 자원봉사센터에 대한 신뢰감이 강화되었다. 사업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꽃피는 마을회관 사업의 실천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plan, implication, and evaluation on the ‘Flower blossoming village hall’project which was organized by the Namwon city volunteer center and participated by various private volunteer organizations in Namwon city.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ho use village hall through renovation of old facilities. Second, improving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volunteers through self-directed volunteering. Third, strengthening the partnerships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is, this project was conducted by renovating old facilities of village hall, and serving various programs for emotional healing as well as safety educa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is project suggest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is project effectively led volunteers self-directed, and it played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Second, the sense of village community among volunteers were highly improved through participating this project. Third, a bond and faith toward younger generation appeared to be increased for older adults using village hall. Forth, positive partnership has be built among private volunteer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rust of Namwon city volunteer center. Finally,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n this project are suggested.

      •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진원(Kim, Jinwon),이금룡(Lee, Geumyong)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 변화 형태와 자원봉사활동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고령화패널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의 3·4·5·6·7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2010년 기준 60세 이상 80세 이하 노인으로 2018년까지의 추적조사에 응답한 3,373명이다. 분석결과,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삶의 질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종교, 자원봉사활동 초기치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수록 삶의 만족도 초기치가 높았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은 삶의 질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노인의 삶의 질 초기치가 높았고 변화율이 높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used the 3rd, 4th, 5th, 6th, and 7th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elderly aged 60 to 80 years old as of 2010, and 3,373 people who responded to the follow-up survey until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decreased linearly. Factors affecting the initial values of the elderly s quality of life were the presence of a spouse, educational level, religion, and initial valu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higher the spous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religion, the higher the initial values of life satisfaction. The volunteer activities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number of volunteer hours, the higher the initial quality of life and the higher the rate of chan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ctivating volunteer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licati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