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찬술불교문헌의 확장성에 대한 일고찰 - 태현의 『보살계본종요』를 중심으로 -

        김천학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boundary of Korean studies by paying attention to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n the Buddhist texts written by Koreans. This is because the study on the East Asian commentaries on Korean Buddhist literatures can broden the scope of Korean studies in that Korean Buddhism extends its scope through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mmentaries of Korean Buddhist literatures and its extended domain continues to spread through various specul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mmentaries of 11 Koreans (9 Silla, 1 Koryeo, 1 Chosun) surveyed to date, and in particular, focusing on Bosatsukaihonshuyousho(菩薩戒本宗要鈔), a commentary on Taehyun (太賢)’s Bosalgyebonjongyo(菩薩戒本宗要, hereafter Jongyo), I examined the expansion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Jongyo is the document which became the standard of the practice together with Beommanggyeonggojeoggi (梵網經古迹記) in Japan which places emphasis on the bodhisattva precepts. This point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Taehyun was regarded more important even though there were many characters before him such as Zhiyi(智顗), Fazang(法藏) in China and Wonhyo(元曉), Uijeog(義寂) in Silla dynasty. This shows that Taehyun’s interpretation of Beommanggyeong was important in the understandins of bodhisattva precepts in Japan. It is presumed that Jongyo was handed over to China soon after it was written and it was handed to Japan as well at the time of Beommanggyeonggojeoggi’s passing to Japan. In China, since Daofong (道峯)’s preface had been attached, the significance of Taehyun is highlighted and Jongyo with the preface was brought to Japan again. Thereafter more than nine kinds of annotations on Jongyo with Daofong’s preface were written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kinds of commentaries on Jongyo without Daofong’s preface. In this way, Jongyo was spread widely in Japan and the fact that Taehyun was highly appreciated in China could be one reason for this situation. This is an example of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Buddhism by the process in which Jongyo, a Korean Buddhist literature was appreciated in China and Japan, and many commentaries were written as well in China and Japan. 본고는 한국불교를 다양하게 연구하기 위해서 한국인이 찬술한 불교문헌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주석서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외연을 넓히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그것은 한국불교가 주석서를 통해 외연이 확장되고 한국불교에 내포된 사유가 계속 전파된다는 일면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서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조사된 한국인 11인(신라9명, 고려․조선 각 1명)의 주석서를 소개하고, 그 가운데 특히 태현의 『보살계본종요』의 주석서인 『보살계본종요초』에 주목하여 한국학의 확장성과 그 의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보살계본종요』(이하 『종요』로 약칭)는 『범망경고적기』와 함께 보살계를 중시하는 일본에서 학습의 전형이 된 문헌이다. 태현 이전에 중국의 지의, 법장 등이 신라에서도 원효와 의적 등 지명도 높은 다수의 인물이 『범망경보살계』에 관한 주석서를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는 『범망경보살계』에 한해서는 태현의 주석서가 더 중시되었다. 그만큼 태현의 『범망경』 해석이 일본의 보살계 해석에 중시되었다는 뜻이다. 『종요』는 저술된 이후 바로 일본으로 전해지며, 일본에도 『범망경고적기』가 전해지는 시기에 함께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도봉(道峯)의 서문이 쓰여지면서 태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으로 전래된다. 일본에서는 도봉의 서문이 붙은 『종요』의 주석서가 9종 이상 저술된다. 한편, 도봉의 서문이 붙지 않은 주석서도 3종 이상에 이른다. 이렇게 『종요』는 일본에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여기에는 중국에서 태현을 높이 평가한 것도 한 원인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한국불교문헌인 태현의 『종요』가 당과 일본에서 중시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주석서로 재탄생하면서 한국불교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한국불교의 확장성의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한국불교의 문헌이 주석서를 통해 해석되고 재탄생하는 과정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한국불교문헌은 중국불교문헌에 못지않게 중국과 일본에서 연구되고 주석된다. 이것은 한국불교가 중국과 일본에서 그만큼 중시된 것을 의미한다. 한국불교가 중시되면서 전파되고 생성되고 재탄생되는 과정을 거쳐 새롭게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국불교의 확장성을 탐구하는 것은 한국학의 범주를 넓히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우리는 이와 같은 주석서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한국불교 연구의 범위 내지는 한국학의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페트로바의 「한국 기록문화 유산의 해제(Описание письменных памятников корейской культуры)」 제작과정 연구 - 상권을 중심으로 -

        Kobyakova, Uliana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8 No.-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used by Olga Petrova (1900-1993) to compile the Description of the Written Heritage of Korean Culture, a catalog of old Korean books held by the Institute of Oriental Manuscripts (IOM) in St.Petersburg, which was published in two volumes, in 1956 and 1963. In a 1954 paper Petrova adopted six classification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law, and references), providing each book’s title, type of edition, year of creation, and number of volumes. By 1954, Petrova had already identified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most of the old books held by the IOM and had created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both volumes of the catalog. For Volume 1 of the Description, Petrova relied on six catalogs and six lists written in Western languages and in Japanese, and on two books written in Korean as references. Among them, Bibliographie Coréenne by M. Courant is the most frequently referenced material in all except two sections of Volume 1; Petrova used this reference to describe 43 old books out of a total of 105—the other two sections mostly contain Japanese old books. The next most referred catalog is 朝鮮圖書解題 (Bibliography of Korean books, 1932), which Petrova used to describe 25 old books included in four sections of the Description. Of the lists, the most referenced materials are 東洋文庫朝鮮本分類目錄 (The list of Korean books held in Toyo Bunko) and 朝鮮書籍目錄 (List of Korean Books). Finally, Petrova’s description of 45 old books provides no references as, 36 of them were not included in any catalogs or lists; thus, Petrova analyzed and described the content of these old books directly. 본 연구는 러시아 한국학자 올가 페트로바가 저술한 상트페테스부르크 동방학연구소 소장 한국 문헌 해제인 「한국 기록문화 유산의 해제」 상권(1956)의 제작 과정과 해제 작성에 활용된 참고문헌을 분야별로 심도 있게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에서는 먼저 페트로바가 해제 제작 이전인 1954년에 발표한 한국 고서에 대한 논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페트로바가 한국 고서를 여섯 분야로 분류하여 제목, 판종과 창작연도, 권책수를 중심으로 정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녀가 논문의 발표 시기에 이미 대다수 고서의 내용과 성격을 파악하였으며, 상․하권 해제의 분류체계의 틀을 작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권에 해제의 작성에는 서양어와 일본어로 작성된 해제 6종, 목록 6종과 한글 자료 두 권을 참고문헌으로 활용하였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참고된 자료는 쿠랑의 「한국 서지」로 상권 105종 서적 중 43종, 9분야 중 일본 서적 위주인 2분야를 제외한 전 분야의 해제에서 활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두 번째 주요 참고 자료는 「朝鮮圖書解題」(1932)로 4분야에 25종 서적의 해제에서 사용되었다. 목록 자료 중에는 「東洋文庫朝鮮本分類目錄」과 「朝鮮書籍目錄」이 가장 많이 참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5종 서적에는 참고문헌이 제시되지 않았는데 그 중 앞 책의 이본과 일본 간행본에 해당하는 자료는 9종이다. 페트로바는 참고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은 나머지 서적의 내용을 직접 분석하여 해제를 작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KDC 제5판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 전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9 No.-

        This paper analyzes the articles of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as revised in the 5th Edition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suggests ideas for their improvement.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present, while looking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attempted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systems of Korean music in Korean libraries: the KDC, which the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specialized classification system for Korean music ; the KBS musical data classified table ;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Gug-ak Center’s traditional arts archive. The articles of the KDC 5th Edition’s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are also examined in detail, being divided into the domains of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Korean musical compositions,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Oriental traditional music. The problems in “Korea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 Oriental Traditional Music” in the 5th edition of the KDC are categorized and discussed in the following: the subdivision and revision of Chongak, the notes deletion and subdivision of Buddhist music, the notes deletion and subdivision of shamanistic music, the addition of Christian music, and the subdivision of traditional Oriental music. This paper provides ideas for improvements for the 6th Edition of the KDC. 이 논문은 KDC 제5판에서 개정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들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음악이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발전된 과정과 국악 분야에서 시도된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도서관계의 한국음악 분류는 표준분류법인 KDC, Dewey 十進分類法: 東洋關係細分展開表와 한국음악전문분류법인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한국전통음악자료분류법, KBS 음악정보실분류표, 국립국악원 전통예술아카이브 분류체계를 비교 평가하였다. KDC 제5판에서 전개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항목들을 국악이론, 한국악곡, 한국악기, 동양 전통음악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KDC 제5판에서 전개된 ‘한국음악[전 국악] 및 동양 전통음악’의 문제점은 정악의 세부분류 수정 전개, 불교음악의 주기 삭제 및 세분 전개, 무속음악의 주기 삭제 및 세분 전개, 기독교음악의 추가 전개, 동양전통음악의 세분 전개로 나누어 살펴보고, KDC 제6판 전개 시 개선할 항목들의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국브린모어대학에 소장된 헬렌 채핀의 한국 고문헌 장서 연구

        이혜은,에릭 펌로이,한지희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2 No.-

        Bryn Mawr College that located in the western suburbs of Philadelphia, Pennsylvania, has Korean rare books 42 titles and 84 volumes. Bryn Mawr College’s entire Korean book collection was the gift of Helen Burwell Chapin (1892-1950), a graduate of Bryn Mawr and an Asian art historian who gave the collection to the college shortly before her death. During 1926-1927 she lived in Japan and traveled to Korea for the first time. Then she spend the years 1929-1932 in China, Japan and Korea. She made two trips to Korea during the fellowship. The first was in August and September 1929, then she returned to Korea again in September 1930. Since then, Chapin came to Korea as an Asiatic Arts and Monuments Specialist fo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from 1946 to 1948. Chapin donated to Bryn Mawr her collection of Korean books, along with many other Asian books, scrolls, and other artifacts, shortly before her death in 1950. Examining the Korean collection by subjects, there are 6 titles and 7 books of Classics, 11 titles and 28 books of History, 18 titles and 42 books of Sciences and Arts, 7 titles and 7 books of Literature.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 문화재 수집가 헬렌 채핀(Helen Burwell Chapin, 1892-1950)을 새롭게 발굴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브린모어대학에 소장된 한국 고문헌 42종 84책을 조사하여 장서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브린모어대학의 한국 컬렉션은 브린모어대학 졸업생이자 아시아 미술사 연구자인 헬렌 채핀의 기증품이다. 헬렌 채핀은 1926-1927년에 일본에서 살면서 한 달간 한국을 여행하였고 1929-1932년에는 중국, 일본, 한국에 머물렀는데 이 당시 1929년 8월과 9월, 1930년 9월에 한국을 방문하였다. 이후 채핀은 미군정의 문화재 전문가로 다시 한국에 와 1946년에서 1948년까지 근무한다. 채핀은 1950년 사망하기 직전 한국 고서를 비롯한 수집품을 다른 아시아 유물 등과 함께 브린모어대학에 기증하였다. 조사의 결과 브린모어대학에 소장된 한국 고서는 경부(經部) 6종 7책, 사부(史部) 11종 28책, 자부(子部) 18종 42책, 집부(集部) 7종 7책이다. 이 가운데 삽화가 수록된 책이 19종 50책에 달했다. 삽화를 중심으로 나누어 보면 행실도 5종, 계도(界圖)와 기물도(器物圖) 등이 포함된 의례서가 4종, 변상도가 수록된 불서 2종, 도가서 3종 등이다. 중종 37년(1547) 석두사에서 간행된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보살만행수능엄경』 10권 4책과 광해군 2년(1610)에 경오자체훈련도감자로 훈련도감에서 인출한 ꡔ주문공교창려선생집ꡕ 권27-29 1책이 국내에서는 완질이 확인되지 않은 희귀본으로 주목된다.

      • KCI등재

        『中國科學院圖書館藏中文古籍善本書目』 중 한국 고문헌에 대한 고찰

        박현규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rare books based on The catalogue of Chinese rare books owned by the Librar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 (中國科學院圖書館藏中文古籍善本書目)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iterature, the historical traces of possession, the value of literature to possess, etc. The Korean rare books among the catalogue of Chinese rare books owned by the Librar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 were classified as follows: a total of 144 volumes and 630 titles, including 22 volumes and 111 titles in Gyeongbu (Jingbu; 經部), 41 volumes and 110 titles in Sabu (Shibu; 史部), 21 volumes and 83 titles in Jabu (Zibu; 子部), 59 volumes and 324 titles in Jibbu (Jibu; 集部), and 1 volume and 1 title in Jibu (Zhibu; 志部). Besides, the Librar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 owns a lot of Korean rare books classified as Seonjangbon (線裝本: a book bound with thread). Those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130 volumes, owned by the Beijing Institute of Humanities Research, General Committee of Oriental Culture (東方文化事業總委員會 北京人文科學硏究所) and the 14 volumes, acquired within the territory of China between 1956 and 1963. A lot of Korean rare books, which are highly valued in its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catalogue of Chinese rare books owned by the Library of Chinese Academy of Science. For instance, Yeon sanhae gyeong jeungju (衍山海經證註: Descriptive Book of Mount Geumgang(金剛山)), Gimssi gajeon (金氏家傳: a story book of the Kim’s family), Yangjin jae seonsaeng lyeseol (養眞齋先生禮說: a theory of the proprieties by Mr. Yang Jin-je) are completely lost and never found in Korea, and Myeongui log (明義錄: a book describing a rightness), Ilseong log (日省錄: a diary of the kings in Joseon), Eoje cheomgan daehun (御製添刊大訓: a royal edict by King Youngjo(英祖)), Taehag eunbae sijib (太學恩杯詩集: a collection of poems by young scholars), Munsa jeoyeong (文史咀英: a collection of works by both Ouyang Xiu and Su Shih of Song Dynasty), Wangjangwon jibju bunlyu dongpa seonsaeng sijib (增刊校正王狀元集註分類東坡先生詩集: The extra edition for a collection of poems by Su Shih(蘇軾) that was described and classified by Wang Jangwon(王狀元)), Hyeonhaeng seobang-gyeong (現行西方經: A book on the belief in pure land) are the books owned by famous people at home and abroad. 본고는 중국과학원도서관에 소장된 선본서목, 즉 『中國科學院圖書館藏中文古籍善本書目』에 분류된 한국 고문헌을 실사하여 소장본의 분류양상, 소장경로, 서품가치 등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중국과학원도서관장중문고적선본서목』에 분류된 한국 고문헌의 장서 분류는 경부가 22종 111책, 사부가 41종 110책, 자부가 21종 83책, 집부가 59종 325책, 지부가 1종 1책, 총 144종 630책이 있다. 이밖에 보통선장본으로 분류된 한국 고문헌이 3백여 종이 소장되어 있다. 『중국과학원도서관장중문고적선본서목』에 분류된 한국 고문헌의 소장 출처는 크게 동방문화사업총위원회 산하 북경인문과학연구소 舊藏本 130종과 중국과학원도서관이 1956년부터 1963년 사이 북경 등지에서 구입한 한국 고문헌 14종으로 나누어진다. 『중국과학원도서관장중문고적선본서목』에 분류된 한국 고문헌 가운데 『衍山海經證註』, 『金氏家傳』, 『養眞齋先生禮說』 등 국내에서 일실된 책자, 『明義錄』, 『日省錄』, 『御製添刊大訓』, 『太學恩杯詩集』, 『文史咀英』, 『增刊校正王狀元集註分類東坡先生詩集』, 『現行西方經』 등 국내외 명인들이 소장했던 귀중본이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朱子文集 수용방식

        최채기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60 No.-

        Neo-Confucianism integrated by master Zhu was introduced in Korea at the end of 13th century and dominated the whole study in Korea for about 500 years of Chosun Dynasty. Accordingly, Zhuzidaquan(朱子大全), another collection of master Zhu’s works, was brought in with other Neo-Confucian books. Since 1543 when it was first published by Kim Angook(金安國), Zhuzidaquan was issued four times from Gyoseogwan(校書館) and Jeonju(全州), which was led by Ryu Huichoon(柳希春, 1575), Won Dupyo(元斗杓, 1635), and Hong Gyehi(洪啓禧, 1771). After the publication of Zhuzidaquan, Lee Hwang(李滉) compiled academically important letters selected from 121 volumes of poetry and prose, which was called Jujaseojulyo(朱子書節要) and published 10 times by scholarly friends and younger students. This affected other Neo-confucianists of later generations and they published many kinds of selections, anthologies of master Zhu’s letters as well as other poetry and prose. The original Zhuzidaquan was not perfect that there were a lot of missing parts and wrong spellings so before Zhuzidaquan and Jujaseojulyo were published in Korea, Lee Hwang, Ryu Huichoon, and Hong Gyehi looked into the originals closely and made corrections on them. Lee Hwang and his coming generations had master Zhu’s works understood more clearly and deeply, by annotating them in detail. Furthermore, master Zhu’s posthumous works of poetry and prose and appendix were added in Hong Gyehi’s edition(1771) of Zhuzidaquan. As seen from the above, Korea made a primer on Neo-confucianism by selecting from, correcting, annotating, or adding to, master Zhu’s works. 朱子가 집대성한 性理學은 13세기말에 처음 한국에 수입되어 조선왕조 500여 년 동안 한국의 학문을 주도하였다. 이에 따라 朱子의 文集인 『朱子大全』 역시 다른 성리학 문헌들과 함께 한국에 수입되었다. 『朱子大全』은 金安國이 1543년에 한국에서 처음 간행한 이래 柳希春(1575), 元斗杓(1635), 洪啓禧(1771) 등의 주관으로 校書館과 전라도 全州에서 총 4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退溪 李滉은 『주자대전』이 간행되자 121권의 방대한 주자의 詩文 가운데 학문적으로 중요한 편지만을 抄節하여 1556년에 『朱子書節要』를 편찬하였고, 그의 知舊門人과 後學들이 총 10차례에 걸쳐 이를 간행하였다. 그 후 『朱子書節要』의 편집방식에 영향을 받은 후대 성리학자들은 그 대상을 더욱 확대하여 주자의 편지뿐만 아니라 다른 詩文에 대해서도 다양한 節要書를 편찬하였다. 『주자대전』은 중국에서 간행된 原本 그 자체에 缺落과 誤字가 매우 많았다. 때문에 한국에서 『주자대전』과 『주자서절요』를 간행할 때에는 원본을 그대로 간행하지 않고 李滉, 柳希春, 洪啓禧 등이 정밀한 校正을 실시하여 그 원본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그와 아울러 이황과 그의 후학들은 『주자대전』과 『주자서절요』의 난해한 내용에 대하여 상세한 註釋을 가함으로써 주자의 학문에 대한 이해를 더욱 심화시켰다. 또한 1771년에 간행된 洪啓禧本 『주자대전』에서는 다른 문헌에 수록된 주자의 시문과 전기자료 등을 수집하여 遺集과 附錄을 增補하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한국에서는 주자의 문집을 抄節, 校正, 註釋, 增補 등의 방식으로 정리하여 성리학의 基本書로 만들어 나갔다.

      • KCI등재

        미군정의 한국문화재 조사 활동 - 전적문화재를 중심으로 -

        이혜은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5 No.-

        This study is to conduct fundamental research on the U.S. military government’s policy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by examining the Helen Burwell Chapin archive of Bryn Mawr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Helen Chapin, who majored in Oriental art in 1946, came to Korea as an Arts specialist at the Cultural Bureau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Chapin’s official reports were found through the “Palaces in Seoul” in RG 332, a document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preserved in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still, Korea’s situation and activities at that time can be found in more detail through Helen Chapin’s papers. 이 연구는 미국 브린모어 컬리지 도서관에 소장된 헬렌 채핀 아카이브의 자료를 중심으로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 미국 스미소니언 아카이브 등에 보관되어 있는 관련 자료를 조사하여 미군정의 한국문화재 조사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1946년 미군정은 동양 미술을 전공한 헬렌 채핀(Helen Chapin, 1892-1950)을 문화재 전문가(Arts and Monuments Specialist)라는 직위로 초빙하여 한국 문화재를 조사하게 한다. 헬렌 채핀의 활동과 문화재 조사의 상황은 그동안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번 연구를 통하여 헬렌 채핀의 생애나 학문적 배경, 그리고 우리나라 문화계 인사와의 교류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채핀이 작성한 자료를 통하여 문화재 조사의 상황, 조사 방법, 그리고 채핀의 세부적인 활동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채핀의 문화재 조사 기록과 한국 문화재에 대한 연구는 해방 이후 혼란한 상황 속에서 한국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상하이도서관 한국 고서의 현황과 특징

        옥영정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4 No.-

        이 글은 중국 상하이도서관(上海圖書館) 소장 한국 고서를 대상으로 서지적 분석을 진행하여 그 현황과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2014년의 실태조사결과에 따라 한국의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서 주관하여 고서목록이 작성되었으며, 2015년에 보고서로 작성되었다. 이 글도 2014년에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상하이도서관 소장 한국 고서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그 내용의 특징적인 사항을 확인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한국 고서의 판본별 현황과 주제별 특징 등 서지학적 측면에서 다루어 볼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총 187종 1,260책의 고서의 주제는 경․사․자․집의 사부(四部) 가운데 사부(史部)가 72종으로 전체의 1/3 이상을 차지하였고, 각 유문별로는 별집류가 35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인다. 판본별로는 목판본이 79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금속활자본 63종, 필사본 11종, 목활자본 29종, 영인본 4종, 석인본 1종 순이다. 5종의 조선전기 인쇄본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는 세종 때 간행된 경자자본 자치통감강목 완질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내사기록이나 장서인을 통해 상하이도서관에 소장된 한국 고서의 전래경위를 부분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다. This article is based on a bibliographic analysis of Korean books of the Shanghai Library in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2014, a list of ancient books was prepared by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was prepared as a report in 2015. This article was also compiled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2014, focusing on identifying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ancient books by the director of the Shanghai Library and check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books. According to a survey on bibliographic aspects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ncient boo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1,260 books of 187 types of ancient books accounted for 72 of the masters of Gyeong, Sa, Ja, and Jipu, accounting for more than one-third of the total, with 35 types of separate books being the largest number by type. By edition, woodblock prints were the most common with 79 types, followed by 63 types of metal type, 11 types of manuscript, 29 types of wood type, four types of photoprint and one type of stone type. Five early Joseon printed cop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e completion of the Gyeongjaja bon, which was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You can also check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books in the Shanghai Library through the records of the books and ownership stamp.

      • KCI등재

        太賢의 「菩薩戒本宗要」 유통본 서지조사 및 대조․연구

        최종남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One of representative monks of Silla period, as a Preceptor, Seon master, Dharma teacher, Taehyun wrote the annotated commentaries for about fifty-five collections and one-hundred twenty two books of Hwa-eom (華嚴), Junggwan (中觀, Madhyamaka), Yusig (唯識, Yogācāra), Gyeyul (戒律, Vinaya), Jeongto (淨土) and so forth. Unfortunately, there are now only five collections and fourteen books left among these. Taehyun annotated in detail and systemized the Buddhist thoughts divided into times, regions, and schools based on the Tripiṭaka (Vinaya․Sūtra․Abhidharma Piṭaka) made in India. In the Bosalgyebonjongyo(菩薩戒本宗要), he annotated the gist of memorizing and transgressing the precepts that were mentioned in the Sutra of Brahma’s Net (II) with three gates of Singyengeumun (申經意門), Neungsoseungmun(能所成門), and Suhaengchabyeolmun(修行差別門). Taehyunn explained the three gates summarizing many Prātimokṣa(戒本) while quoting sutras and treatises related to the Mahāyāna thoughts of Hwa-eom, Junggwan, Yusig, Seon, and Jeongto etc. The Bosalgyebonjongyo is known like a compass and a text book for practitioners. Therefore there are about thirty-one collections and forty-nine books as the annotated commentaries of the Bosalgyebonjongyo. In this paper, I came across the buddhist bibliographical researches for the Bosalgyebonjongyo of Handwritten manuscript, the woodblocks and woodblock prints of Korea and Japan which were researched and studied in the Database construction business and Goryeogyojang Collection of 2012 for the basic research of the bibliographical distribution process and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prātimokṣa in East Asia. And also I compared philologically these sources because they have been differently published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Taehyu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handwriting, carving, printing the Bosalgyebonjongyo. The Handwritten manuscript (two styles), the woodblocks (two styles), the woodblock prints (two styles) which I introduced in this paper, total six styles (I illustrated eight styles not researched in the annotation of 31) are the block books made from 13C to 17C. For the philological comparative study, I considered the sources of Jinboksa daesumungo(眞福寺 大須文庫), Shinyeansan Daehak(身延山大學) Library, Daejeongjang(大正藏), Hankuk-Bulgyo-Jeonseo (韓國佛敎全書), and the Korean Eminent Monk’s Collections (韓國高僧集, Silla period, 2). 신라시대를 대표하는 태현(太賢, 8세기)은 율사․선사․법사로서 화엄․중관․유식․계율․정토 등에 대한 55여 부․122여 권의 주석서들을 찬술하였다. 이들 주석서들 중에서 아쉽게도 현재는 5부․14권만 남아있다. 태현은 인도에서 찬술된 경․율․론 삼장(三藏)들에 대해서 불교의 시대별․지역별․학파별의 사상들을 자재롭게 체계적이며, 구체적으로 주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되는 「보살계본종요(菩薩戒本宗要)」(1권)는 태현이 「범망경(梵網經)」(2권)에서 언급되고 있는 수지(受持)와 위범(違犯)의 요체를 신경의문(申經意門)․능소성문(能所成門)․수행차별문(修行差別門)의 세 가지 문[三門]으로 주석하고 있다. 태현은 삼문에서 대승사상인 화엄, 정토, 반야․중관, 여래장, 유식, 선사상 등의 사상과 관련 경․론들을 인용․주석하여 자재롭게 계본들을 종요(宗要)하고 있다. 「보살계본종요」는 수지자들에게 교과서와 같으며, 지남(指南)이 되는 찬술서로 알려져 있다. 이에 동북아시아에서는 「보살계본종요」에 대한 주석서들로서 31부․49권이 찬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전개된 계본(戒本, prātimokṣa)에 대한 사상적 전개와 서지학적 유통과정에 대한 토대연구를 위하여 2012년부터 「고려교장 결집 및 DB 구축 사업」에서 조사․연구된 한국․일본의 필사본․목판본․목활자본들의 「보살계본종요」에 대한 불교서지학적 조사를 소개하고, 그리고 「보살계본종요」가 각국에서 필사, 판각, 목활자, 금속활자화되어 전래․유통되는 과정에서 태현의 원의(原義)와는 다르게 교감이 진행되고 있어 문헌학적인 대조․연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하는 필사본(2종)․목판본(2종)․목활자본(2종)은 총 6종(미조사된 8종은 각주 31에 소개)으로서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영인된 판본들이다. 그리고 문헌학적인 대조․연구는 眞福寺의 大須文庫본, 身延山大學校 도서관본, 韓國高僧集(新羅時代 2)본, 그리고 韓國佛敎全書본과 大正藏본들을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 KCI등재

        一山 金斗鍾의 韓國 書誌學的 位相

        조형진 한국서지학회 2017 서지학연구 Vol.71 No.-

        1) The development of Korean bibliography has been led by physical bibliography. 2) Korean printing technology, especially typography, had marked unprecedented development in the world. 3)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Mugujonggwang dae daranigyong in woodblock edition and woodblock of Palman daejangkyung in the world. Korea invented metal type at least 200 years earlier than West and still retains the invented types. It had also printed the oldest existing metal type edition - Backwoon hwasang chorock pulcho chikchi simche yojol in 1377. Korea has developed more than seventy different kinds of types since then. In this regard, the status of Korean early printing culture is no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4) Ilsan had laid the foundations for Korean bibliography by pioneering into the fields of cultural history in woodblock printing, type printing, printing technology, and modern printing as well as building up Ilsan collection. 1) 한국의 서지학은 판본학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2) 한국의 인쇄술, 특히 활자 인쇄의 발달은 세계에 유례가 없을 만큼 찬란하였다. 3)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목판본 「無垢淨光大陀羅尼經」과 「팔만대장경」의 경판을 보유하고 있다. 금속활자는 서양보다 200년 이상 앞서 발명하였으며, 그 발명작도 보유하고 있으며, 현존 最古의 금속활자본 「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1377년에 인쇄하였다. 이후 70여 종 이상의 활자를 조성하여 서적을 인쇄하였다. 이점에서 한국 고인쇄문화의 위상은 세계 어느 나라와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4) 일산은 목판인쇄문화사, 활자인쇄문화사, 인쇄기술사, 근대인쇄 연구는 물론 일산문고를 구축함으로써 한국 서지학의 기반을 닦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